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입 브랜드 도입을 위한 주요 요인 연구: 독점 수입 패션 의류 브랜드를 중심으로

Study on Main Factors for Imported Brand launching: Focus on Exclusive Importation Fashion Apparel Brand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 산경연구논집, v.10 no.8, 2019년, pp.45 - 53  

류문상 (Dept. of Global Commerce, Hoseo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factors to make an exclusive importation contract between foreign fashion brands and local retailers for successful business in Korea. Even though imported fashion brand market shows stead increasing in terms of sales amount, the number of stor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패션 시장에서 지속적 성장을 통해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가고 있으나 소비자 쇼핑성향이나 구매행동 차원에서만 연구되어온 해외 수입브랜드에 대해 국내 수입회사 입장에서의 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해외 패션 브랜드를 최소 10년 이상 독점 계약을 통해 국내 로컬 시장 중 백화점이나 단독점포에 전개해 본 경험이 있는 관련 기업 대표 및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해외 패션 브랜드를 독점유치하게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들이 있는지 파악해 보았다.
  • 질적 연구방법은 정량조사를 하기에는 주제가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에 정량조사에 앞서 시행하기도 하고 이미 잘 알려진 사안에 대해서도 다른 각도에서 재검토할 수 있는 내용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Ambert, 1994). 본 연구는 국내 패션 시장에서 지속적 성장을 통해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가고 있으나 소비자 쇼핑성향이나 구매행동 차원에서만 연구되어온 해외 수입브랜드에 대해 국내 수입회사 입장에서의 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해외 패션 브랜드를 최소 10년 이상 독점 계약을 통해 국내 로컬 시장 중 백화점이나 단독점포에 전개해 본 경험이 있는 관련 기업 대표 및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해외 패션 브랜드를 독점유치하게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들이 있는지 파악해 보았다.
  • 본 연구는 해외 브랜드 도입이 시행된 이후 꾸준히 매출규모의 성장세를 보이며 국내 패션시장에서 점점 그 중요성을 높여가고 있는 수입 패션 브랜드 중 계약 형태상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독점 수입계약을 통해 국내에 도입되는 브랜드의 도입 요인을 관련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정성 조사를 통해 밝혀내어 마케팅 전략 수립 및 향후 정량적 연구에 기초적 도움이 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를 질적 조사를 통해 다룬 이유는 실무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학계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분야인데 그 이유가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학계 차원의 접근이 쉽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과 연구주제가 국내 수입브랜드에 대한 것 이여서 우리나라와 유통환경이 매우 다른 해외 자료가 무의미하였기 때문 일 것이라는 연구자의 판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입 패션브랜드의 중요성과 규모가 증대되는 이유는? 한편, 이러한 수입 패션브랜드의 성장은 SPA형 브랜드와 수입 명품브랜드가 선도하고 있어 금융 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일본 SPA브랜드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에프알엘코리아의 2018회계연도 매출은 1조 3732억 원, 영업이익은 2344억 원으로 이는 각각 전년 비 11%와 33% 늘어난 것이며, 해외 명품 브랜드도 그 규모가 2015년을 기준으로 약 14조원에 이르러 세계 8위 규모를 차지하여 세계 15위권에 불과한 전체 내수시장 규모에 비하면 명품 구매력은 선진국 어느 나라에 뒤지지 않고 있다. 수입 패션브랜드가 이렇듯 그 규모와 중요성이 갈수록 증대되는 이유는 국내 패션산업의 성장이 그만큼 둔화되고 있다는 반증이며 이는 장기간에 걸친 시장 불경기와 제조기업들이 상품을 기획하여 브랜딩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시도를 회피하고 점점 기존에 만들어진 해외 브랜드 그중에서도 이미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 상품을 바잉을 통해 전개하는 비교적 손쉬운 방법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듯 지속적 성장세를 보이는 수입 패션 브랜드에 대한 연구는 오랜 역사에도 불구 충분하지 못함을 지나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사업의향서는 접수한 해외 브랜드와 어떤 절차를 통하게 되는가? 이때 사업의향서는 각종 국제 관련 전시회에서 직접 해외 본사와 만나 제품을 보면서 직접 구두로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접수한 해외 브랜드의 긍정적 1차 답변을 얻게 되면 국내 거시적, 미시적 사업 환경 소개뿐만 아니라 향후 매장 및 매출 그리고 광고 홍보 계획과 같은 매우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사업제안서(Business Proposal)을 제출하고 이때 양자는 서로 만나 이를 토대로 심도 있는 질의와 답변을 나누게 된다. 이후 양자가 사업을 함께 한다는 약속인 양해각서(Memorandum Of Understanding)를 체결한 후 본 계약(Contract)을 하게 되는데 본 계약 체결은 보통 1년 가까이 소요되는 경우가 적지 않음으로 계약의 자세한 합의로 인한 시간지연으로 사업의 적정시기를 놓치는 것을 막기 위해 보통 양해각서가 체결되면 상품의 바잉과 수출입, 그 외 기본적인 업무는 우선 시행되는 것이 보통이다.
직수입브랜드란? 직수입브랜드란 본사가 현지의 에이전트나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와 독점수입 또는 배급에 대한 계약을 하고 본사의 완제품을 수입국 계약자에게 독점 혹은 일부 독점 조건으로 제공하여 국내에서 판매하는 브랜드를 말한다(Figure 3). 대부분의 수입브랜드들의 계약 조건이 독점 계약 형으로 상품과 매장, 상품 등 모든 부분에서 해외 본사와의 협의 하에 진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aker, D. A., Kumar. V., & Day. G. S. (1995). Marketing research (5th ed.). New York, NY: Wiley. 

