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폭력 예방 교육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Intervention Program Effectiveness for Preventing Sexual Violence: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4, 2019년, pp.409 - 419  

우정희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류기욱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국내에서 연구된 성폭력 예방 교육 중재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국내 사회적 환경에 적합하고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문헌 검색은 2000년 이후부터 2018년 8월까지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성폭력과 관련된 용어를 조합하여 수행하였고, 학위논문을 포함한 총 1125편의 논문에서 최종적으로 22편의 논문을 선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는 영유아부터 성인, 장애학생이 있었고 교육방법은 강의, 토의, 역할극, 인형극, 노래하기, 캠페인 등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였다. 중재 내용은 성폭력 개념, 성폭력 대처, 성희롱, 성 평등과 관련되었고 중재 결과에 대한 주요 변수는 성 지식, 성 태도, 성 인식, 성폭력 지식, 성폭력 대처, 성 평등 의식이었다. 중재 결과는 모든 논문에서 중재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일부 논문(2편)에서는 성 인식, 성 태도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향후 성폭력 예방 교육 중재 시 대상자의 지식 뿐 아니라 태도와 인식의 변화를 위해 성 평등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방관자 개념을 도입하여 성폭력에 대해 사회적으로 책임을 인식하고 행동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ynthesize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by systematic review and to establish an effective program for its prevention. Existing studies of domestic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were retrieved using RISS, KISS, and NDSL from 2000 until August 2018. Of 1125 s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성폭력, 성희롱 예방을 위한 중재연구의 방법론,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 및 결과 변수, 효과를 확인을 통해 성폭력, 성희롱 예방 중재 연구를 통합적으로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안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하여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그램 내용, 방법을 살펴보고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향후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에 있어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중재에 필요한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여 국내의 사회, 문화적 상황에 적합한 중재 내용과 방법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 대상(P)는 국내에서 거주하는 유아부터 성인이 대상이며, 중재방법(I)는 성폭력 예방 교육 중재이며, 대조군(C)는 성폭력 예방 교육을 받지 않은 군이다. 본 연구에서 성폭력 예방 교육 중재 내용을 중점으로 분석하고자 하고 출간된 논문 편수를 고려하여 단일그룹 전후설계(one-group pretest- posttest design)을 포함하고자 하였다. 결과(O)는 별도로 규정하여 제한하지 않았고 결과측정 시점(T)는 프로그램 적용 직후 또는 추후기간을 모두 포함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하여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그램 내용, 방법을 살펴보고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향후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에 있어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중재에 필요한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여 국내의 사회, 문화적 상황에 적합한 중재 내용과 방법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투 캠페인이 가져온 사회적 반향은 무엇인가? 최근 국내, 외에서 미투 캠페인(The # MeToo 하고 있음을 사회에 알렸고 이는 피해자들에 대한 옹호와 지지Campaign)이 이슈가 되면서 사회적으로 큰 충격과 반향을 일으켰다. 미투 캠페인을 통해 성폭력, 성추행, 성희롱 의 피해자들은 피해사실을 숨긴 채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고 있음을 사회에 알렸고 이는 피해자들에 대한 옹호와 지지를 확산시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1]. 이와 같은 사회적 현상에 주목해야할 점은 성폭력, 성추행, 성희롱과 같은 성범죄가 학교, 직장 뿐 아니라 사회 각계각층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성교육 및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는 무엇인가? 성폭력 예방 교육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국내, 외에서 간호학, 심리학, 교육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장애인 대상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 청소년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가 선행되어 있다[8-10]. 성폭력 예방 교육 중재와 관련된 학문 분야는 다양하여 각기 다른 방향을 갖을 수 있으며 그 효과성에 대한 한계가 있을 수 있고 기존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특정 대상자군 을 대상으로 방법, 효과 중심으로 분석했을 뿐 성폭력 예방 교육의 통합된 현황과 궁극적인 내용, 속성에 대한 제시가 부족하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뿐 아니라 성폭력 예방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의 접근이 있었다[11].
성범죄의 특징은 무엇인가? 성범죄는 피해자에게 있어서 신체적 피해 뿐 아니라 사회적 부적응, 대인기피증, 신체적 후유증, 성범죄 피해가 알려지면서 발생하는 이차 피해로 인해 정신적 고통을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한다. 또한 사회적으로는 불안과 안전을 위협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 Y. Oh, "A study on the #MeToo movement and people's reactions to it- the self-reflective introspection of the social welfare field ",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Vol. No. 53, pp. 73-97, 2018. 

  2. K. S. Shin, J. S. Lee, J. W. Lee, U. D. Lee, "Comparison of sex offenders according to victims' age - focusing on child, juvenile, and adult victims", The Korean Journal of Forensic Psychology, Vol. 8, No. 2, pp. 111-131, 2017. 

  3. 2017 Crime analysis. Supreme Prosecutors 2017. 

  4. H. S. Ha, D. G. Kim, "Sexual violence intervention program reconsidered: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 for sexual violence offender",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15, No. 2, pp. 111-125, 2007. 

  5. Y. S. Min, B. S. Kim, "Prevention of sex offense against child by extension of the citizen responsibility", Law Review, Vol. 50, No. 2, pp. 203-233, 2009. 

