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대화와 김치문화
Modernization and Kimchi cultur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2, 2019년, pp.129 - 141  

강정원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  안주영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  이하얀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  최학락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which can be considered westernization, has influenced Korean folk culture. In this process the kimchi culture could be destroyed. However the kimchi culture has survived very well to da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is survival of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속문화란? 이를 위해서는 먼저 민속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민속문화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지만, 본고에서 민속문화는 민속성을 갖춘 문화로 정의하였으며, 일상성과 전승성, 공동체성을 특성으로 하는 민속성이 두드러진 문화라고 보았다. 민속문화는 대중문화나 예술문화와 달리 민속성을 지닌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표현복합이다.
김치와 김장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먼저 김치와 김장에 대해서 구분할 필요가 있다. 김장은 늦가을이나 초겨울에 겨우내 먹을 김치를 대량으로 담는 일을 의미했고, 김치는 생채발효음식을 일컫는다. 김치는 다양한 생채로 담을 수 있었는데, 대표적인 채소에 배추나 무, 오이 등이 속한다.
민속문화가 대중문화나 예술문화와 구분되는 점은? 민속문화는 대중문화나 예술문화와 달리 민속성을 지닌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표현복합이다. 생활의 표현 체계나 과정, 표현 결과물이나 표현매체까지도 포함한다는 점에서 민속문화는 여타의 대중문화나 예술문화와 구분된다. 의식주나 여타 물질도 민속문화에 포함되는데, 이러한 물질은 민속문화의 전승매체이자 결과물이며, 생활의 가능조건이자 필요조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e YD. 2004. The decontextu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traditional cuisine of Andong. Society and History, 66:35-68 

  2. Dongailbo (동아일보), Way of Kimjang of every place-Way of Seoul kimjang (각처의 김장법(二) 내 고향의 자랑거리 경성김장법), 1935.11.13. 

  3. General view of Korean Food (韓國飮食大觀). 1995-1997.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4. Joo YH. 2011. Foodhumanities (飮食人文學), Humanist, pp 65-66 

  5. Kang JW. 2013a. Homo Folkloricus and Postcolonialism. The Korean Folklore 57. pp 141-176 

  6. Kang JW. 2013b. Modernization and kimjang culture. The humanistic understanding of Kimchi & Kimjang Culture. World Institute of Kimchi, Gwangju, pp 212 

  7. Kang JW. 2014. The Structure of foodculture and kimjang. The Humanistic understanding of kimchi. World Institute of Kimchi, Gwangju, pp 181-205 

  8. Kang JW & Jung YH, An JY, Lee HY, An CM, Choi HR. 2016. An Ethnographic Research on Local Kimchi in Gyeonggi, Gangwon Provinces. (unpublished report) World Institute of Kimchi. Gwangju 

  9. Kang JW. 2018. The Structure and differentiation of Korean foodculture. International Humanities Symposium on Korean Traditional Foods. The Foundation of Korean Cultural Center, Seoul, pp 279-294 

  10. Korean folkculture survey report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1967-197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eoul 

  11. Korean traditional local food (韓國傳統鄕土飮食). 1999-2007.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12. Lee JS. 1976. The Survey report and consideration of Korean nowadays kimjangkimchi. Master's degree thesis, Ewhawomens-university, Korea, pp 21 

  13. Park CL. 2013. Roots of Joseon dynasty Kimchi: a deep, wide study of culture, cuisine and folklore (조선시대 김치의 탄생). Minsokwon, Korea 

  14. Taste of Kangwondo, Kimchi (강원도의 맛, 김치). 2004. Kangwon-center of technology, pp 12 

  15. Yoon HS. 2007. Commonification of the Skate Food and Collado Rebional Identity, Hangukminzokmunhwa, 32:399-42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