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DA 프로젝트를 활용한 글로벌 창업/취업 지원 모델
A Study on the Global Start-ups/Employment Support Model Using ODA Projects 원문보기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 산경연구논집, v.10 no.10, 2019년, pp.67 - 79  

정무섭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Dong-A University) ,  정진섭 (The School of International Busines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l that supports the recipient country by using the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 and at the same time fits the global start-up/employment support of donor country with CSV business model. Specifically, we wanted to examine th...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3장에서는 먼저 ODA와 글로벌 창업 또는 취업 지원 모델이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해 본 연구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여보고, 이어 관련 공무원 및 관계자를 중심으로 인터뷰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한국적 ODA 전략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끝으로 제4장의 결론 부문에서는 ODA를 활용한 글로벌 창업 또는 취업 지원 모델의 실현가능성을 평가하고, UN의 지속가능발전종합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기반하에서 이러한 모델을 조명하고자 했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다음에서는 구체적으로 2017년도를 기준으로 1년 동안 실행된 고용부와 코이카의 ODA 사업 전체를 기관의 보도 자료를 통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업들 중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모델을 적용해 볼 수 있는 사업들을 대상으로 실제 나타난 결과와 향후 모델적용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Table 3].
  • 외국기업의 신흥국 진출의 경우, 기술과 자본 등 이전으로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도 있지만 자국 산업 발전의 저해 등 갈등요인도 존재하며 결국 ODA 자금은 신흥국 경제성장의 중요한 도구로서 성장의 선순환 도구로 만들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Park, Kim, andLee (2014)와 Kim(2016) 등과 같이 ODA 관련 기존연구가 다수 존재하고 있으나, 본 연구와 같이 공여국의 고용창출과 관련된 연구는 드문 상황이며,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부문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고자 한다.
  • 기본적으로 KOICA는 무상원조를 제공하는 대표적 기관이다. 그런데, KOICA가 수원국의 국익외에 공여국의 어떤 목적을 가지고 ODA 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타당할 것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이슈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 출발하였다. 과거 무상원조를 하는 EU 등 많은 국가들이 주로 공여국의 이익을 위해 ODA를 수행하는 일본 등에 대해 비판해온 것이 사실이다(Kawai & Takagi, 2004).
  • 청년 창업과 관련된 기존연구는 다수 존재하지만(Min, Huh, & Han, 2018), 글로벌 비즈니스에서의 창업(start-up)이나 ODA를 활용한 글로벌 창업 연구는 아직 희소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ODA를 활용한 창업(start-up) 또는 취업 지원과 관련된 연구로서는 기존연구와 차별화를 시키고자 한다.
  • 이러한 사고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배경의 핵심이 포터의 CSV 개념이며(Jung & Lee, 2012), KOICA의 실제 ODA 사례를 통해 이를 고찰 및 검증하려는 시도가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전술하였듯 공유가치창출(CSV)과 ODA 관계 및 고용창출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2017년 수행된 KOICA 사업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선행조사를 통해 공유가치창출(CSV)의 개념과 같이 수원국의 지원이라는 ODA의 본연의 역할과 동시에 공여국의 고용창출도 ODA와 연계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이다. 다음에서는[Figure 3]의 제시된 모델을 기반으로 기존의 ODA 사업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먼저 제2장에서는 공유가치창출(CSV)과 ODA, 고용창출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2017년 수행된 KOICA 사업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선행조사를 통해 공유가치창출(CSV)의 개념과 공여국의 고용창출이 어떻게 ODA와 연계될 수 있는지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3장에서는 먼저 ODA와 글로벌 창업 또는 취업 지원 모델이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해 본 연구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여보고, 이어 관련 공무원 및 관계자를 중심으로 인터뷰 내용을 정리하였다.
  • 인터뷰의 대상자는 인도를 기반으로 한 신흥국 진출 비즈니스를 위주로 하는 컨설팅 전문업체의 대표로서, 다양한 비즈니스 컨설팅을 수행한 사람이다. 인터뷰를 하면서 이론보다는 실무적인 측면에서 ODA 활용를 활용한 고용창출 모델에 대한 타당성과 발전방향, 문제점 등에 대해 질문하였다.
  • 최근 대표적인 무상원조 기관인 KOICA의 경우, ODA 자금을 이용하여 청년들 중심의 글로벌창업이나 취업을 지원하는 모델의 구축 등 다양한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즉, ODA 프로젝트의 수행을 통해 수원국 성과를 높이는 동시에 공여국 관점에서 글로벌 창업 또는 취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도 탐색하는 것이다.
  • 즉, 앞에서 도출된 ODA를 활용한 글로벌 창업/취업 지원모델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해당 모델의 관점에서 발전방향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정책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추후 이러한 사례의 고찰을 통해 우선 고용노동부에서 이와 같이 ODA 자금을 활용하여 기존 수행하고 있는 사업 중 모델 적용을 통해 분석이 가능한 정책을 조사해보고, 이외에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다른 부처에서 수행하고 있는 ODA 사업에서 공여국 고용창출의 측면(글로벌 창업/취업 지원)을 고려하여, 부처 간 협업이 가능한 사업도 이와 같은 모델 적용을 시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DA 형태중 양자간 ODA의 종류와 특징은 무엇인가? 한편, ODA 형태는 양자간과 다자간으로 구분되고, 양자간 ODA는 무상원조와 유상원조로 구분된다. 그리고 유상원조의 형태는 주로 차관, 주식취득(Acquisition of Equity) 형태임에 반하여, 무상원조는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원조, 기술협력, 예산지원, 식량원조, 긴급지원, 부채경감, NGO에 대한 지원, 공공-민간 파트너십에 대한 기부금, 행정비용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Graves, 2015; Gai & Jung, 2012).한국은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변신한 역동적 국가로서, 이제 ODA의 전략도 변화가 필요하다.
KOICA는 ODA 자금을 통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예를 들어, 무상원조라 할지라도 단순히 무조건적인 원조보다는 지속가능하고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전략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대표적인 무상원조 기관인 KOICA의 경우, ODA 자금을 이용하여 청년들 중심의 글로벌창업이나 취업을 지원하는 모델의 구축 등 다양한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즉, ODA 프로젝트의 수행을 통해 수원국 성과를 높이는 동시에 공여국 관점에서 글로벌 창업 또는 취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도 탐색하는 것이다.
이기적인 ODA이란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윤리적 측면(즉, 사회적 측면)과 전략적 측면(즉, 경제적 측면)이라는 두 축을 가지고 ODA의 형태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기적인 ODA(Selfish ODA)는 공여자의 힘(Power)을 활용하여, 수원국의 이익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원조를 빌미로 건설플랜트를 수주하거나 제품을 판매하는 행위 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xter, L.(2016). A Grounded Theory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Public-Private Alliances i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grammes.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28(4), p569-587. 

