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안의 태풍해일특성과 고극조위
Typhoon-Surge Characteristics and the Highest High Water Levels at the Western Coast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1 no.2, 2019년, pp.50 - 61  

강주환 (목포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양선 (목포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해안 지역에서 대형태풍에 의한 해일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한 후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태풍 OLGA(9907)와 KOMPASU(1007)가 대표적인 첨두형 태풍인데 빠른 이동속도로 서해안에 근접하여 통과한 태풍으로 최대해일고 발생이 조시와는 무관한 특성을 보인다. 반면 태풍 PRAPIROON(0012)과 BOLAVEN(1215) 등은 대표적인 지속형으로서 느린 이동속도로 서해안에서 이격하여 통과한 태풍이며 주로 저조시에 최대해일고가 발생하는 조석변조해일 특성을 보인다. 한편 태풍 MUIFA(1109)와 WINNIE(9713)의 경우 지속형으로 구분될 수는 있지만, 외부에서 전파되어 온 해일유형으로 구분되어 조석변조해일 특성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해일유형을 토대로 서해안 지역에서 고극조위가 발생하는 패턴을 구분한 결과 현재까지 해면고가 가장 높았던 경우는 태풍 WINNIE(9713)와 같은 전파형의 크지 않은 해일고가 백중사리의 높은 조위조건과 겹쳐 발생한 경우였다. 향후 높은 조위조건에 첨두형 태풍이 겹칠 경우 전무후무한 고극조위가 발생할 수 있을 가능성이 다소 낮은 확률로 존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형태풍이 저조시에 최대해일고가 발생하는 지속형임을 감안하면 저조시 크게 나타난 해일고를 단순히 약최고고조위에 가산하여 설계조위를 산정하는 설계법은 과다설계의 우려가 크다. 태풍해일 수치모의를 통해 극치해면고를 산정할 경우에도 가급적 다양한 조위조건을 함께 부여하여 조석-해일 비선형성이 재현되도록 해야 하며, 태풍의 이동속도와 최근접거리에 따른 해일특성에 대한 변화양상을 주의 깊게 고찰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spects of typhoon-induced surg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t the Western coast,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 typhoons OLGA (9907) and KOMPASU (1007) were the representative steep types. As they pass close to the coasts with fast translation velocity, the time of maximu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Kang, 2015)에 의한 효과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기후환경에서 발생되는 해일고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서해안에서 특유의 조석-해일 비선형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태풍-해일 특성을 분석한 후 고극조위가 발생한 사례분석을 통해 고조위와 해일의 조우상황을 면밀히 고찰한다. 이를 통해 조석이 지배적인 해역에서 극치해면고 및 설계조위 산정에 반영될 수 있는 지침을 수립할 수 있다.
  • 즉 서해안 지역에서 해일고는 저조시에 커지는 경향이 있고 태풍 통과 수 시간 경과 후에 최대해일고가 형성되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해일의 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한 후 각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는데 태풍의 이동속도와 이격거리에 따라 최대해일고 발생양상이 구분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첨두형과 전파형은 조시와 무관하게 최대해일고가 형성되지만, 지속형의 경우 주로 저조시에 최대해일고가 발생하는 특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RAPIROON(0012)과 BOLAVEN(1215)의 특징은 무엇인가? 태풍 OLGA(9907)와 KOMPASU(1007)가 대표적인 첨두형 태풍인데 빠른 이동속도로 서해안에 근접하여 통과한 태풍으로 최대해일고 발생이 조시와는 무관한 특성을 보인다. 반면 태풍 PRAPIROON(0012)과 BOLAVEN(1215) 등은 대표적인 지속형으로서 느린 이동속도로 서해안에서 이격하여 통과한 태풍이며 주로 저조시에 최대해일고가 발생하는 조석변조해일 특성을 보인다. 한편 태풍 MUIFA(1109)와 WINNIE(9713)의 경우 지속형으로 구분될 수는 있지만, 외부에서 전파되어 온 해일유형으로 구분되어 조석변조해일 특성은 보이지 않는다.
태풍 OLGA(9907)와 KOMPASU(1007)의 특징은 무엇인가? 서해안 지역에서 대형태풍에 의한 해일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한 후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태풍 OLGA(9907)와 KOMPASU(1007)가 대표적인 첨두형 태풍인데 빠른 이동속도로 서해안에 근접하여 통과한 태풍으로 최대해일고 발생이 조시와는 무관한 특성을 보인다. 반면 태풍 PRAPIROON(0012)과 BOLAVEN(1215) 등은 대표적인 지속형으로서 느린 이동속도로 서해안에서 이격하여 통과한 태풍이며 주로 저조시에 최대해일고가 발생하는 조석변조해일 특성을 보인다.
서해안 지역에서 대형태풍에 의한 해일 중 조석변조해일 특성을 보이지 않는 해일 유형은 무엇인가? 반면 태풍 PRAPIROON(0012)과 BOLAVEN(1215) 등은 대표적인 지속형으로서 느린 이동속도로 서해안에서 이격하여 통과한 태풍이며 주로 저조시에 최대해일고가 발생하는 조석변조해일 특성을 보인다. 한편 태풍 MUIFA(1109)와 WINNIE(9713)의 경우 지속형으로 구분될 수는 있지만, 외부에서 전파되어 온 해일유형으로 구분되어 조석변조해일 특성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해일유형을 토대로 서해안 지역에서 고극조위가 발생하는 패턴을 구분한 결과 현재까지 해면고가 가장 높았던 경우는 태풍 WINNIE(9713)와 같은 전파형의 크지 않은 해일고가 백중사리의 높은 조위조건과 겹쳐 발생한 경우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lark, J.D. and Chu, P. (2002). Interannual variation of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central North Pacific.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80, 403-418. 

