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부의 상태불안, 부부적응이 임신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ate-Anxiety and Dyadic Adjustment on Pregnant Women's Pregnancy Stre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5, 2019년, pp.225 - 233  

황란희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의 상태불안, 부부적응 및 임신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고, 상태불안과 부부적응이 임신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산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158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지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상태불안은 평균 $39.59{\pm}8.78$점(범위:20~80점)으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부부적응은 평균 $59.62{\pm}12.69$점(범위:14~84점)으로, 교육정도, 종교 유무 및 가족의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임신스트레스는 평균 $61.75{\pm}13.86$점(범위:27~135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임신스트레스는 상태불안과 유의한 수준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부적응과는 유의한 수준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태불안과 부부적응과는 유의한 수준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상태불안이었다. 임부의 상태불안이 1점 높을수록 임신스트레스는 0.799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신스트레스 영향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25.1%였다. 본 연구결과는 임부의 정서적 건강관리를 위한 산전교육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와 상태불안 완화를 위한 표준화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ate-anxiety, dyadic adjustment and pregnancy stress in pregnant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regnancy stress. Data were collected 158 pregnant women.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8년 9월 10일부터 10월 12일까지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여성전문병원에서 임신을 진단받고 산전 진찰을 받기 위해 산부인과 외래에 방문한 임부 중 연구자가 연구의 취지에 대해 설명한 후 동의한 대상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 수는 Cohen의 표본추출 공식에 따른 G*Power 3.
  • 본 연구는 임부를 대상으로 상태불안, 부부적응 및 임신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임부의 정서적, 심리적인 변화를 이해하고 각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지지와 상담을 제공하기 위한 간호 중재프로그램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부의 상태불안, 부부적응 및 임신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임신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부의 상태불안, 부부적응 및 임신스트레스의 정도와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임신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부들을 위한 간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여성전문병원에서 상담과 산전진료를 받은 임부 1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간호사가 임부의 임신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산전관리 과정에서 중요한 지지적 역할을 하는 것은 모성역할 이행과 영아의 건강을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임부들이 임신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상태불안, 부부적응 및 임신스트레스의 정도와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임신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들이 임부를 위한 산전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R. T. Mercer & L. O. Walker. (2006). A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s to foster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5(5), 568-582.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6.00080.x 

  2. J. H. Kang. (1980). A Study on Fear and Anxiety of Pregnant Women The process of having baby including pregnancy, labor and birth.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 H. Light & C. Fenster. (1974). Maternal concerns during pregnanc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118(1), 46-50. https://doi.org/10.1016/s0002-9378(16)33644-4 

  4. I. S. Lee & Y. S. Park. (1996). A study on pregnant women's health cognition and self care.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0(1), 11-24. 

  5. R. P. Lederman. (1984). Psychology adaptation in pregnancy.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Inc. 

  6. G. B. Spanier. (1976).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1), 15-28. https://doi.org/10.2307/350547 

  7. M. H. Sung & K. S. Joo. (2011).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practice of taekyo in pregnant women. Korea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1), 31-38. https://doi.org/10.4069/kjwhn.2011.17.1.31 

  8. M. K. Kwon. (2007). Antenatal depression and mother-fetal interaction.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4), 416-426. 

  9. R. T. Mercer, S. Ferketich, K. S. May, I. DeJoseph & D. Solid. (1988). Futher exploration of maternal and paternal fetal attachment.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1, 83-95. https://doi.org/10.1002/nur.4770110204 

  10. S. Brummelte & L. A. Galea. (2010). Depression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contribution of stress and ovarian hormones.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and Biological Psychiatry, 34(5), 766-776. https://doi.org/10.1016/j.pnpbp.2009.09.006 

  11. S. M. Woods, J. L. Melville, Y. Guo, M. Y. Fan & A. Gavin. (2010). Psychosocial stress during pregnanc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2(1), 61.e61-61.e67. https://doi.org/10.1016/j.ajog.2009.07.041 