  2. Benmamoun, M., & Lehmert, K.(2013). Financing Growth: Comparing the Effects of FDI, ODA, and International Remittances.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28(2), 43-65. 

  3. Eregha, P. B., & Oziegbe, T. R.(2016).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Volatility and Per Capita Rear GDP Growth in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A Comparative Regional Analysis. The Journal of Developing Areas, 50(4), 363-382. 

  4. Gai, J., & Jung, J. S.(2012). Korea's Strategy Concerning the Allocation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Based on an Empirical Test of Asian Countries. Research on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15(2), 81-102. 

  5. Ghasemi, S., Nazemi, M., & Hajirahimian, T.(2014).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to Creating Shared Value (CSV): Case Study of Mobarakeh Steel Company. Global Business & Management Research, 6(1), 15-23. 

  6. Graves, C.(2015). Why Modernis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ECD Observer, 303, 18-18. 

  7. Jeon S. H., Lee K. K., Lee J. H., & Son S. A.(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 

  8. Jin, C. H.(2018). The Effects of Creating Shared Value (CSV) on the Consumer Self-brand Connection: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Environment Management, 25(6), 1246-1257. 

  9. Jung, J. H.(2016). A Study on Improvement of Self-evaluation of Employment Impact on ODA. 

  10. Jung, J. S., & Lee, M. J.(2012). Scientific Technology ODA Strategy Using Appropriate Technology: Based on Creating Shared Value.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12(4), 421-443. 