  2. Ahn, H. S., & Kang, H. S. (2014).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Product Planning Process of Imported Clothing Brand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43, 43-52. 

  3. Ambert, A. M. (1994). A qualitative study of peer abuse and its effects: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6, 119-130. 

  4. Dawson, S., Bloch, P. H., & Ridgway, N. M. (1990), Shopping Motives, Emotional States, and Retail Outcomes. Journal of Retailing, 60(Winter), 203-213. 

  5.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2018).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Retrieved May 25, 2019 from https://dart.fss.or.kr/dsab001/main.do 

  6. Jang, E. Y. (2008). Fashion Retailing and marketing. Seoul, Korea: Kyuhaksa. 

  7. Jang, N. K. (2008). Consumer Lifestyle and Attitude toward Environment-Friendly Fashion: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8(1), 31-47. 

  8. Jung, B. O., & Chun, J. S. (2005). Research for Imported Fashion Brand's 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 Costume Culture Association, 1, 85-87. 

  9. Kang, I. M. (1991). The market is standing at crossroad cause of indiscriminate importation of foreign brand. Journal of Marketing, 25(9), 42-45. 

  10. Kwon, S. K., Whang, J. M., & Son, S. K. (2002). The Globalization Era and Counterfeit Good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5), 87-95. 

  11. Lee, B. R., & Whang, W. R. (2010). A Comparison of Customer Preference between Domestic Brands and Licensed Brands - based on utilitarian products and hedonic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 Distribution Association, 11, 265-295. 

  12. Lyu, M. S. (2015). Fashion Launching. Seoul, Korea: Yerim.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Korea 

  13.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2018). 2018 Korea fashion market trend. Retrieved May 22, 2019, from http://www.kofoti.or.kr/Opboard/View.asp?CodeTREND&Uid1053 

  14. Park, H. J., & Park, J. O. (2002). A Comparative Study of Dissatisfaction towards Imported and Domestic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Clothing & Textile, 26(2), 364-375. 

  15. Park, M. J., Im, S. J., & Lee, S. H. (2002).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mported - Brand Pre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Clothing & Textile, 26(1), 3-14. 

  16. Park, S. H. (2012). A Study on Domestic Distribution Channels of Foreign Clothing Brands and Consumers' Purchase Decision -With focuses on competitiveness of good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by distribution channel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14(2), 173-199. 

  17. Yi, W. H., Kim, S. O., Lee, S. Y., & Youn, M. K.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tore Sellection Attributes On Brand Attitude: the 6 Major Brand Coffee-shop.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0(3), 5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