$\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준안정상 기반의 질화철계 영구자석소재 제조연구동향
Research trend in Fabrication of Metastable-phase Iron Nitrides for Hard Magnetic Ap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6 no.2, 2019년, pp.146 - 155  

김경민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분말.세라믹연구본부) ,  이정구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분말.세라믹연구본부) ,  김경태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분말.세라믹연구본부) ,  백연경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분말.세라믹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re earth magnets are the strongest type of permanent magnets and are integral to the high tech industry, particularly in clean energies, such as electric vehicle motors and wind turbine generators. However, the cost of rare earth materials and the imbalance in supply and demand still remain big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여러 연구자들은 시초 물질을 다양한 산화철(α-FeOOH, α-Fe2O3, γ-Fe2O3, Fe3O4 등) 등의 나노분말을 활용하고, 이를 가스 분위기 하에서 저온 상전이 공정을 거쳐 단일상의 α''-Fe16N2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 고특성의 영구자석 제조에 있어 자기이방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이의 증진에 따라 자성재료의 특성은 상당히 향상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다양한 자기이방성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보자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결정자기이방성 (magnetocrystalline anisotropy)과 형상자기이방성(shape anisotropy)에 대해 다루고 이를 이용한 연구동향을 살펴 보고자 한다. 결정자기이방성은 자성재료의 결정구조에 따라 자화의 방향이 어느 특정한 방향으로 배향하려고 하는 성질이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준안정상을 가짐으로서 고특성을 나타내는 α''-Fe16N2 영구자석소재에 대해서 기술하고, 지금까지의 연구 및 특허 동향을 살펴봄으로서 향후 국내 비희 토류 영구자석소재분야의 연구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비희토류 영구자석소재 중 높은 자기특성(Ms~2.4 T, K1~1 × 107 erg/cm3)값을 보이는 준안정상 α''- Fe16N2 영구자석소재의 연구 및 특허 동향에 대해 소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d, Sm 뿐 아니라 Dy, Tb 원소는 적은 매장량으로 인한 높은 가격과 불안정한 수급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어떤 연구가 진행중인가? 그러나 Nd, Sm 뿐 아니라 Dy, Tb 원소는 적은 매장량으로 인한 높은 가격과 불안정한 수급이 항상 문제가 되어왔으므로 이를 해결하 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4]. 첫째, 중희토 원소의 사용을 최소화 하거나 배제하면서 미세조직 제어를 통한 자기적 특성 증진 연구 둘 째, 높은 자기이방성과 포화자화(Ms)를 갖는 새로운 희토류 화합물 탐색 및 자석 성능 발현 연구 개발 셋째, 경자성 및 연자성 합금 간의 복합구조화하여 자석성능 향상, 그리고 마지막으로 높은 자기적 특성을 갖는 3d 천이금속 탐색 및 자석 성능 발현 연구 개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중, 3d 천이금속을 이용한 고성능 영구자석 재료의 연구개발은 희토류 원소를 배제하고, 양적으로 풍부하여 수급이 용이한 원소를 주원료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우수한 자기특성만 지닌다면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할 영구자 석소재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성능 경량자석의 활용 방안은? 고성능 영구자석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전통적 주력분야(신재생 에너지, 내연기관 운송수단의 전장모터, 가전부품용 모터 등)뿐 아니라 하이브리드 및 전 기자동차의 구동모터와 로봇 및 드론의 동작모터, 3D 프린터의 전자동력부품 등의 분야로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1-3]. 특히 제조부분의 핵심인 로봇 정밀제어를 위한 소형 정밀 고토크 구동모듈 분야와 드론 등의 소형 수송 수단의 장시간 비행 및 운행 정밀제어를 위한 고성능 경량자석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동력부품용으로의 활용을 위해서는 높은 구동온도(~200o C)로 인하여 고온에서도 높은 자기적 특성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경희토류(Nd, Sm 등) 기반 영구자석에 중희토 원소(Dy, Tb)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성능 영구자석의 특징은? 고성능 영구자석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전통적 주력분야(신재생 에너지, 내연기관 운송수단의 전장모터, 가전부품용 모터 등)뿐 아니라 하이브리드 및 전 기자동차의 구동모터와 로봇 및 드론의 동작모터, 3D 프린터의 전자동력부품 등의 분야로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1-3]. 특히 제조부분의 핵심인 로봇 정밀제어를 위한 소형 정밀 고토크 구동모듈 분야와 드론 등의 소형 수송 수단의 장시간 비행 및 운행 정밀제어를 위한 고성능 경량자석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O. Gutfleisch, M. A. Willard, E. Bruck, C. H. Chen, S. G. Sankar, and J. P. Liu: Adv. Mater., 23 (2011) 821. 

