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ereoscope를 이용한 미세종자류 한약재 외부형태 감별연구(제3보(報)) - 사원자(沙苑子)와 황기자(黃芪子), 정력자(葶藶子) -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Appearance of Fine Seed Herbs Using Stereoscope (Report III) - Phyllolobii seu Astragali, Lepidii, Descurainiae, Drabae Semen -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4 no.3, 2019년, pp.19 - 30  

김영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주영승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dentification keys based on stereoscopic examination of 8 seed herbs in 2 categories (Phyllolobobii Semen (PS) with 4 Astragali Semen (AS), and 2 Lepidii seu Descurainiae Semen (LDS) with 1 Drabae Semen (DS)) which have difficulties in discrimination with v...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의 2품목 8종 한약재에 대해서 1)자연 및 한약재 상태에 대한 문헌적 정리, 2)자연 상태에서의 채집 · 동정을 통한 표준품 확정, 3)유통 한약재의 구입 및 비교검토를 하였다. 기본적으로 해당 품목은 육안 혹은 단순 확대경 수준에서 구분이 어려운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보완으로 보다 상위 구분수단인 확대현미경(Stereoscope)을 이용한 감별점을 확보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감별점의 기준은 ①정품의 형태 기준 ②정품과 혼입품의 기준점 설정 ③이를 기준으로 하는 검색표 제시(자연상태 및 약재상태)이다.
  • 이상 正品기원식물 1종과 附品 2종과 僞品 2종, 모두 Astragalus屬에 속하는 同屬近緣種인 관계로 이에 대한 (종합)한약재상태 검색표(identification key in Herbs)를 작성하고자 한다.
  • 다시 말하면 단순확대경의 수준을 벗어나는 경우에 광학현미경과 확대경의 중간단계에 해당되는 확대현미경(stereoscope)의 사용이 감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저자는 1차 및 2차 발표에 이어 한약재 감별에서 크기가 작아 상호 혼입의 개연성이 높고 실제로 혼입되어 유통되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미세과실 종자류 2품목 8종 한약재(正品 沙苑子, 附品 2종 沙苑子, 僞品 2종 黃芪子, 正品 2종 葶藶子, 附品 1종 葶藶子)를 대상으로 확대현미경(Stereoscope)를 이용하여 감별한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1. 종자의 표면에 무늬가 없다.
  • 1. 줄기가 직립하고, 꽃이 黃色이며, 과실이 팽창한다
  • 1. 크기가 크며 한쪽 끝은 鈍圓하다.
  • 2. 줄기가 斜上하며 둥글고, 小葉이 7∼23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자(沙苑子)의 기원 식물은 무엇인가? 원자(沙苑子)의 기원식물은 扁莖黃芪 Phyllolobium chinense (=Astragalus complanatus) 이며 기타 附品으로 華黃芪 Astragalus chinensis와 直立黃芪 Astragalus adsurgens 2종이 있다.
한약재가 전문치료약물로서 더욱 많은 정보를 요구 받는 이유는? 한약재를 이용한 약물치료는 한방의료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 건강식품의 관심증대에 맞물려 전문치료약물로서 더욱 많은 정보를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부분에서의 중심축은 천연물로서의 한약재 효능 극대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당연하게 대두되는 부분은 正品 한약재와 良質의 한약재에 대한 요구이다.
한약재의 연구 시, 기원과 규격설정에 맞추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正品 한약재에 대한 요구는 끊임없이 발생하는 眞僞品의 논란에서 엿볼 수 있듯이 논란의 시작과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원이정확한 한약재의 선택과 사용이 효능과 부작용 등에 직접 연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겠다. 최근들어 발생했던 한약재의 의료사고(예 : 이뇨 및 최유제로서 사용되는 通草 혹은 木通에서의 등칡Aristolochia manshuriensis 오용등)는 높아지는 사회적인 요구와 여기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했을 때 한의학 전체의 신뢰도 하락으로 귀결되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he Korean medicine development institute. Establishing foundation by korean herbal medicine-Construct bank of herbal resources. The Korean medicine development institute. 2006 

  2. Kim JH, Lee KS, Choi GY, Kim YS :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t Species of Medicinal Herbs Used as Jeonho (Qianhu) Using Morphological Appearance and Chromatographic Fingerprint. Kor. J. Herbology. 2012;27(3):15-21. 

