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옥시에틸렌계 반응성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oxyethylene Reactive Surfactant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2, 2019년, pp.241 - 246  

조정은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이상철 (대양포리졸) ,  박종권 (대양포리졸) ,  김경실 (대양포리졸) ,  신혜린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김유리 (대양포리졸) ,  신승훈 (대양포리졸) ,  정노희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 반응성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polyoxyethylene(23) lauryl ether(Brij 35)와 polyoxyethylene(20) stearyl ether(Brij S20)를 acrylic acid 또는 3-butenoic acid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계면활성제는 FT-IR과 $^1H$-NMR로 확인하였으며, 물성은 임계미셀농도, 유화력, 기포력을 측정하였다. 합성한 반응성 계면활성제의 표면장력과 임계미셀 농도는 35 dyne/cm~41 dyne/cm에서 $1.0{\times}10^{-4}mol/L{\sim}9.7{\times}10^{-5}mol/L$의 값을 가진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유화력은 대두유, 벤젠, 모노머에서 측정하였으며, 기포의 초기 높이 및 5 min 후의 높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reactive surfactants were synthesized by using acrylic acid or 3-butenoic acid as nonionic surfactants, polyoxyethylene(23) lauryl ether (Brij 35) and polyoxyethylene(20) stearyl ether (Brij S20). The synthesis of surfactants was confirmed by FT-IR and $^1H$-NMR. The surfac...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접착제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이온계면활성제인 polyoxyethylene(23) lauryl ether(Brij 35), Polyoxyethylene(20)stearyl ether(Brij S20)를 acrylic acid 또는 3-butanoic acid와 반응하여 활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합성화합물의 합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합성화합물을 FT-IR과 1H-NMR을 이용해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합성화합물의 탄소사슬 길이에 따른 계면물성을 비교하기 위해 표면장력, 임계미셀농도(criticalmicelle concentraion, cmc), 유화력, 기포력 등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면활성제란 무엇인가? 계면활성제는 한 분자 내에 친수기와 소수기를 동시에 가진 대표적인 양친매성 화합물로서 용액의 표면장력 저하, 습윤, 유화, 가용화, 분산, 기포성 등의 특성을 가지며, 분자 내의 친수성-소수성 그룹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질서를 갖게 되어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콜로이드 상태의 초분자 결집체를 형성할 수 있다[1,2]. 계면활성제는 친수기의 종류에 따라서 물에 녹았을 때 음이온 또는 양이온으로 해리되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이온으로 되지 않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된다[3-5].
반응성 계면활성제의 합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본 연구에서는 접착제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이온계면활성제인 polyoxyethylene(23) lauryl ether(Brij 35), Polyoxyethylene(20) stearyl ether(Brij S20)를 acrylic acid 또는 3-butanoic acid와 반응하여 활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합성화합물의 합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합성화합물을 FT-IR과 1H-NMR을 이용해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합성화합물의 탄소사슬 길이에 따른 계면물성을 비교하기 위해 표면장력, 임계미셀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ion, cmc), 유화력, 기포력 등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계면활성제는 한 분자 내에 친수기와 소수기를 동시에 가진 대표적인 양친매성 화합물로서 용액의 표면장력 저하, 습윤, 유화, 가용화, 분산, 기포성 등의 특성을 가지며, 분자 내의 친수성-소수성 그룹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질서를 갖게 되어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콜로이드 상태의 초분자 결집체를 형성할 수 있다[1,2]. 계면활성제는 친수기의 종류에 따라서 물에 녹았을 때 음이온 또는 양이온으로 해리되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이온으로 되지 않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된다[3-5]. 그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친수기가 전하를 띠지 않는 계면활성제를 뜻하며, 수용액에 녹아 작용기의 해리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 J. Rosen and J. T. Kunjappu, Surfactants and Interfacial Phenomena, 4th ed., 219-233, Wiley-Interscience, USA (2002). 

  2. F. H. Kirkpatrick and H. Sandberg, Effect of anionic surfactants, nonionic surfactants and neutral salts on the conformation of spinlabeled erythrocyte membrane proteins, Biochim. Biophys. Acta Biomembr., 298(2), 209-218 (1973). 