  2. S. Sugimoto: J. Phys. D: Appl. Phys., 44 (2011) 064001. 

  3. D. Brown, B. Ma, and Z. Chen: J. Magn. Magn. Mater., 248 (2002) 432. 

  4. Humphries: M. Rare earth elements: The global supply chain. CRS Report for Congress, R41347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Library of Congress, 2010). 

  5. A. Mubarok, N. Bordeaux, E. Poirier, F. E. Pinkerton, J. Gattacceca, P. Rochette, R. Reisener, L. H. Lewis and J. I. Goldstein: Meteoritics Planet Sci., 76 (2013). 

  6. W. Zhang, P. Kharel, V. Valloppilly, L. Yue and D. J. Sellmyer: Phys. Status Solidi B, 252 (2015) 1934. 

  7. W. Xie, E. Polikarpov, J. P. Choi, M. E. Bowden, K. Sun and J. Cui: J. Alloys Compd., 680 (2016) 1. 

  8. J. Cui, M. Kramer, L. Zhou, F. Liu, A. Gabay, G. Hadjipanayis, B. Balasubramanian and D. Sellmyer: Acta Mater., 158 (2018) 118. 

  9. M. Takahashi, H. Shoji, H. Takahashi, H. Nashi, T. Wakiyama, M. Doi, and M. Matsui: J. Appl. Phys., 76 (1994) 6642. 

  10. M. Takahashi and H. Shoji: J. Magn. Magn. Mat., 208 (2000) 145. 

  11. M. Widenmeyer, T. C. Hansen and R. Niewa: Z. Anorg. Allg. Chem., 639 (2013) 2851. 

  12. J. A. Osborn: Phys. Rev., 67 (1945) 351. 

  13. D. J. Sellmyer, M. Zheng and R. Skomski: J. Phys.: Condens. Matter, 13 (2001) R433. 

  14. K. Jack: Proc. Roy. Soc. London, A208 (1951) 216. 

  15. M. Usikov and A. Khachaturyan: Fiz. Met. Metalloved., 30 (1970) 614. 

  16. T. Kim and M. Takahashi: Appl. Phys. Lett. 20 (1972) 492. 

  17. M. Komuro, Y. Kozono, M. Hanazono, and Y. Sugita: J. Appl. Phys., 67 (1990) 5126. 

  18. Y. Sugita, K. Mitsuoka, M. Komuro, H. Hoshiya, Y. Kozono, and M. Hanazono: J. Appl. Phys., 70 (1991) 5977. 

  19. J. M. D. Coey, K. O'Donnell, Q. Qi, E. Touchais and K. H. Jack: J. Phys.: Condens. Matter, 6 (1994) L23. 

  20. J. M. D. Coey: J. Appl. Phys., 76 (1994) 6632. 

  21. T. Weber, L. De Wit, F. W. Saris and P. Schaaf: Thin Solid Films, 279 (1996) 216. 

  22. T. Hattori, N. Kamiya and Y. Kato: J. Magn. Soc. Jpn., 25 (2001) 927. 

  23. Y. Sasaki, N. Usuki , K. Matsuo and M. Kishimoto: IEEE Trans. Magn., 41 (2005) 3241. 

  24. E. Kita, K. Shibata, H. Yanagihara, Y. Sasaki and M. Kishimoto: J. Magn. Magn. Mater., 310 (2007) 2411. 

  25. C. W. Kartikowati, A. Suhendi, R. Zulhijah, T. Ogi, T. Iwaki and K. Okuyama: Nanoscale, 8 (2016) 2648. 

  26. I. Dirba, C. A. Schwobel, L. V. B. Diop, M. Duerrschnabel, L. Molina-Luna, K. Hofmann, P. Komissinskiy, H.-J. Kleebe and O. Gutfleisch: Acta Materialia, 123 (2017) 214. 

  27. S. G. Kim, K. W. Jeon, J. G. Lee, H. Kong, H. J. Jeen, S. H. Kwon, and Y. K. Baek: J. Mag., 22(4) (2017) 590. 

  28. Y. Jiang, V. Dabade, L. F. Allard, E. L. Curzio, R. James and J. P. Wang: Phys. Rev. Appl., 6 (2016) 024013. 

  29. T. Ogawa, Y. Ogata, R. Gallage, N. Kobayashi, N. Hayashi, Y. Kusano, S. Yamamoto, K. Kohara, M. Doi and M. Takano: Appl. Phys. Express, 6 (2013) 073007. 