  3. Ji CY, Kim TJ, Lee SH, Kim YS, Lee GS, Kim JH, Choi G, Ju YS.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Appearance of Fine Seed Herbs Using Stereoscope (Report I) - Celosiae Semen, Celoisae Cristatae Semen, Cuscutae Semen, Perillae Semen. J Korean Med. 2013;34(3):1-12. 

  4. Kim YS, Ju YS. :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Appearance of Minute Seed Herbs Using Stereoscope (Report II) - Alli Tuberosi Semen, Alli Fistulosi Semen, Malvae Semen, Abutili Semen, Plantaginis Semen, Schizonepetae Semen. Kor. J. Herbology. 2016;31(4):61-9. 

  5.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orean Medicinal Materials vol 1, 2. Seoul : Geobook Publishing. 2015:128-31. 

  6. Chen GT. General explanation of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Beijing : Xueyuan chubanshe. 1992:876-7. 

  7. The Xinwen Feng Publishing Company. Dictionary of Chinise herbal medicine. The Xinwen Feng Publishing Company. 1982:917-9, 2102, 2248-9. 

  8. Zai SM. Identification Manual of Chinese medicine. Kai Yip Book. 1985:290-3, 1043-6, 1050. 

  9. Mao WS, Yan ZH, Mao XM, Liu SL. Herbal authenticity of identification. 1987:290, 457-9, 460. 

  10. Zai SM. Chinese Medicinal Materials Science. Kai Yip Book. 1987:566, 977-8, 1007-8. 

  11. Ren RN. Identification study of Chinese medicine.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88:113, 376-8, 390. 

  12. Guangxi Provincial Institute for Herbal medicine. Primary color illustrated book to identify Chinese herbal medicines. Guangxi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1991:130-1. 

  13. Hom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inese Herbal medicine.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99:3;2349, 4;2969, 2974 

  14. Yan WM. Chinese herbal medicines Authenticity.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00:270-1, 472. 

  15. Zhang GJ. The Modern Practical Chinese identification techniques.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00;385-6, 753-4. 

  16. Xiao PG. New Chinese medicine Journal. Chemical Industry Press. 2002:2;315-22, 584-90. 

  17. Chinese Herbal medicine and Biological Products, Guangdong Provincial Institute for Herbal medicine. Chinese herbal medicines authenticity of identification dictionary . Guangdong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2005:103, 105, 161-2, 166. 

  18. Zhang SJ. Chinese Medicinal Herbs identify the user manual. Guangdong Tourism Press. 2005:376-8. 

  19. Yang SC. Essentials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Authentication. Hen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06:124, 144-5. 

  20. Sin JH, Sin YW. Hyangyak Herbal medicine of HyangyakJipseongbang. Keimyung University Press. 2006:153 

  21. Lee GF, Zhang JL. Rapid identification of Chinese herb commonly used in. Ancient Chinese medicine Press. 2007:176-7, 222-3. 

  22. Wang ME, Pei HR. TCM character identification training material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ess. 2008:209-10 

  23.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n herbal medicine discriminate Book. Homi Publisher. 2009:187, 196-7. 

  2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Guideline on the Visual and Organoleptic Examination of Herbal Medicine.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0:4;88, 5;88-9. 

  25. Chen SL, Lin YL. Zhongyao yinpian biaozhuntujian. Fujian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 2013:329, 602-3. 

  26.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s. Herbology [Boncho-hak]. Seoul : Young-Lim Press. 2016:520-1, 620-1. 

  27. Ju YS. Ungok's illustrated guide to medicinal materials. Jeonju: Woosuk Press. 2017:266-7, 502-3. 

  28. Editorial Committee of FRPS (eds.). Flora Republicae Popularis Sinicae, Beijing: Science Press. 1993: 42(1);110, 131, 133, 175, 271-2. 

  29. Editorial Committee of FRPS (eds.). Flora Republicae Popularis Sinicae, Beijing: Science Press. 1987: 33;57, 173, 448. 

  30. Yang S, Kim W, Choi G, Yeo S, Moon B. Korean Herb. Med. Inf. 2016;4(3):27-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