  12. P. Zhu, F. Tao, J. Hao, Y. Sun & X. Jiang. (2010). Prenatal life events stress: implications for preterm birth and infant birth weight.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3(1), 34.e31-34.e38. https://doi.org/10.1016/j.ajog.2010.02.023 

  13. A. Rodriguez & G. Bohlin. (2005). Are aternal smoking and stress during pregnancy related to ADHD symptoms in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6(3), 246-254. https://doi.org/10.1111/j.1469-7610.2004.00359.x 

  14. Y. A. Kim. (2007)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tress during pregnancy and neonatal stress respon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15. H. R. Ahn. (1984).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 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Doctor degree,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https://doi.org/10.4040/jnas.1985.15.1.5 

  16. Y. Kim. (2016). Development of the Pregnancy Stress Scale in Korea Women. Doctoral degree,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17. R. H. Hwang.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xiety and Maternal Fetal Attachment of Unmarried Mothers in a Welfare Cente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3), 218-224. 

  18. R. H. Hwang. (2013).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Fetal Attachment and State Anxiety of Pregnant Women in the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2), 42-152. DOI : 0.4069/kjwhn.2013.19.3.142 

  19. M. Kim. (2014). Stress, Depression, and 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having Infertility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2), 163-172. DOI : 10.4069/kjwhn.2014.20.2.163 

  20. R. H. Hwang. (2018). Self-Esteem, Body Image and Factors Influencing on Maternal Fetal Attachment Behavior of Pregnant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9), 197-206. DOI : 10.14400/JDC.2018.16.9.000 

  21. E. Y. Lee. (2015). Influence of Anxiety and Dyadic Adjustment on Maternal-fetal attachment in High-Risk Pregnant Women.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DOI : 10.14257/ijseia.2015.9.12.32 

  22. S. A. Lee. (2014). Factors Influencing Maternal-fetal attachment among Pregnant Women.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DOI : 10.14257/astl.2015.116.20 

  23. C. D. Spielberger, R. L. Gorsuch & R. E. Lushene. (1970). Manual for the state - trait anxiety inventory. CA: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24. J. T. Kim. (1978). The Relationship of Trait Anxiety and the Soci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5. D. M. Busby, C. Chistensen, D. R. Crane, & J. H. Larson. (1995). A revision of the dyadic adjustment scale for use with distressed and nondistressed couple: Construct hierarchy and multidimensional scal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1(3), 289-308. https://doi.org/10.1111/j.1752-0606.1995.tb00163.x 

  26. S. I. Choi. (2004). Revision dyadic adjustment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Gho Hwang non Jip Kyung Hee Graduate School, 35. 

  27. J. A. Jo & Y. H. Kim. (2007). Mother's Prenatal Environment, Stress During Pregnancy,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Human Ecology, 11(2), 43-91. 

  28. R. H. Hwang. (200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xiety and maternal fetal attachment in the pregnant women. Thesis Collection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3, 429-449. 

  29. J. I. Kim. (2005). Comparison of prenat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imigravida - focused on anxiety and labor efficac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 225-231. 

  30. A. Yarcheski, N. E. Mahon, T. J. Yarcheski, M. M. Hanks & B. L. Cannella. (2009). A meta analytic study of predictor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 708-715.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8.10.013 

  31. H. J. Locke & K. M. Wallace. (1959). Short marital-adjustment and prediction tests: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1, 251-255. https://doi.org/10.2307/348022 

  32. H. J. Baek. (2009). Mediation effect of recognition of spousal support and emotional state on the relationship of pregnant women's attachment to mother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Unpublished doctoral's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33. V. J. Pop, A. M. Pommer, M. Pop-Purceleanu, H. A. Wijnen, V. Bergink & F. Pouwer.(2011). Development of the Tilburg pregnancy distress scale: the TPDS.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11(1), 80. https://doi.org/10.1186/1471-2393-11-80 

  34. Y. F. Tseng, C. M. Hsu, Y. H. Liu & C. H. Chen. (2008). The experiences of prenatal depression among Taiwanese wom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4(5), 495-50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8.04805.x 

  35. R. H. Hwang.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aternal fetal attachment in the pregnant women.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4(1), 53-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