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어려움과 임종간호 교육요구 조사: 혼합연구방법
Difficulties in End-of-Life Care and Educational Need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 Mixed Methods Study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2 no.2, 2019년, pp.87 - 99  

김현숙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최은경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김모임 간호학 연구소) ,  김태희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윤혜영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김은지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홍진주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홍정아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김건아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김성하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임종간호 어려움에 대해 확인하고 임종 간호 시 필요한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한 혼합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106명은 설문지를, 19명은 초점집단인터뷰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자료분석SPSS win 23 프로그램을 이용, 서술 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Mann-Whitney U test, $scheff{\acute{e}}$ test 이용하여 분석, 초점집단인터뷰는 내용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는 임종간호에 대해 업무적,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임종간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에 대한 요구와 일부 요구된 교육 내용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환자 및 보호자가 중환자실에서 평화로운 임종기를 보내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with end-of-life care (EOLC) experienced by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and to investigate their educational needs for EOLC. Methods: Mixed methods were used to survey ICU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Quantitative data (N=106) were c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임종간호 어려움에 대해 확인하고 임종 간호 시 필요한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한 혼합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종간호 제공 시 중환자실 간호사가 느끼는 어려움과 임종간호 교육 요구를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종간호란 무엇인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간호는 대상자의 총체적 차원, 즉 신체 적, 정서적, 영적 측면 모두에 관심을 가지는 전인 간호를 통하여 간호사는 임종간호를 제공 할 수 있어야 한다(3). 임종간호는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사람들이 최대한 편안하게 임종을 맞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지지와 돌봄을 의미한다(4). 간호사는 죽음에 대해 스스로의 정의와 인식을 가지고, 간호 대상자가 죽음을 자연의 순리로 받아들일 수 있게 도와야 한다(5).
임종간호수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임종을 앞둔 간호 대상자와 가족을 간호하는 간호사들은 임종간 호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임상에서 임종간호수행이 잘 이루어지 도록 해야 하나 그렇지 못하다(8). 그러고 대부분의 간호사는 죽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확실히 정립하지 못한 채로 임종간호를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9) 임종환자를 부정적으로 이해 하고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10).
중환자실 간호사가 처한 상황은 어떠한가?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환자 상태에 즉각적으로 반응 할 수 있는 근무 환경과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돌보기 때문에 임종간호수행정도가 병동에 비해 높았다(4,11,12).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임종 상황을 병동보다 빈번하게 경험하게 되고(12), 대상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대한 불안, 대상자의 임종과정을 받아 들이는 방법의 미숙, 감정적인 좌절, 소진 등을 더 자주 경험하게 된다(13). 또한 임종간호 시 업무가 급격히 증가되고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를 느끼며, 임종간호에 대한 준비가 부족함을 경험 한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Ranse K, Yates P, Coyer F. Modelling end-of-life care practices: Factors associated with critical care nurse engagement in care provision. Intensive Crit Care Nurs 2016;33:48-55. 

  2. KOSIS [Internet]. Preliminary results of birth and death statistics in 2017.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18 Feb 28].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3. Lee YS, Convergence study for understanding nursing students' holistic nursing attitudes. J Korea Convergence Soc 2019;10:361-70. 

  4. Ko MJ, Moon SH.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by ICU nurse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6;25:327-37. 

  5. Mani ZA. Intensive care unit nurse experiences of providing end-of-life care. Middle East J Nurs 2016;10:3-9. 

  6. Detering KM, Hancock AD, Reade MC, Silvester W. The impact of advance care planning on end of life care in elderly patient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10:23:340:c1345. 

  7. Kim WS, Cho HH, Kwon S. The Influenc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d Self-Esteem on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6;19:154-62. 

  8. Noh Seou Suk, Lee Chang Kwan, Sung Yong Hee. Predicator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for cancer patients. J Korean Crit Care Nurs 2016;9:61-70. 

  9. Espinosa L, Young A, Walsh T. Barriers to Intensive Care Unit nurses providing terminal care: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Crit Care Nurs Q 2008;31:83-93. 

