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8년간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항균제 감수성 양상: 2010~2017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Blood Culture during the Last 8 Years: 2010~2017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1 no.2, 2019년, pp.155 - 163  

김재수 (단국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공소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김종완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과) ,  임인수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과) ,  김가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검사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162,551 검체중 11,233 검체(6.9%)가 배양 양성이었으며, 이중 11,865 균주가 배양되었다. 배양된 균종 중 그람양성구균이 47.8%, 그람음성간균 38.8%, 그람양성간균 4.2%, 진균 6.8%, 혐기성균이 2.3%를 나타냈다. 배양결과를 성별로 비교하면 남성에서 분리된 균이 55.0% (2,732/4,969)로 여성에서 분리된 45.0% (2,237/4,969) 보다 많았다. 또한 연령별로는 70대가 28.7% (1,426/4,969)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10대의 1.2% (62/4,969)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MRSA에 대한 내성률은 2016년 66.7%에서 2017년에는 46.8%로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E. faecium의 vancomycin 내성률은 35.0% (48/137)로 나타났다. 한편 장내세균에서 E. coli의 ESBL 양성률은 2010년 17.2%에서 2017년 28.8%로 증가하였으나, K. pneumoniae에서는 오히려 양성률이 감소하였다. P. aeruginosa의 MRPA는 11.8% (14/119), A. baumannii에서의 MRAB는 64.3% (161/252)로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혈액 검체에서 분리되는 미생물의 균종과 항균제 감수성 양상은 시기, 지역 및 대상환자 등에 따라 다르므로 병원균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항균제 감수성 정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병원에서 내성균의 감독과 조절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time period from 2010 to 2017, out of 162,551 blood specimens, 11,233 (6.9%) specimens were positive for culture and 11,865 strains were cultured. Among the isolates, 47.8% were Gram positive cocci, 38.8% were Gram negative rods, 4.2% were Gram positive bacilli, 6.8% were fungi and 2.3%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난 8년 동안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균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연도별로 분석하여 그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0년∼ 2017년에 혈액배양 검체 수는 총 162,551건이었으며, 이 중 11,233건이 양성으로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액 배양 검사란 무엇인가? 혈액 배양 검사란 혈액 내의 미생물을 배양하여 혈액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말한다[1]. 검사 결과는 의사가 혈액 감염의 원인이 되는 것이 박테리아나 진균의 감염여부를 결정하고, 최선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혈액배양 검체에서 분리되는 병원균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향균제 감수성 정도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인 이유는? 혐기성 세균에 의한 균혈증은 최근 감소한다는 보고가 있으나 Goldstein 등[4] 지역, 병원의 특성과 환자의 연령 등에 따라 다르다고 하였다. 또한 최근 광범위한 항균제의 사용, 면역기능저하 환자의 증가 등으로 진균혈증이 증가되고 있다[5, 6]. 따라서, 혈액배양 검체에서 분리되는 병원균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항균제 감수성 정도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임상에서의 적절한 항균제의 선택이나 내성균의 감독으로 새로운 내성균 출현의 감시와 조절을 위해서 필수적이라 하겠다[6, 7].
과거에는 비병원성으로 생각했던 균종들에 의해 기회감염 및 중증의 패혈증이 생길 수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최근 노인, 면역기능저하 환자 등의 증가로 균혈증은 감소되지 않았으며, 혈액에서 분리되는 균종도 과거와는 많이 달라졌다. 즉, 장기 이식, 항암제 및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환자의 증가로 인하여 과거에는 비병원성으로 생각하였던 균종들에 의해서도 기회감염 및 중증의 패혈증이 생길 수 있다[2]. 또한 균혈증을 일으키는 병인균종과 함께 환자가 입원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혈액배양에서 흔하게 분리되는 병원균의 분포 또한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onson MD, Bor DH. Blood culture. Ann lntern Med. 1987;106:246-253. 

  2. Madeo M, Davies D, Owen L, Wadsworth P, Johnson G, Martin C. "Reduction in the contamination rate of blood cultures collected by medical staff in the accident and emergency department". Clin Eff Nurs. 2003;7:30-32. https://doi.org/10.1016/S1361-9004(03)00041-4. 

  3. Arpi M, Victor MA, Moller JK, Jonsson V, Hansen MM, Peterslund NA, et al. Changing etiology of bacteremia in patients wi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in Denmark. Scand J Infect Dis. 1994;26:157-162. 

  4. Goldstein EJ. Anaerobic bacteremia. Clin Infect Dis. 1996;23:97-101. 

  5. Leibovici L, Shraga I, Drucker M, Konigsberger H, Samra Z, Pitlik SD. The benefit of appropriate empirical antibiotic treatment in patients with bloodstream infection. J Intern Med. 1998;244:379-386. 

  6. Raveh D, Rudensky B, Schlesinger Y, Benenson S, Yinnon AM. Susceptibility trends in bacteraemias: analyses of 7544 patient-unique bacteraemic episodes spanning 11 years (1990-2000). J Hosp Infect. 2003;55:196-203. 

