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허약과 건강결과 간의 관계에 대한 통합적 고찰
Association of Health Outcomes with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Korean Older Adults: An Integrative Review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6 no.1, 2019년, pp.5 - 18  

손연정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이숙정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최유리 (순천향대학교천안병원 외과병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Frail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dverse health outcomes. We aimed to review the relationships between frailty and health outcomes in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individuals. Methods: Whittemore and Knafls' framework for conducting integrative reviews was used. PubMed,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이유로 최근 국내외 간호학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16,18].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허약과 건강결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Whittemore와 Knafl [17]이제시한 통합적 고찰방법에 따라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허약과 건강 결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로서 총 1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주요 목적에 대한 고찰과 분석대상 논문이 제시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논의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Whittemore와 Knafl [17]이 제시한 통합적 고찰 방법을 토대로 국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허약과 건강결과 간의 관계에 관한 문헌을 분석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허약과 건강결과와의 관련성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허약이 어떠한 건강결과를 일으키며, 허약의 수준에 따라 건강결과는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추후 허약예방 중재개발을 위한 과학적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허약 유병률은 연구마다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허약, 허약 전단계, 건강한 노인의 세 그룹으로 분류 했을 때 약 10%내외를 보였고, 5개영역 중 건강관련 삶의 질, 기능상태와 인지기능은 허약한 노인이 허약 전단계와 건강한 노인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건강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간호 실무 측면에서 허약 노인 중재 계획 시 노인의 기능상태와 인지기능 영역의 제한점을 확인할 필요와 노인간호 연구측면에서 표준화되고 타당도가 확보된 한국형 허약사정 도구의 개발과 본 연구의 개념적 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대규모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인구의 증가는 어떤 문제점을 야기하는가? 5%까지 증가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게 될 것을 예상하고 있다[1]. 노인인구의 증가는 국가적으로 노화로 인한 사회, 경제적 부담감을 가중시킬 뿐 아니라 부정적인 건강결과에 영향을 주는 허약(frailty)의 문제를 심화시키게 된다[2]. 이에, 건강상의 문제로 입원한 노인이 아니더라도 지역사회 거주하는 노인에게 나타나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손실로 인한 허약과 그 건강결과를 이해하는 것은 국민 건강과 의료비 절감을 위해 필수적인 일이다.
허약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허약은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데 Fried 등은 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취약성으로 체중 감소, 악력 저하, 심한 피로, 보행속도 저하와 활동량 저하의 특징 중 3가지 이상에 해당되는 경우로 정의하였고[3], Xue는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 경제적 스트레스 요인을 다루거나 일상생활 활동 능력이 감소된 다차원 증후군이라 설명하였다[4]. 허약은 사망, 자율성 상실, 기능 장애 및 입원과 같은 부정적인 건강결과와 관련이 있음이 널리 알려져 있다[5].
통합적 고찰이 국내외 간호학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통합적 고찰(Integrative review)은 선행연구결과를 합성하고 종합하는 문헌고찰의 한 종류로 한 가지 특정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체계적 고찰보다 확장된 연구 방법으로서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사용하여 특정한 연구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연구를 포함하는 등 연구주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16] 관심 주제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돕고 근거기반 실무 및 이론 개발에 기여한다[17]. 이러한 이유로 최근 국내외 간호학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16,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The estimated population by sex and age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cited 2018 July 26].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 

  2. Cesari M, Prince M, Thiyagarajan JA, De Carvalho IA, Bernabei R, Chan P, et al. Frailty: an emerging public health priorit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6;17(3):188-192. https://doi.org/10.1016/j.jamda.2015.12.016 

  3. Fried LP, Tangen CM, Walston J, Newman AB, Hirsch C, Gottdiener J, et al.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onotyp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2001;56(3):M146-57. https://doi.org/10.1093/gerona/56.3.M146 

  4. Xue QL. The frailty syndrome: definition and natural history.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011;27(1):1-15. https://doi.org/10.1016/j.cger.2010.08.009 

  5. Franse CB, van Grieken A, Qin L, Melis RJ, Rietjens JAC, Raat H. Ethnic differences in frailty: a cross-sectional study of pooled data from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in the Netherlands. BMJ Open. 2018;8:1-10. https;//doi:10.1136/bmjopen-2018-022241 

  6. Choi J, Ahn A, Kim S, Won CW. Global prevalence of physical frailty by Fried's criteria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national population-based survey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5;16(7):548-550. https://doi.org/10.1016/j.jamda.2015.02.004 

  7. Oh E, Son Hong GR. The evaluation of feasi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comprehensive Korean frailty instrument: using the 2008 and 2011 living profiles of older people survey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7;28(2):206-215.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2.206 

  8. Sieliwonczyk E, Perkisas S, Vandewoude M. Frailty indexes, screening instruments and their application in Belgian primary care. Acta Clinica Belgica. 2014;69(4):233-239. https://doi.org/10.1179/2295333714Y.0000000027 