  3. D. A. Edwards, R. G. Luthy, and Z. Liu, Solubiliz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micellar nonionic surfactant solutions, Environ. Sci. Technol., 25, 127-133 (1991). 

  4. H. K. Ko, B. D. Park, and J. C. Lim, Studies on phase bahavior in systems containing np series nonionic surfactant, water, and Dlimonene, J. Korean Ind. Eng. Chem., 11(6), 679-686 (2000). 

  5. H. Kunieda and K. Shinoda, Phase behavior in systems of nonionic surfactant/water/oil around the hydrophile-lipophile-balancetemperature (HLB-temperature), J. Dispers. Sci. Technol., 3(3), 233-244 (2010). 

  6. J. C. Lim, Effect of Cosurfactant on Intermediate Phase Formation in systems containing alkyl ethoxylate nonionic surfactant, water and lubricant, J. Korean Ind. Eng. Chem., 16(6), 778-784 (2005). 

  7. P. G. Nilsson, H. Wennerstroem, and B. Lindman, Structure of micellar solutions of nonionic surfactant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elf-diffusion and proton relaxation studies of poly(ethylene oxide) alkyl ethers, J. Phys. Chem., 87(8), 1377-1385 (1983). 

  8. S. Laha and R. G. Luthy, Inhibition of phenanthrene mineralization by nonionic surfactants in soil-water systems, Environ. Sci. Technol., 25(11), 1920-1930 (1991). 

  9. H. Saito and K. Shinoda, The solubilization of hydrocarbons in aqueous solutions of nonionic surfactants, J. Colloid Interface Sci., 24(1), 10-15 (1967). 

  10. G. Chigwada, D. Wang, D. D. Jiang, and C. A. Wilkie, Styrenicnanocomposites prepared using a novel biphenyl-containing modified clay, Polym. Degrad. Stab., 91, 755-762 (2006). 

  11. P. G. Nilsson and B. Lindman, Water self-diffusion in nonionic surfactant solutions. Hydration and obstruction effects, J. Phys. Chem., 87(23), 4756-4761 (1983). 

  12. M. Akram, S. Yousuf, T. Sarwar, and K. U. Din, Micellization and interfacial behavior of 16-E2-16 in 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salt counterions, Colloids Surf. A, 441, 281-290 (2014). 

  13. M. Bourrel, J. L. Salager, R. S. Schechter, and W. H. Wade, A correlation for phase behavior of nonionic surfactants, J. Colloid Interface Sci., 75(2), 451-461 (1980). 

  14. A. Jonsson and B. Jonsson, The influence of nonionic and ionic surfactants on hydrophobic and hydrophilic ultrafiltration membranes, J. Membr. Sci., 56(1), 49-76 (1991). 

  15. A. Guyot and K. Tauer, Reactive surfactants in emulsion polymerization, Polym. Synth., 111, 43-65 (2005). 

  16. H. A. S. Schoonbrood and J. M. Asua, Reactive surfactants in heterophase polymerization. 9. Optimum surfmer behavior in emulsion polymerization, Macromolecules, 30(20), 6034-6041 (1997). 

  17. J. I. Amalvy, M. J. Unzue, H. A. S. Schoonbrood, and J. M. Asua, Reactive surfactants in heterophase polymerization: Colloidal properties, film-water absorption, and surfactant exudation, J. Polym. Sci., 40, 2994-3000 (2002). 

  18. H. Kunieda and K. Shinoda, Evaluation of the hydrophile-lipophile balance (HLB) of nonionic surfactants. I. Multisurfactant systems, J. Colloid Interface Sci., 107(1), 107-121 (1985). 

  19. S. G. Oh and D. O. Shah, Relationship between micellar lifetime and foamability of sodium dodecyl sulfate and sodium dodecyl sulfate/1-hexanol mixtures, J. Am. Oil Chemist. Soc., 7(7), 1316-1318 (1991). 

  20. F. O. Opawale and D. J. Burgess, Influence of interfacial properties of lipophilic surfactants on water-in-oil emulsion stability, J. Colloid Interface Sci., 197, 142-150 (1998). 

  21. R. C. Pasquali, N. Sacco, and C. Bregni, The studies on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 Sixty years after William C. Griffin's pioneer work, Lat. Am. J. Pharm., 28(7), 313-317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