  11. Jung J. S., Lee, M. J., & Yoon, Y. H.(2014). Korea's ODA Strategy Based on Creative Shared Value.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18(4), 75-99. 

  12. Jung, J. S., & Oh, J. S.(2011). An Introduction of Korean ODA Framework Rooted in Porter's Diamond Model.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Information Review, 14(6), 123-141. 

  13. Jung, M. S.(2012).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Advancing Emerging Countries.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14. Jung M. S., & Khoe, K. I.(2013). Analyses on Mutual Win-win and Packaged Emerging Market Entry Strategy of Governance.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13(3), 239-258. 

  15. Jung, W. J.(2010).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Model. KOICA. 

  16. Kawai, M., & Takagi, S.(2004). Japan'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Recent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16(2), 255-280. 

  17. KEP(2017). 2016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Korea Youth Entrepreneurship Foundation. 

  18. Kim, B. H.(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Motivations and Types of ODA in Developed Countrie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S. J., & Kim, S. C.(2019). Review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ffects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10(7), 17-27. 

  20. Kim, T. H.(2016). ODA Effects in Middle Asian Countries and Strategic Revital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dustry Studies, 21(3), 8-1103. 

  21. KOICA(2017, September 29). KOICA Becomes Platform for Rural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22. KOICA(2017, June 14). KOICA Becomes Platform for Rural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23. Korea Labor Institute(2016). Improving Self-evaluation of Employment Impact on OD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24. KOTRA(2011). Global ODA, Find Successful DNA, KOTRA In-depth Report 11-028. 

  25. Kwon, Y., Kim, H. S, Park, B. Y., Hwang, J. S., & Hong, S. Y.(2006). Overall strategy for Korean ODA Reform.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26. Lee, K. K.(2017). Status and Challenges of Employment Labor O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ternational Trade Law, 2017-2, 1-10. 

  27. Lee, S. W.(2016). ODA Policy for Promoting SMEs in Developing Countries in SDGs Era: By Supporting Policy Instruments (KIET.WERI Research Report 2016-785). 

  28. Lee, Y. J.(2013). A Plan for Activating Entrepreneurship in the Era of Creative Econom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23(2), 10-21. 

  29. Lee, Y. J.(2014).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 and Its Implications on Korean Start-up Environment (STEPI Policy Research Report 2014-08). 

  30. Leslie, H. M., Banks, G., Prinsen, G., Scheyvens, R., & Stewart­Withers, R.(2018). Complexities of Development Management in the 2020s: Aligning Values, Skills and Competencies in Development Studies. Asia Pacific Viewpoint, 59(2), 235-245. 

  31. Min, K. D., Huh, M. Y., & Han J. H.(2018). A Success Factor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or Start-ups by the Weighted-BMO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9(11), 39-54. 

  32.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2014). Win-Win Economic Cooperation Roadmap. Dong-A University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33. Park, B. Y., Kim, J. Y., & Lee, H. S.(2014). ODA Effects in Middle Asian Countries and Strategic Revital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dustry Studies, 19(2), 85-111. 

  34. Park, H. S.(2017). Environmental Assessment of Korean Entrepreneurship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of Entrepreneurship Index. KERI Brief, 17-02. 

  35. Park, J. B.(2016). Toward the Green Comfort Zone: Synergy in Environmenta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16(4), 1-11. 

  36. Porter, M. E., & Kramer, M. R.(2011). The Big Idea: Creating Shared Value. Harvard Business Review, 89, 2-17. 

  37. Prahalad, C. K.(2004). The Fortune at the Bottom of the Pyramid: Eradicating Poverty Through Profits. Philadelphia, PA: Wharton Business Publishing. 

  38. Refaei, R., & Sameti, M.(2015).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and Economic Growth in Iran.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 Economics, 2(2), 125-135. 

  39. Riddell, R. C.(2007). Foreign Aid: Diplomacy, Development, Domestic Politics. Chicago, IL: Chicago University Press. 

  40. Riddell, R. C.(2014). Does Foreign Aid Really Work? Oxford,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41. Win, T., & Cho, Y. C.(2018). Exploring Effectivenes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Comparison Analysis of Developing Countries. Journal of Marketing Thought, 5(3), 22-3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