  30. T. Ogi, A. B. D. Nandiyanto, Y. Kisakibaru, T. Iwaki, K. Nakamura and K. Okuyama: J. Appl. Phys., 113 (2013) 164301. 

  31. R. Zulhijah, K. Yoshimi, A. B. D. Nandiyanto, T. Ogi, T. Iwaki, K. Nakamura and K. Okuyama: Adv. Powder. Technol., 25 (2014) 582. 

  32. R. Zulhijah, A. B. D. Nandiyanto, T. Ogi, T. Iwaki, K. Nakamura and K. Okuyama: Nanoscale, 6 (2014) 6487. 

  33. R. Zulhijah, A. B. D. Nandiyanto, T. Ogi, T. Iwaki, K. Nakamura and K. Okuyama: J. Magn. Magn. Mater., 381 (2015) 89. 

  34. T. Ogi, Q. Li, S. Horie, A. Tameka, T. Iwaki and K. Okuyama: Adv. Powder. Technol., 27 (2016) 2520. 

  35. R. Zulhijah, A. Suhendi, K. Yoshimi, C. W. Kartikowati, T. Ogi, T. Iwaki and K.Okuyama: Langmuir, 31 (2015) 6011. 

  36. I. Dirba, C. A. Schwobel, L. V. B. Diop, M. Duerrschnabel, L. M. Luna, K. Hofmann, P. Komissinskiy, H. -J. Kleene and O. Gutfleisch: Acta Mater., 123 (2017) 214. 

  37. A. J. Newell and R. T. Merrill: J. Geophys. Res.: Solid Earth, 104 (1999) 617. 

  38. H. Xu, Q. Wu, M. Yue, C. Li, H. Li and S. Palaka: AIP Advances, 8 (2018) 056422. 

  39. Y. K. Baek, Y. T. Seo, J. G. Lee, D. S. Kim, D. S. Bae and C. J. Choi: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0 (2013) 359. 

  40. Y. Jiang, J. Liu, P. K. Suri, G. Kennedy, N. N. Thadhani, D. J. Flannigan and J. P. Wang: Adv. Eng. Mater., 18 (2016) 1009. 

  41. Y. Jiang, V. Dabade, L. F. Allard, E. Lara-Curzio, R. James and J. P. Wang: Phys. Rev. Appl., 6 (2016) 024013. 

  42. Y. Jiang, M. A. Mehedi, E. Fu, Y. Wang, L. F. Allard and J. P. Wang: Sci. Rep., 6 (2016) 25436. 

  43. K. M. Kim and H. W. Kwon, J. G. Lee and J. H. Yu: J. Korean Mag. Soc., 27 (2017) 129. 

  44. A. Iga: Jpn. J. Appl. Phys., 9 (1970) 415. 

  45. W. Coene, F. Hakkens, R. Coehoorn, D. B. De Mooij, C. De Waard, J. Fidler, and R. Grossinger: J. Magn. Magn. Mater., 96 (1991) 189. 

  46. M. D. Kuzmin, K. P. Skokov, H. Jian, I. Radulov and O. Gutfleisch: J. Phys.: Condens. Matter, 26 (2014) 064205. 

  47. A. Edstrom M. Werwinski, D. Iusan, J. Rusz, O. Eriksson, K. P. Skokov, I. A. Radulov, S. Ener, M. D. Kuz'min, J. Hong, M. Fries, D. Y. Karpenkov, O. Gutfleisch, P. Toson, and J. Fidler: Phys. Rev. B, 92 (2015) 174413. 

  48. K. M. Kim, H. W. Kwon, J. G. Lee and J. H. Yu: IEEE Trans. Magn., 54 (2018) 2101805. 

  49. X. Zhao, C. Z. Wang, Y. Yao, and K. M. Ho: Phys. Rev. B, 94 (2016) 224424. 

  50. M. Tobise, S. Saito, and M. Doi: AIP Advances, 9 (2019) 035233. 

  51. D. L. Leslie-Pelecky and R. D. Rieke: Chem. Mater., 8 (1996) 1770. 

  52. T. Holstein and H. Primakoff: Phys. Rev., 58 (1940) 1098. 

  53. M. Pardavi-Horvath, J. Yan and J. R. Peverley: IEEE Trans. Magn., 37 (2001) 3881. 

  54. M. Kobayashi and Y. Ishikawa: IEEE Trans. Magn., 28 (1992) 18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