  2. Feng, X. and Tsimplis, M.N. (2014). Sea level extremes at the coasts of Chin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9, 1593-1608. 

  3. Flowerdew, J., Horsburgh, K., Wilson, C. and Mylne, K.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nsemble forecasting system for coastal storm surges.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136, 1444-1456. 

  4. Horsburgh, K.J. and Wilson, C. (2007). Tide-surge interaction and its role in the distribution of surge residuals in the North Sea. J. of Geophysical Research, 112, 1-13. 

  5. IPCC (2013). Climate change 20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Kang, J.W. (2015). Typhoon-surge characteristics in relation with the tide-surge intera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 27(1), 25-37 (in Korean). 

  7. Kang, J.W. and Kim, Y.-S. (2016). Frequency analysis on surge height by numerical simulation of a standard typho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 28(5), 284-291 (in Korean). 

  8. Kang, J.W. and Kim, Y.-S. (2018). Estimation of extreme sea levels reflecting tide-surg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 30(3), 103-113 (in Korean). 

  9. Kang, J.W., Kim, Y.-S., Cho, H. and Shim, J.-S. (2012). Estimation of extreme sea levels at tide-dominated coastal zon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 24(6), 381-389 (in Korean). 

  10. Kang, J.W. and Park, S.-J. (2017). Analysis of typhoon-surge characteristics by numerical simulation near Gori nuclear power plant. Journal of Advanced Engineering and Technology, 10(4), 457-464 (in Korean). 

  11. Kang, J.W., Kim, Y.-S., Yoon, Y.-K. and Shim, J.-S. (2014). Appearance of tide-surge interaction along the West/South Coa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 26(6), 352-358 (in Korean). 

  12. Klotzbach, P.J. (2006). Trends in global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past twenty years (1986-2005). Geophysical Research, 33. 

  13. Landsea, C.W., Nicholls, N., Gray, W.M. and Avila, L.A. (1996). Downward trends in the frequency of intense Atlantic hurricanes during the past five decades. Geophysical Research, 23, 1697-1700. 

  14. Liu, X., Jiang, W., Yang, B. and Baugh, J. (2018). Nume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yphoon-induced storm surge distribution in Zhanjiang Harbor.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215, 39-51. 

  15. Moon, I.-J., Oh, I.S., Murty, T. and Youn, Y.-H. (2003). Causes of the unusual coastal flooding generated by typhoon Winnie on the West Coast of Korea. Natural Hazards, 29, 485-500. 

  16. Mori, N. and Takemi, T. (2016). Impact assessment of coastal hazards due to future changes of tropical cyclones in the North Pacific Ocean. Weather and Climate Extremes, 11, 53-69. 

  17. Oh, S.M. and Moon, I.-J. (2013). Typhoon and storm surge intensity changes in a warming climat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Natural Hazards, 66, 1405-1429. 

  18. Seo, S.N. and Kim, S.I. (2014). Storm surges in West Coast of Korea by typhoon BOLAVEN (1215).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 26(1), 41-48 (in Korean). 

  19. Wuxi, Q., Li, J. and Nie, B. (2018). Effects of tide-surge interaction and wave set-up/set-down on surge: case studies of tropical cyclones landing China's Zhe-Min coast. Theoretical & Applied Mechanics Letters, 8, 153-159. 

  20. Yang, J.-A., Kim, S., Mori, N. and Mase, H. (2018). Assessment of long-term impact of storm surg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a large ensemble of climate projections. Coastal Engineering, 142, 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