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수준의 도서관 계획을 기반한 학교도서관의 교육공동체 협력 방안
A Plan to Cooperate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 in the School Library Based on the National Level Library Pla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3 no.2, 2019년, pp.139 - 157  

이승길 (경신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과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주요 연계점으로 학교도서관이 교육공동체에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기본계획과 종합계획 사이에서 18개의 연계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계점에서는 관종별 도서관이 교육공동체에 협력해야 하며, 학교도서관이 통로 역할을 해야 한다는 내용을 강조하고 있었다. 학교도서관의 교육공동체 협력 방안으로 관종별 도서관 전문성 강화, 학교도서관 교육과정 설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nk between the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and the Library Advancement Plan. And to find ways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community cooper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found 18 connections between the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and th...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교육공동체의 개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교육공동체란 학교와 교육청, 지역사회, 마을학교 및 공공도서관과 각종 정 보센터까지 포함하여 공동의 교육적인 목표와 가치를 공유하고 상호작용하는 공동체를 말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도서관 협력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지식정보사회가 심화하면서 지식정보의 폭증과 분화는 도서관의 독자적인 생존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사회 환경, 이용자 요구, 도서관 역할의 다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협력이 필수적이다. 제한적인 도서관 자원과 정보서비스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는 도서관 협력과 학교를 둘러싸고 교육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는 기관들에서 학교도서관을 중심에 두고 새로운 방안을 도출하는 혁신이 필요한 때이다.
전통적인 도서관 협력에서는 교육공동체가 크게 중요하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인가? 전통적인 도서관 협력에서는 학습환경 및 정보환경을 이루는 주요 요소의 집합인 교육공동체는 크게 중요하지 않았다. 도서관 내부적인 자원의 결핍을 보충하고, 남아도는 자원을 지원하는 것이 협력의 주요 관심사였다. 이제는 도서관 외부로 눈을 돌릴 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Education. 2015.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notice 2015-74). 

  2. Ministry of Education. 2017. 2015 Revision Curriculum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Commentary.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3. Ministry of Education. 2019. The Third Comprehensive Plans for the School Libraries in Korea: 2019-2023. Sejong: Korea Ministry of Education. 

  4. Kim, Dongseok and Noh, Younghee. 2018. "Analysis Study on Trends of Library Development Plan by Using Big Data Analysis."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22): 85-108. 

  5. Kim, Sung-Jun and Suh, Jin-Won. 2009.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ducational Services of Schoo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163-192. 

  6. Nam, Young-Joon and Jung, Kyeng-Ae. 2010. "A Study on the New Evaluation Index of Schoo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99-131. 

  7.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9. The Third Library Advancement Plan (2019-2023). (Publication Registration Number 12-1371748-000011-01). 

  8. Park, Ju-Hyeon and Lee, Myoung-Gyu. 2014. "Political Issue and Problem of School Library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1): 299-328. 

  9. Byun, Woo-Yeoul and Song, Gi-Ho. 2015.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 Librarians and Public Librarians about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Library and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2): 275-290. 

  10. Song, Gi-Ho et al. 2011.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of Community Service Linkage between School Library and Public Library.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11. Won, Deok Jae. 2015. "Learner-centered educational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support comparative analysis and effective ways to increase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 491-520. 

  12. Lee, Byeong Ki et al. 2019. A Study on Promotion of School Libraries and Improvement of Humanities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Reading.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3. Lee, Seung-Gil. 2006. "A Study on the Information Literacy of Public Librar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4): 63-83. 

  14. Lee, Yong-Nam. 2007. "An Analysis of Cooperative Systems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Its Outskir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 353-372. 

  15. Lee, Jae Gyeong. 2017.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the School Library Policy.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al Policy and Administration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Lee, Jae-Whoan. 2016.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Public Library Polic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21-46. 

  17. Jeong, Dong-Youl, and Kim, Sung-Jin. 2002. "A Policy Study on the Public and School Library Cooperation."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3: 5-28. 

  18. Jeong, Young Soo. 2004. "A new direction and tasks for establishing an accountable educational commun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2(1): 111-134. 

  19. Cha, Sung-Jong.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Evaluating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4): 303-331. 

  20. Cha, Sung-Jong. 2014. "An Analysis on the Unified Policy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Public Library: Focusing on the First and the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4): 241-266. 

  21. Agosto, D. E. 2016. Hey! The Library is Kind of Awesome!: Current Trends in U.S. Public Library Services for Teens. The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Seoul: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22. IASL. 1993. "IASL Policy Statement of School Libraries." [online] [cited 2019. 5. 27.] 

  23. IFLA. 2015.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revised edition: 재인용: 월드라이브러리, IFLA 학교도서관 지침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4. IFLA. 2010. IFLA Public Library Service Guidelines. Berlin/Munich: De Gruyter Sau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