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임 및 정상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Infertility Women and Normal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2, 2019년, pp.207 - 218  

이채남 (화명일신병원 간호과) ,  이내영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compar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RHPBs) of infertile women with those of normal women and identify effects of RHPB on infertility. Methods: A total of 148 females (73 infertile women and 75 normal wome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Measurements included their general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난임 여부에 따른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 비교 및 난임에 대한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영향 확인을 통하여 난임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난임 유무에 따른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정도의 차이와 난임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난임 유무에 따른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하고 생식건강증진행위가 난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난임 여성이 정상 여성에 비해 생식건강증진행위와 하부영역별 생식건강증진행위 모두 점수가 낮았고, 생식건강증진행위와 하부영역 중 안전한 성행위가 난임 여부에 유의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난임 유무에 따른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하고 생식건강증진행위가 난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생식건강증진행위는 난임 여성 대상 연구가 없으므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를 사용한 미혼 여성 대상 연구와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생식건강증진행위 점수는 여자 대학생 대상에서는 3.
  • 간호 실무 측면에서는 난임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확인하였으며, 난임 여성은 정상 여성에 비해 생식건강증진행위가 낮으므로 난임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 위한 중재와 프로그램의 개발 및 도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연구 측면에서는 국내 선행 연구가 없었던 생식건강증진행위가 난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여 향후 난임 여성의 생식건강 증진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는 난임 유무에 따른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하고, 생식건강증진행위가 난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난임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클라미디아 감염은 트리코모나스균과 함께 어떤 문제를 연쇄적으로 일으키는가? 2%로 가장 주요한데, 골반 염증은 클라미디아 감염, 난관 손상 등이 원인이다[11]. 클라미디아, 트리코모나스균이 여성의 비 임균성 요도염을 유발하며, 비임균성 요도염의 40–60%에서 자궁경관염 및 내막염으로 발생하며 50%이상에서 난관염 및 골반염이 발생한다. 이 같은 골반 염증은 난임뿐 아니라 난관염의 경우에는 난관폐쇄로 인해 자궁 외 임신을 유발하기도 한다[12].
난임이란? 난임이란 결혼 후 1년간의 정상적인 성생활을 하였음에도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3]. 예전에는 ‘임신을 할 수 없다’라는 뜻의 부정적 의미를 내포하는 불임이란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2012년 모자보건법 개정 이후 ‘임신이 쉽게 되지는 않으나 치료를 통해 임신이 가능한 상태’라는 의미인 ‘난임’으로 바뀌었다.
의료급여 대상자 기준 난임 환자수는 어떻게 되는가? 예전에는 ‘임신을 할 수 없다’라는 뜻의 부정적 의미를 내포하는 불임이란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2012년 모자보건법 개정 이후 ‘임신이 쉽게 되지는 않으나 치료를 통해 임신이 가능한 상태’라는 의미인 ‘난임’으로 바뀌었다. 난임 환자는 2016년 의료급여 대상자 기준 남성 63,114명, 여성 154,949명, 전체 218,063명으로 여성의 13.2%가 난임을 경험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ST, Seong SC. 2017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8. p. 803. 

  2. Hwang NM, Lee SY, Jang IS, Park SI, Kang AR. Evaluation and analysis on 2015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e couple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p. 238. 

  3. Berek SJ.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4. 

  4. Kumar N, Singh AK. Trends of male factor infertility, an important cause of infertility: A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Human Reproductive Sciences. 2015;8(4):191-196. 

  5. Karaca A, Unsal G. Psychosocial problem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Turkish women with infertility. Asian Nursing Research. 2015;9(3):243-250. 

  6. Hanson B, Johnstone E, Dorais J, Silver B, Peterson CM, Hotaling J. Female infertility, infertility-associated diagnoses, and comorbidities: a review. Journal of Assisted Reproduction and Genetics. 2017;34(2):167-177. 

  7. Jo HY, Kim YH, Son HM.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dergraduat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4;31(5):29-43. 

  8. Wang Y, Sun Y, Di W, Kuang YP, Xu B. Association between induced abortion history and later in vitro fertilization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2018;141(3):321-326. 

  9. Price MJ, Ades AE, Soldan K, Welton NJ, Macleod J, Simms I,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Chlamydia trachomatis infection in women: a multi-parameter evidence synthesi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2016;20(22):1-250. 

  10. Lee SY. 2018 National report on fertility, family health & welfare.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 p. 511. 

  11. Joeng JE, Seo JO, Park HY, Kim YK, Yun AR. Research proposal on the clinical cause and support plan of infertility. Ilsan: NHIS Ilsan Hospital Institute of Health Insurance & Clinical Research; 2017. p. 64. 

  12. Hoenderboom BM, van Benthem BHB, van Bergen JEAM, Dukers-Muijrers NHTM, Gotz HM, Hoebe CJPA, et al. Relation between Chlamydia trachomatis infection an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ectopic pregnancy and tubal factor infertility in a Dutch cohort of women previously tested for chlamydia in a chlamydia screening trial.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2019;95(4):300-306. 

  13. UNDP/UNFPA/UNICEF/WHO/World Bank Special Programme of Research. Development and research training in human reproduction (HRP). Annual technical report 2015.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p. 244. 

  14. Ahn SH, Cho KM. Personal hygiene practices related to genito-urinary tract and menstrual hygiene management in female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3):215-224. 

  15. Kim J, Han SH. Health status, reproductive health problems, and the degree of prenatal management in married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Wealth Nursing. 2004;10(3):226-234. 

  16. Kim BG, Sung MH. The effect of sexual knowledge, sexual behavior and self-efficacy on their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7;23(1):18-25. 

  17. Ji EM, Choi SY, Je NJ.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married wome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Women Wealth Nursing. 2016;22(4):210-220. 

  18. Jung YJ, Kim HY. Factors influencing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Focusing on depression and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Women Wealth Nursing. 2017;23(2):117-125. 

  19. Ying L, Wu LH, Loke AY.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the mental health, pregnancy rates, and marital function of infertile couples undergoing in vitro fertiliz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ssisted Reproduction and Genetics. 2016;33(6):689-701. 

  20. Lee SR. Preconception care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unmarried women of childbearing age: focusing on medical service use and online reproductive health information.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p. 301. 

  21. Yang SR, Yeo JH. Effects of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pous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7;23(2):145-153. 

  22. Lee SH, Lee IY, Kim EA. Experience of taking oral contraceptives in adul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Wealth Nursing. 2017;23(4):265-275. 

  23. Kang YS, Hwang HN. A study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7;23(1):9-17. 

  24. Kim MS, Eo YS. A study o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of one universit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5;21(2):140-147. 

  25. Lee EJ. A grounded theory analysis on unmarried women'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visit to the hospital specialized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Korea Science & Art forum. 2015;20:349-364. 

  26. Min JW, Cha HW. The effect of fear and social norm on unmarried woman's intention of visiting gynecology hospital - application of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7;61(1):217-250. 

  27. Lee YR, Chu MS. Trends in reproductive health-related research on women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studies since 1995.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5;22(2):237-245. 

  28.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Sexual & reproductive health [Internet]. NewYork: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5 [cited 2019 Feb 1]. Available from: http://www.unfpa.org/sexual-reproductive-health. 

  29. Tsevat DG, Wiesenfeld HC, Parks C, Peipert J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infertilit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7;216(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