  10. Kim JH, Chun CJ, Kim BH. A study on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s. J Korean Acad Soc Adult Nurs 1992;4:5-16. 

  11. Moon JY, Shin YS. The end-of-life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Korea J Crit Care Med 2013;28:163-72. 

  12. Park JY. Intensive care unit nurses' experiences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 2018. Korean. 

  13. Seol EM, Koh CK. Experiences of critical care nurses caring for dying patients. J Korean Crit Care Nurs 2018;11:1-10. 

  14. Kisorio LC, Langley GC. Intensive care nurses' experiences of end-of-life care. Intensive Crit Care Nurs 2016;33:30-8. 

  15. Jo KH, Park AR, Lee JJ, Choi SJ. The effect of suffering experience, empathy ability, caring behaviors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5;18:276-84. 

  16. Park SJ, Choi SH. A study on the degrees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1996;3:285-97. 

  17. Kim S, No MJ, Moon KE, Cho HJ, Park Y, Lee NJ, et 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Death perception, End of life stress and end of life nursing attitudes. J Korean Clin Nurs Res 2018;24:255-62. 

  18. Yi YH, Yang HM. Nurses' grief experience and attitudes toward bereavement/ end-of-life care of families dying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J Korean Data Analysis Soc 2015;17:1045-60. 

  19. Baek EK, Choi EJ. Terminal care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nurses in internal medicine ward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5;18:267-75. 

  20. Creswell JW. A concise introduction to mixed methods research. Los Angeles: SAGE;2015. 

  21. Caruth GD. Demystifying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 A review of the literature. MIJE 2013;3:112-22. 

  22. Son HM. Application of mixed method research. J Korean Assoc Qual Res 2018 ;3:31-9. 

  23. Yoon SH. A study on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of adaptation. J Korean Acad Nurs Adm 2002;8:55-72. 

  24.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Lawrence Earlbaum Associates;c1988. 

  25. Park JE, Kim SS.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y scale according to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intensive care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3;19:501-12. 

  26. Kinoshita S, Miyashita M. Development of scale for "difficulties felt by ICU nurses providing end-of-life care"(DFINE): a survey study. Intensive Crit Care Nurs 2011;27:202-10. 

  27. Cha ES, Kim KH, Erlen JA. Translation of scales in cross-cultural research: issues and techniques. J Adv Nurs 2007;58:386-95. 

  28.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 Res 1986;35:382-5. 

  29. Lincoln YS, Guba EG; SAGE Publishing. Naturalistic Inquiry. Berverly Hills:Sage Publications;c1985. 

  30. Elo S, Kyngas H.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 Adv Nurs. 2008;62:107-15. 

  31. Tirgari B, Forouzi MA, Razban F, Alimirzaei R. Difficulties felt by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providing end-of-life care in Southeast Iran. J Hosp Palliat Nurs 2016;18:443-9. 

  32. Beckstrand RL, Hadley KH, Luthy KE, Macintosh JLB. Critical care nurses' suggestions of improve end-of-life Care obstacles, minimal change over 17 years. Dimens Crit Care Nurs 2017;36:264-70. 

  33. Kang HJ, Bang KS.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experience in caring for infants who are dying. Child Health Nurs Res 2013;19:252-61. 

  34. Baile WF, Buckman R, Lenzi R, Glober G, Beale EA, Kudelka AP. SPIKES-A six-step protocol for delivering bad news: application to the patient with cancer. Oncologist 2000;5:302-11. 

  35. Kwon SH, Tae YS, Hong MJ, Choi GH. Hospice palliative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5;15:264-75. 

  36. Ferrell BR, Dahlin C, Campbell ML, Paice JA, Malloy P, Virani R. End-of-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ELNEC) Training Program: improving palliative care in critical care. Crit Care Nurs 2007;30:206-12. 

  37. Kang JA, Yoo YS, Park JN, Kim WC, Nam EJ, Koh SJ, et al. The effects of the pilot program in standard curriculum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8;11:206-12. 

  38. Son YL, Seo YS, A study on ethical attitude to DNR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2015;3:36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