  6. H. G. Kim, "Searching for the feminist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Vol. 31, No. 2, pp. 55-89, 2015. 

  7. Ministry of Gender Eqaility & Family. Family. Analysis and Effectiveness of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eoul: 2014. 

  8. I. K. Yoon, J. Park, S. J. Lee,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ex education &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 21, No. 4, pp. 127-144, 2009. 

  9. Y. R. Kim "Review of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s for fe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Vol. 13, No. 3, pp. 105-124, 2012. DOI: http://dx.doi.org.access.yonsei.ac.kr:8080/10.19049 /JSPED.13.3.05 

  10. J. A. Bae, S. J. Kang, H. J. Park, "Evaluating the sex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Health & Nursing, Vol. 29, No. 1, pp. 53-64, 2017. 

  11. S. McMahon, J. L. Postmus, C. Warrener, R. Anne Koenick, "Utilizing peer education theater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on college campuse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 55, No. 1, pp. 78-85, 2014. DOI: http://doi.org/ 10.1353/CSD.2014.0001 

  12. J. Katz, J. Moore, "Bystander education training for campus sexual assault prevention: an initial meta-analysis", Violence and Victims, Vol. 28, No. 6, pp. 1054-1067, 2013. DOI: http://doi.org/ 10.1891/0886-6708.VV-D-12-00113 

  13. S. E. Garrity, "Sexual assault prevention programs for college-aged men: A critical evaluation", Journal of Forensic Nursing, Vol. 7, No. 1, pp. 40-48, 2011. DOI: https://doi.org/10.1111/j.1939-3938.2010.01094.x 

  14. M. J. Woo,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1, No. 3, pp. 83-99, 2011. DOI: https://doi.org/10.18023/kjece.2011.31.3.004 

  15. S. Y. Kim, J. E. Park, H. J. Seo, Y. J. Lee, B. H. Jang, H. J. Son, H. S. Suh, C. M. Shin.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p.1-287. 

  16. Moher D, Shamseer L, Clarke M, Ghersi D, Liberati A, P. M,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otocols (PRISMA-P) 2015: elaboration and explanation", BMJ (Clinical Research Ed.), Vol. 354, p. i4086, 2016. DOI: https://doi.org/10.1136/bmj.i4086 

  17. M. K. Lee, "Sexual violence situation and countermeasure", Studies on Life and Culture, Vol. 4, No. -, pp. 157-175, 2001. 

  18. C. H. Kang, S. H. Kim, "The effects of program for preventing sexual violence and influencing capability of elderly care worke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7, No. 8, pp. 821-831, 2017. DOI: https://doi.org/10.14257/AJMAHS.2017.08.37 

  19. M. R. Noh, "A model for drama in education as a method of addressing sexual harrassment in the workplace", Myungji university, Seoul, 2015. 

  20. M. J. Woo, "The construction and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15, No. 2, pp. 33-56, 2011. 

  21. J. A. Park. Child and adolescent sex education,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gendered perspective. 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 research report: 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 2012. p.3-15. 

  22. Y. R. Lee, K. M. Kim, S. E. Choi,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n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4, No. 1, pp. 40-50, 2013.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40 

  23. E. H. Jung, Y. M. Shin, S. M. Cho, "The effect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using temperament", Th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 22, No. 1, pp. 119-135, 2016. DOI: https://doi.org/10.20406/kjcs.2016.02.22.1.119 

  24. I. S. Choi, J. I. Kim, "The effects of sexual violence myths, interpersonal violence acceptance and sex role related attitudes on aggressive sexual behavior",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20, No. 3, pp. 277-300, 2015. DOI: https://doi.org/10.19158/kjwp.2015.09.20.3.277 

  25. D. L. Payne, K. A. Lonsway, L. F. Fitzgerald, "Rape myth acceptance: Exploration of its structure and its measurement using the Illinois rape myth acceptance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No.33,pp.27-68,1999. DOI: http://dx.doi.org/10.1006/jrpe.1998.2238 

  26. J. R. Oh,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role playing on sexual consciousness, sexual attitudes and gender role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Wongwang university, Iksan, 2010. 

  27. S. M. Kim, "A study on the effect that the integrated sex education activities in kindergarten school have on sex knowledge and sex attitude of 4-year-old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2. 

  28. H. M. Park, M. Y. Im,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using multimedia program o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ex of middle school boy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9, No. 2, pp. 173-179, 2003. 

  29. H. K. Moon, "Effects of education program on preventing sexual harassment for college students", Sangmyung university, Seoul, 2009. 

  30. H. Y. Kim,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the group programs on sexual violence prevention for the adolescents:-focused on the improvement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breaking the common notions on sexual violence", Kunsan National University, Kunsan, 2016. 

  31. M. J. Jung, H. J. Song, "A study of development& effect sex education programs for grade five and six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 No. 2, pp. 133-161, 2000. 

  32. S. McMahon, V. L. Banyard, "When can I help?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through bystander intervention", Trauma, Violence & Abuse, Vol. 13, No. 1, pp. 3-14, 2012. DOI: https://doi.org/10.1177/1524838011426015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