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고등학교 학생들의 식품위생 태도와 개인위생 관리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15년 7월 16일부터 10월 15일 까지 충남지역 16개 고등학교의 학년 당 30명씩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미회수 및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1,214 부(남 618, 여 596)에 대해 SPSS(ver 18.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식품을 살 때 유통기한을 더 확인하고(3.78, 3.57), 가열했던 식품을 보관한 후 그대로 먹는다는 응답이 적었고(2.83, 3.02), 식품의 특성에 맞게 보관 저장한다(3.92, 3.72)고 하였다. 반면,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식품포장 표시사항을 자세히 살피고(3.34, 3.22), 음식을 먹을 때 개인접시를 꼭 사용한다(3.43, 3.32)고 응답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화장실 다녀온 후 항상 손 씻기(4.25, 3.94)를 잘하였고, 정수기 이용할 때 개인 컵을 더 사용(3.45, 3.32)하고, 손톱을 더 청결하게 관리(3.61, 3.49)하였으며, 식사도중에 돌아다니거나(2.14, 2.53) 화장실에 간다는(2.22, 2.57)응답이 낮았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식사 전 손 씻기(3.64, 3.50)와 올바른 방법으로 손 씻기(3.58, 3.46)를 잘하고, 기침을 할 때 휴지, 손수건 또는 소매로 잘 막는 편(3.55, 3.37)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등학생은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 부분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고, 각각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on food hygiene attitude and personal hygiene manag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From July 16 to October 15, 201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 students per grade at 16 high schools in Chungcheongnam-do, and a total of 1,214 questionnaires(excluding uncollected and insufficient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using SPSS(ver 18.0). According to the study, female students more checked the expiration date for food(3.78, 3.57), ate stored food without heating(2.83, 3.02) and stored i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3.92, 3.72) than 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male students answered they looked at food packaging more closely(3.34, 3.22), and always used personal plates when they ate(3.43, 3.32), than fe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always better at hand washing after went to toilet(4.25, 3.94), used individual cups when using water purifiers(3.45, 3.32), kept nails cleaner(3.61, 3.49), and went around(2.14, 2.53) and went to toilet during meals than male students(2.22, 2.57). Boys answered they were better at hand washing before meals(3.64, 3.50), with right way(3.58, 3.46), and covering with a tissue, handkerchief or sleeve when they coughed(3.55, 3.37) than girls. In this study,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in food hygiene attitude and personal hygiene management, with different areas requiring improve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education on food hygiene attitude and personal hygiene management differentiated according to gender.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