  9. Fried LP, Darer J, Walston J. Frailty. In: Geriatric Medicine, Springer, New York, NY. 2003. p. 1067-1076. https://doi.org/10.1007/0-387-22621-4_74 

  10. Park JK. Experience of frailty in Korean Elderly: a phenomenological study utilizing the Colaizzi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7;47(4):562-574. https://doi.org/10.4040/jkan.2017.47.4.562 

  11. Gobbens RJJ, Luijkx KG, Wijnen-Sponselee MT, Schols JMGA. Towards an integral conceptual model of frailty.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2010;14(3):175-181. https://doi.org/10.1007/s12603-010-0045-6 

  12. The Asia-Pacific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frailty. Journal of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7;18(7):564-575. https://doi.org/10.1016/j.jamda.2017.04.018 

  13. Mello AC, Engstrom EM, Alves LC. Health-related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frailty in the elderl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adernos de Saude Publica. 2014;30(6):1143-1168. https://doi.org/10.1590/0102-311X00148213 

  14. Vermeiren S, Vella-Azzopardi R, Beckwee D, Habbig AK, Scafoglieri A, Jansen B, et al. Frailty and the prediction of negative health outcomes: a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6;17(12):1163.e1-17. https://doi.org/10.1016/j.jamda.2016.09.010 

  15. Akpan A, Roberts C, Bandeen-Roche K, Batty B, Bausewein C, Bell D, et al. Standard set of health outcome measures for older persons. BMC Geriatrics. 2018;18(1):36. https://doi.org/10.1186/s12877-017-0701-3 

  16. Hopia H, Latvala E, Liimatainen L. Reviewing the methodology of an integrative review.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6;30(4):662-669. https://doi.org/10.1111/scs.12327 

  17.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5):546-5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18. Kim H, Cho J. Understanding quality of life among adult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in south Korea: an integrative review.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7;29(4): 419-431. https://doi.org/10.7475/kjan.2017.29.4.419 

  19.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British Medical Journal. 2009;339: b2535. https://doi.org/10.1136/bmj.b2535 

  20. Moola S, Munn Z, Tufanaru C, Aromataris E, Sears K, Sfetcu R, et al. Chapter 7: Systematic reviews of etiology and risk. In: Aromataris E, Munn Z (Editors). Joanna Briggs Institute Reviewer's Manual. The Joanna Briggs Institute, 2017. Available from https://reviewersmanual.joannabriggs.org/ 

  21. Parrish GR. Measuring population health outcomes. Preventing Chronic Disease. 2010;7(4):A71. www.cdc.gov/pcd/issues/2010/jul/10_0005.htm 

  22. Ravaglia G, Forti P, Lucicesare A, Pasacane N, Rietti E, Patterson C. Development of an easy prognostic score for frailty outcomes in the aged. Age and Ageing. 2008;37(2): 161-166. https://doi.org/10.1093/ageing/afm195 

  23. Sargent L, Brown R. Assessing the current state of cognitive frailty: measurement properties.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2017;21(2):152-160. https://doi.org/10.1007/s12603-016-0735-9 

  24. Vaughan L, Corbin AL, Goveas JS. Depression and frailty in later life: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Intervention in Aging. 2015;15(10):1947-1958. https://doi.org/10.2147/CIA.S69632 

  25. Ensrud KE, Ewing SK, Cawthon PM, Fink HA, Taylor BC, Cauley JA, et al. A comparison of frailty indexes for the prediction of falls, disability, fractures, and mortality in older men.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2009; 57(3):492-498. https://doi.org/10.1111/j.1532-415.2009.02137.x 

  26. Masel MC, Graham JE, Reistetter TA, Markides KS, Ottenbacher KJ. Frail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Mexican American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9;7:70. https://doi.org/10.1186/1477-7525-7-70 

  27. de Vries NM, Staal JB, van Ravensberg CD, Hobbelen JS, Olde Rikkert MG, Nijhuis-van der Sanden MW. Outcome instruments to measure frailty: a systematic review. Ageing Research Reviews. 2011;19(1):104-114. https://doi.org/10.1016/j.arr.2010. 09.001 

  28. Hwang HS, Kwon IS, Park BJ, Cho B, Yoon JL, Won CW.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frailty index.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10;14(4):191-202. https://doi.org/10.4235/jkgs.2010.14.4.191 

  29. Jung KH, Oh YH, Lee YK, Son CG, Park BM, Lee SY, et al. Survey of the elderly in 2014. 2014.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0. Nadia DH, Nicolas R, Jacques S, Brigitte S.-E. Preferability and chronic morbidity in the youngest old: an insight from the Lausanne cohort Lc65+.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2012;60(9):1687-1694. https://doi.org/10.1111/j.1532-5415.2012.04113.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