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성인 여성의 비만,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Body Image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in Adult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2, 2019년, pp.129 - 142  

채현주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body image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for obesity management in adult wome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17 women aged over 1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만 실태를 파악함에 있어 BMI 기준 비만 뿐 아니라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복부비만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며, 복부비만에 따른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 실태에 대해서도 파악함으로써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다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특정 연령 집단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일부 연구[5,12]에서만 모든 연령대의 여성을 포함하고 있다.
  • 비만은 특정 연령대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므로 비만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전 연령대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비만 실태를 파악하고 비만과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의 관계를 파악하여 비만 정도에 따른 올바른 체형인식 및 올바른 체중조절이 실시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세 이상 여성 전체를 대상으로 BMI 기준비만 및 복부비만에 따른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 실태를 파악하여 여성의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포괄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비만,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비만,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6년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1차 년도(2016) 자료[22]를 이차 분석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제 비만 정도에 따른 체중조절을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사회적 분위기와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마른 체형을 아름다운 체형이라 잘못 인식하고 자신의 체형에 불만족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6]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11-14]. 여성의 과도한 체중조절은 무월경, 골다공증, 갑상선 기능저하 등과 같은 신체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과도한 체중조절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는 스트레스나 불안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15,16]. 따라서 여성의 비만 및 체형인식 정도를 파악하여 자신의 체형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실제 비만 정도에 따른 체중조절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만인 사람이 체중을 감량하게 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최근 비만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비만의 위험성에 대해 심각하게 인식하게 되면서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건강체중 유지를 위한 체중조절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5,6]. 비만인 사람이 체중을 감량하게 되면 당 대사가 개선되고[7],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를 개선할 수 있으며[8], 암 발생 위험도 감소하는 것[9]으로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비만인 사람의 경우 체중감량을 통해 건강위험요인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건강을 해칠 수 있을 정도로 비정상적이거나 과도하게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당뇨, 심혈관질환, 암과 같은 만성질환의 주요한 위험요인이다[1,2]. 과거 비만은 고소득(high income) 국가만의 문제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비만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cited 2018 Nov 14]. Available from: http://www.who.int/topics/obesity/en.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KR). Obesity report 2017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7 [cited 2018 Nov 14]. Available from: http://hi.nhis.or.kr/bb/ggpbb004/ggpbb004_m01.do. 

  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besity update 2017 [Internet].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7 [cited 2018 Nov 14]. Available from: https://www.oecd.org/els/health-systems/Obesity-Update-2017.pdf.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5. Hwang JH, Ryu DH, Park SW. Interaction effect between weight perception and comorbidities on weight control behavior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is there a sex difference?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s. 2015;30(8):1017-1024. 

  6. Lim YS, Park NR, Jeon SB, Jeong SY, Tserendejid Z, Park HR. Analysis of weight control behavior by body image perception among Korean women in different age groups: using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5;20(2):141-150. 

  7. Chondronikola M, Magkos F, Yoshino J, Okunade AL, Patterson BW, Muehlbauer MJ, et al. Effect of progressive weight loss on lactate metabolis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esity (Silver Spring). 2018;26(4):683-688. 

  8.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8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8. 

  9. Xu M, Jung X, Hines OJ, Eibl G, Chen Y. Obesity and pancreatic cancer: overview of epidemiology and potential prevention by weight loss. Pancreas. 2018;47(2):158-162. 

  10. Chung MY, Kim SH, Oh JS. Comparison of obesity-related life patterns with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and self-awareness of body shap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2013;11(6):1109-1115. 

  11. Burke MA, Heiland FW, Nadler CM. From "overweight" to "about right": evidence of a generational shift in body weight norms. Obesity (Silver Spring) 2010;18(6):1226-1234. 

  12. Joh HK, Oh J, Lee HJ, Kawachi I.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in relation to weight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behavior in Korean adults. Obesity Facts. 2013;6(1):17-27. 

  13. Seo J, Ma H, Kim S, Kim J, Shin M, Yang YJ. Effects of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body condition and body image perception on nutrient intake, weight control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16;49(3):153-164. 

  14. Vijayalakshmi P, Thimmaiah R, Nikhil Reddy SS, B V K, Gandhi S, BadaMath S. Gender Differences in body mass index, body weight perception, weight satisfaction, disordered eating and weight control strategies among Indian medical and nursing undergraduates. Investigacion y Educacion en Enfermeria. 2017;35(3):276-268. 

  15. Choi MS, Cheon SH. Internaliz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body shape satisfaction, anger and eating attitudes in college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4):327-335. 

  16. Mase T, Miyawaki C, Kouda K, Fujita Y, Ohara K, Nakamura H. Relationship of a desire of thinness and eating behavior among Japanese underweight female students. Eating and Weight Disorders. 2013;18(2):125-132. 

  17. Park S, Hyun T, Lee H. Weight control behavio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nutritional status by overestimation of body image among young Korean females: data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5;20(5):362-374. 

  18. Yoo JE, Oh DS, Kim NK. How does body-shape perception affect the weight control practice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14;14(1):29-35. 

  19. Ryan DH, Braverman-Panza J. Obesity in women. The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14;63(2 Suppl):S15-S20. 

  20. Yoon NR. Weight control behavior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BMI and body shape percep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7. 66 p. 

  21. Koo JO, Park S. Analysis of BMI, body composition, weight control, dietary behaviors of adult wome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1;16(4):454-465. 

  22.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Internet]. Sejong: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cited 2018 Nov 14].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main.do. 

  23. Mehboob B, Safdar NF, Zaheer S. Socio-economic, environmental and demographic determinants of rise in obesity among Pakistani women: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the Pakistan Medical Association. 2016;66(9):1165-1172. 

  24. Proietto J. Obesity and weight management at menopause. Australian Family Physician. 2017;46(6):368-370. 

  25. Roskam AJ, Kunst AE, Van Oyen H, Demarest S, Klumbiene J, Regidor E, et al. Comparative appraisal of educational inequalities in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adults in 19 European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10;39(2):392-404. 

  26. Hong MS, Pak HO, Sohn CY. A study on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and body image recogni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Incheon.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011;24(3):386-395. 

  27. Chun N, Chae HJ.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in adult wome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8;20(4):261-269. 

  28. Karner-Rezek K, Knechtle B, Fenzl M, Schlegel C, Konrad M, Rosemann T. The effects of an 8-week multicomponent inpatient treat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anaerobic fitness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neral Medicine. 2013;6:159-166. 

  29. Tanenbaum HC, Felicitas JQ, Li Y, Tobias M, Chou CP, Palmer PH, et al. Overweight perception: association with weight control goals, attempts and practice among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2016;116(3):458-466. 

  30. Awosan KJ, Adeniyi SA, Bello H, Bello-Ibrahim Z. Nutritional status, weight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practices among office employees in Sokoto, Nigeria. Pan African Medical Journal. 2017;27:2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