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VR) 기술의 도서관서비스 적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요구 조사
College Students' Needs and Perception Assessment to Apply Virtual Reality(VR) Techniques to Library Servic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5, 2019년, pp.141 - 148  

권선영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상현실(VR)과 관련된 기술 및 콘텐츠를 도서관서비스에 접목하여 활용하는 것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정도와 요구사항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상현실 기술과 콘텐츠를 활용한 도서관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전단계 연구과정으로, 이 연구는 차세대 지능정보기술에 대한 기본 개념과 종류들을 정리하여 이해하고 현재 국내외 도서관에서의 적용 사례들을 조사한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 선행연구 분석내용들을 바탕으로 현 대학생 56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 및 콘텐츠를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과 이를 도서관 현장에서 준비하고 고려해야 할 내용과 전략들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assess college students' perception and needs for applying virtual reality(VR) techniques to library servic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 broadly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pplying various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VR techniques to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급격한 변화의 시기에 신기술의 도입과 활용에 대해 단순하고도 빠른 추종자(fast follower)가 되기보다 도서관의 본질과 존립 이유를 재고하여 이 변화의 주도자(first mover)가 되어야 할 것이다. 가상현실이라는 신기술을 시대의 조류에 따라 단순하고도 성급하게 도서관 서비스에 도입하기에 앞서, 이용자들의 의식 수준과 이들의 사회적 맥락에 따라 신기술의 적용가치가 결정된다는 대명제 아래, 본 연구는 현 대학생들의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인식과 도서관 활용 여부에 대한 요구 조사를 수행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후속연구의 제안을 받아들여, 여러 지능정보기술 중에서도 가상현실 기술에만 국한하여, 지능정보기술 사용과 도입에 가장 적극적인 계층인 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인식수준과 활용 여부 나아가 이 기술을 적용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해 어떤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미래 도서관 서비스 전략과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왜냐하면, 정보활용능력 및 정보문해력 제고를 위해 신기술(기기)에 대한 이용지도 교육을 제공하여 정보 빈부격차를 해소하고자 하는 것 또한 도서관의 존립 이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이해도나 친숙도가 낮아 초기 활용단계에 있는 가상현실 기술을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이 기술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관련 기술과 콘텐츠를 도서관 서비스에 접목하여 활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와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능정보기술 중에서 ‘가상현실(VR) 기술과 콘텐츠에 대한 요구분석에 집중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조사를 통해 가상현실 기술을 도입한 도서관 서비스개발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주의해야 할 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런 연구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들이 있고 이는 향후 연구를 통해 보충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 이런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후속연구에 대한 한계와 요청에 응답하여 일반인들이 아닌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s) 혹은 N세대, Y세대로 불리는 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능정보기술 중에서 가상현실 기술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이 신기술을 자신의 학습활동 및 일상에서 어떻게 경험하고 이해하고 있는지, 나아가 이 기술과 콘텐츠를 도서관 환경에 활용하고 접목하는 것에 대해 어떤 인식과 요구들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능정보기술 중에서 ‘가상현실(VR) 기술과 콘텐츠에 대한 요구분석에 집중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능정보사회란? 지능정보사회란, 고도화된 정보통신기술 인프라(ICBM: IoT, Cloud Computing, Big Data, Mobile)를 통해 생산·수집·가공·축적된 정보와 인공지능(AI)이 결합된 ‘지능정보기술(intelligent informationtechnology)’이 인간의 모든 삶의 분야에 활용됨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발전하는 사회를 말한다[1]. 이러한 지능정보기술에 의한 급진적인 사회변화에 대해 문헌정보학계와 도서관 현장에서는 지능정보사회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들을 소개하고 이들을 도서관 업무와 정보서비스에 접목시키려는 초기 연구[2-11]들이 시도되었는데, 최근 들어.
가상현실 기술을 주로 흥미 위주의 오락경험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이 기술의 활용이나 경험의 여부 또한 도서관이나 박물관 등 공공의 문화 및 학습공간에서가 아니라 오락 위주의 공간에서 흥미 위주의 오락경험이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이런 사용행태를 보이는 주요한 원인으로 가상현실 기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학습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콘텐츠의 부재를 일 순위로 꼽았다.
도서관의 존립 이유 중 하나는? 도서관에서는 이런 초기 단계 기술에 대한 조사와분석이 더욱 활발히 진행될 필요성이 있는데, 이는 향후신기술을 접목한 정보서비스를 개발하고 도서관에서 이 기술을 경험할 기회를 많이 제공해 주어 기술의 친숙고를 높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정보활용능력 및 정보문해력 제고를 위해 신기술(기기)에 대한 이용지도교육을 제공하여 정보 빈부격차를 해소하고자 하는 것 또한 도서관의 존립 이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이해도나 친숙도가 낮아 초기 활용단계에 있는 가상현실 기술을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이 기술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관련 기술과 콘텐츠를 도서관 서비스에 접목하여 활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와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oint Ministry. (2017). Mid- to long-term comprehensive plans for intelligent society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ejong: Joint Ministry. 

  2. J. Cho. (2012). A study on the cloud collec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 201-209. 

  3. Y. Kim. (2012).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library services based on cloud computing.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3). 57-84. 

  4. J. M. Lee. (2013). Understanding big data and utilizing its analysis in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4). 51-77. 

  5. M. K. Jung & S. Y. Kwon. (2014). A study on Internet of Things based on semantic for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235-260. 

  6. E. J. Lee & W. J. Kim. (2014). A study on the library big data service model. Conference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31-134. 

  7. Y. Noh. (2014a). A study sugges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7-40. 

  8. S. H. Pyo. et al. (2015). A study on the developing of big data services in public libr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2). 63-86. 

  9. D. J. Noh & T. Son. (2016). A study on the Internet of Things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focused on S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40). 301-320. 

  10. S. Lee. (2016). A study on the cloud collection in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Social Science. 27(20). 69-89. 

  11. T. Kim. et al. (2017).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in the library application strategies of the smart devices in the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4). 203-226. 

  12. Noh, (2014). A study analyzing Y generation users' needs for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3). 29-63. 

  13. T. Park. et al. (2018).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about the future librar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2(1). 203-229. 

  14. S. Avila. (2017).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in academic libraries. Public Services Quarterly. 13(3). I90-199. 

  15. J. Gang. et al. (2018). A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about the future of libra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ing with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1). 125-152. 

  16. 1. Cho. & J. Kim. 2018. Experimental and experiential cultural space: Focusing on Cologne City Library in German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5). 11-22. 

  17. Y. Noh. (2014c). A study analyzing Y generation users' needs for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3). 29-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