  7. Decousser JW, Lamy B, Pina P, Allouch PY; College of Bacteriology Virology. Trends in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loodstream pathogens in hospitalized patients in France, 1996 to 2007. Diagn Microbiol Infect Dis. 2010;66:292-300. https://doi.org/10.1016/j.diagmicrobio.2009.10.007. 

  8. CLSI.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twenty-first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S27. Wayne: CLSI; 2017. p31. 

  9. Park SH, Lee K. Prediction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edical facilities complying with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J Geol Soc Korea. 2018;53;371-385. 

  10. Cheong C, Lee TJ. Population ageing and increasing health care expenditures: counting on death related costs by age group.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17;23;127-148. 

  11. Ji MS, Choi YM, Bae ES, Kim CK. Trends in blood cultures over 4 Years. J Lab Med Qual Assur. 2017;39:141-146. https://doi.org/10.15263/jlmqa.2017.39.3.141. 

  12. Kim NH, Hwang JH, Song KH, Choe PG, Park WB, Kim ES, et al. Changes i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lood isolate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outh Korea, 1998-2010. Infect Chemother. 2012;44:275-281. https://doi.org/10.3947/ic.2012.44.4.275. 

  13. Koh EM, Lee SG, Kim CK, Kim M, Yong D, LeeK, et al.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and thei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at a university hospital during 1994-2003. Kor J Lab Med. 2007;27:265-275. https://doi.org/10.3343/kjlm.2007.27.4.265. 

  14. Ahn GY, Jang Sj, Lee SH, Jeong OY, Chaulagain BP, Moon DS, et al. Trends of the specie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of patients. Korean J Clin Microbiol. 2006;9:42-50. 

  15. Chung G, Cha J, Han S, Jang H, Lee K, Yoo J, et al. Nationwide surveillance study of vancomycin 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n Korean hospitals from 2001 to 2006. J Microbiol Biotechnol. 2010;20:637-642. 

  16. Kim MN.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and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Hanyang Med Rev. 2011;31:141-152. https://doi.org/10.7599/hmr.2011.31.3.141. 

  17. Edwards MS, Nizet V, et al. Group B streptococcal infections. In: Remington JS, Klein JO, editors. Infectious diseases of the fetus and newborn infant. 7th ed.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2011. p419-469. 

  18. Shin KA, Shin KS, Hong SB. Change pattern of specie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blood culture during 5 Years: 2008-2012. J Exp Biomed Sci. 2013;19:245-253. 

  19. Kang BK, Lee HJ, Suh JT. The trends of the specie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acteria and fungi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1986-1996). Kor J Clin Pathol. 1998;18:57-64. 

  20. Kim SY, Lim G, Kim MJ, Suh JT, Lee HJ. Trends in five-year blood cultures of 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2003-2007). Korean J Clin Microbiol. 2009;12:163-168. https://doi.org/10.5145/KJCM.2009.12.4.163. 

  21. Son BR, Shin KS. Specie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blood culture at a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5 years: 2005-2009. Chungbuk Medical Journal. 2012;22:83-95. 

  22. Weinstein MP. Blood culture contamination: persisting problems and partial progress. J Clin Microbiol. 2003;41:2275-2278. https://doi.org/10.1128/jcm.41.6.2275-2278.2003. 

  23. Favre B, Hugonnet S, Correa L, Sax H, Rohner P, Pittet D. Nosocomial bacteremia: clinical significance of a single blood culture positive for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5;26:697-702. https://doi.org/10.1086/502605. 

  24. Mirrett S, Weinstein MP, Reimer LG, Wilson ML, Reller LB. Relevance of the number of positive bottles in determining clinical significance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in blood cultures. J Clin Microbiol. 2001;39:3279-3281. https://doi.org/10.1128/jcm.39.9.3279-3281.2001. 

  25. Hall KK, Lyman JA. Updated review of blood culture contamination. Clin Microbiol Rev. 2006;788-802. https://doi.org/10.1128/CMR.00062-05. 

  26. Mylotte JM, Tayara A. Blood cultures: clinical aspects and controversies.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2000;19:157-163. 

  27. Falagas ME, Kasiakou SK, Nikita D, Morfou P, Georgoulias G, Rafailidis PI. Secular trend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of blood isolates in a newly founded Greek hospital. BMC Infect Dis. 2006;6:99. https://doi.org/10.1186/1471-2334-6-99. 

  28. Edmond MB, Wallace SE, McClish DK, Pfaller MA, Jones RN, Wenzel RP. Nosocomial bloodstream infections in United States hospitals: a three-year analysis. Clin Infect Dis. 1999;29:239-244. https://doi.org/10.1086/520192. 

  29. Leclercq R, Derlot E, Duval J, Courvalin P. Plasmid-mediated resistance to vancomycin and teicoplanin in Enterococcus faecium. N Engl J Med. 1988;319:157-161. https://doi.org/10.1056/NEJM198807213190307. 

  30. Arthur M, Couvalin P. Genetics and mechanisms of glycopeptide resistance in enterococci.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93;37:1563-1571. https://doi.org/10.1128/aac.37.8.156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