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레드밀 보행운동이 무용전공학생과 일반학생의 유산소 운동능력에 대한 비교
The Effects on the Aerobic Function of Major in Dance and Common Students after Treadmill Gait Exercis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5, 2019년, pp.79 - 84  

서교철 (나사렛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승환 (을지대학교 의료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대 무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보행운동이 유산소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대 한국무용 전공자 10명과 일반 여대생 10명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보행운동을 실시하였다. 측정은 실험 전과 후에 심박수 회복율, 최대산소섭취량, 최대환기량, 젖산 회복율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자료는 SPSS win 1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후 유산소 운동능력의 변화를 비교해 보면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심박수 회복율과 젖산 회복율에서 유의한 증진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최대환기량과 최대산소섭취량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실험전후 집단 간 검증에는 심박수 회복율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무용 전공자의 트레드밀 훈련을 통해 유산소성 운동능력을 증진시켜 기초체력의 향상에 도움이 줄 수 있으며 과학적인 운동처방의 근거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the aerobic function of dance majors in their 20s. The subjects consisted of 10 female Korean dance majors in their 20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10 normal female college students as a control group, and both groups con...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무용 전공자들은 자신의 전공무용만을 연습하여 그 작품에 적응했을 뿐 전체적인 체력 향상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한 것으로, 유산소성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효율적 기능 증진을 위한 체력 향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는 좀 더 보편적인 방법으로 유산소운동의 대표적이고 전신 근육을 사용하는 트레드밀 보행운동을 4주간 실시하여 20대 무용전공자와 일반 여대상의 유산소 운동능력에 대한 기능적 비교를 연구하였다.
  • 연구에서는 트레드밀 보행운동이 20대 무용전공자과 일반학생의 유산소 운동능력에 대한 비교를 해보았다. 모든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총 4주, 주 3회 하루 30분씩 KSSI프로토콜방식을 이용하여 트레드밀 보행운동을 실시하였고 운동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훈련 전·후 모니터 손목시계를 착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하였고, 침습적 채혈을 통해 젖산회복율을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박수와 젖산 회복능력 중에서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절차 및 방법은? 박수 측정기(Polar T-34, Finland)를 이용하였고, 센서는 실험대상자의 가슴에 착용하였고 오른손에는 모니터 손목시계를 착용한 후 운동 30분동안 심박수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정하였다 대상자가 실험시간동안 스스로 더 이상 운동을 하기 힘들 때 운동을 중지하였다. 대상자의 검사단계별 피로상태 및 운동종료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측정자가 실시간으로 관찰하였으며, 현재 느끼는 피로상태를 피로자각도 보드판을 가리켜 물어보고 대상 자가 입으로 대답하여 표시토록 하였다. 심박수 측정은 실험전과 4주 실험 후 각각 1회씩 측정하였다.
젖산 분석기(YSI 1500, U.S.A)를 이용해 실험대상자의 젖산을 측정하는 순서가 어떻게 됩니까? 침습적 채혈측정을 위해 간호사면허증을 소지한 담당자를 실험에 도움을 받았다. 측정자는 실험대상자의 중지손가락을 가볍게 눌러 압박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킨 후 알콜솜으로 채혈할 피부부분을 닦아서 소독한 후 finger tip을 이용하여 실험대상자의 손가락 끝부분으로부터 capillary tube(작은 튜브관)로 혈액을 채취하였고, 이때 채취한 혈액은 젖산 분석기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무용 전공자들에게 하체 근력은 어떤 도움이 됩니까? 무용전공자은 기본적으로 하체의 움직임에 의해 느림과 빠름의 변화가 반복적인 움직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디딤, 굴신, 연풍대, 점프 등에서 보이는 무릎 세우며 일어나기 동작 들은 하체의 강한 근력을 요구가 되므로 하체 근력 강화가 최우선시 되고 있다. 이러한 하체 근력은 무용 전공자들이 표현하는 동작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향상 및 신체의 추진력의 증진을 도와주며 수행능력 향상을 통해 완성도 높은 표현에 도움을 준다[1]. 이뿐만 아니라 무용 전공자에게 근력과 함께 체력에도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T. H. Lee, J. I. Lee, & S. N. Lee. (2007). The Effects on Balance of Ballet Dancer by Yeok Breath Training.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9(5), 491-504. 

  2. J. H. Tark. (2012). The effect of aerobic training 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fatigue factor in blood and physical self-efficacy in ballet dancers. Journal of the Koeran Society of Dance Science, 23(1), 227-249. 

  3. K. Y. Kim, & H. K. Kim. (2009). The effect of Cardiovascular Function and Body Composition Based on Dance Training Momentum.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Girls and Women, 23(3), 1-10. 

  4. T. Y. Kim, S. Y. Yu, J. Y. Jeun, M. Y. Pyen, & H. Y. Kim. (2010). The Effect of 12-Week Balle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Growth-related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Female Stude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2(11), 783-793. 

  5. J. Y. Park, M. J. Kim, & C. M. Lee. (2002). A study of aerobic capacity, serum minerals, estrogen hormon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ballerinas. Journal of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10(2), 23-33. 

  6. Y. S. Hwang, & S. I. Oh. (2007). Compared on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nalysis concentration of blood Lactate of middle school girls on the dance major, dance sports major.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6(3), 563-571. 

  7. J. Y. Park, M. J. Kim & C. M. Lee. (2002). A study of aerobic capacity, serum minerals, estrogen hormon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ballerinas. Journal of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10(2), 23-33. 

  8. J. M. Yun. (2004). The Estimation of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and Athletic Physical Fitness Level in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Humanities Research. 29(2), 229-242. 

  9. Redding, E., & Wyon, M. (2003).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methods for evaluating the aerobic power of dancers. Journal of Dance Medicine and Science, 7(1), 10-16. 

  10. Y. E. Kim, & R. N. Kim. (2002). The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of Aerobic Capacity between Different Major Dancers. Journal of the Koeran Society of Dance Science, 4(0), 57-65. 

  11. O. J. You. (1990). A Comparative Study on the Kinesthetic Sence between Students who Majors in Dance and Common Students. Dance Research Journal of Korea, 12(0), 5-28. 

  12. K. S. Yun, K. O. Lee, & J. Y. Kim. (2001). The Kinematic and Kinetic Analysis of Treadmill Gait with Various Inclination and Speed.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Aerobic Exercise, 5(1), 49-68. 

  13. Y. G. Jung. & J. H. Yun. (2011). Human and Motor Physiology, Seoul : DaekyungBooks. 

  14. H. Y. Woo, & J. C. Byun. (2009). The Comparis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Body Compositions, Cardiopulmonary Fitness, Muscle Strength, Lumbar Bone Mineral Density and Blood Lipids on Women Dancer's Style. Dence Research Journal of Korea, 59(0), 147-167. 

  15. Blanksby, B. A., & Reidy, P. W. (1988). Heart rate and estimated energy expenditure during ballroom dancing. Br. J. Sports Med., 22(2), 57-60. 

  16. M. J. Kim. M. G. Lee. (2005). Effects of jazz dance training on maximal aerobic power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h of Dance Science, 10(0),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