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별 고아라 마늘의 주요 성분과 항균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major compound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ara garlic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3, 2019년, pp.258 - 262  

김주성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친환경연구소) ,  라종환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친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늘의 일부 품종에서 화학적 조성 및 생물학적 특성이 조사되었지만 현재 고아라 마늘의 주요 성분 및 생리활성에 대한 조사는 부족한 현실이다. 2012년 품종으로 등록된 고아라 마늘의 주요성분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귀포, 담양 및 남해에서 재배하여 비교하였다. 재배된 마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서귀포에서는 황 관련 물질(알리인과 피루베이트 총량)과 항균 활성이 우수했으며 남해에서는 페놀 함량과 환원당 함량이 풍부하였으며, 담양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고려할 때 재배 지역 간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고아라 마늘은 지금까지 보고된 다른 마늘 품종과 비슷하게 주요 성분함량과 생리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 농민, 유통 업자 및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me species of garlic have been investigated, data on Koara garlic are currently lack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ajor compound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Koara garlic, which was registered as a cultivar in 2012, it was c...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마늘의 일부 품종에서 화학적 조성 및 생물학적 특성이 조사되었지만 현재 고아라 마늘의 주요 성분 및 생리활성에 대한 조사는 부족한 현실이다. 2012년 품종으로 등록된 고아라 마늘의 주요성분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귀포, 담양 및 남해에서 재배하여 비교하였다. 재배된 마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서귀포에서는 황 관련 물질(알리인과 피루베이트 총량)과 항균 활성이 우수했으며 남해에서는 페놀 함량과 환원당 함량이 풍부하였으며, 담양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4 mL/min, 시료는 10µL, UV 파장은 208 nm에서 측정하였다. Allicin 함량은 시료에 증류수를 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였으며, 이후 과정은alliin 측정방법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이동상은 0.
  • Alliin 및 allicin 함량 분석은 Kim 등(2015a; 2015b)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Alliin 함량은 1g의 시료에 20% 에탄올 30 mL을 가하여 30분 동안 초음파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은 10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여과하여 HPLC-DAD (Agilent 1260, AgilentTechnologies, Waldbronn, Germany)로 분석하였다. 칼럼은 AgilentZorbax SB-C18를 사용하였고, 이동상은 0.
  • 6N 수산화나트륨 1 mL를 혼합하여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otal pyruvate 함량의 계산은 sodium pyruvate를 표준품으로 작성한 검량식으로 계산하였다.
  • 고아라 품종 내 함유된 미량원소의 함량을 조사하였다(Table1). 마늘의 망간 함량은 11.
  • 고아라 품종을 씻어 말린 다음 인편을 갈아서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곱게 갈은 시료 0.5 g을 왕수분해법으로 처리한 후 무기물 함량을 ICP (JY 138 Ultrace, Jobin Yvon, France)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 그람음성균 3종과 그람양성균 3종을 이용하여 마늘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Table 4). 서귀포 지역에서 재배한 마늘의 경우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Micrococcus luteus에 대한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다른 지역에서 재배한 마늘에 비해 Kocuriarhizophila에 대한 저해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9 g Na2S2O5/L)을 혼합하여 95oC 히팅블럭(HD-96D, Daihan, Korea)에서 15분 동안 반응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54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농도별로 포도당을 측정하여 검량선을 구한 후 g당 glucose equivalent (GE)로 표현하였다.
  • 마늘 착즙액은 two-fold dilution법을 이용하여 최소발육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v/v))로 표시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샘플을 96-웰플레이트에 분주 후 각 균주의 생육에 알맞은 온도에서 24시간 배양후 각 균주의 생육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 고아라의 경우 2012년 품종으로 등록되어 재배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고아라 품종에 대한 주요 성분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같은 품종이라도 재배지역에 따라 관련 성분들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고아라 종구를 분양 받아 재배한 제주도 서귀포시, 경상남도 담양군 및 전라남도 남해군 농가로부터 수확한 마늘을 채취하여 주요 성분(무기성분, 함유황 성분,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환원당)과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 표준품으로 quercetin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구한 후, 얻어진 방정식을 사용하여 g당 quercetin equivalent (QE)로 표현하였다. 마늘의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시료 200 µL에 동량의 3,5-dinitrosalicylic acid (DNS)시약(7.
  • 시료 200 µL에 동량의 3,5-dinitrosalicylic acid (DNS)시약(7.5 g DNS, 14.0 g NaOH, 126.1 g Rochelle 염, 5.4 mLphenol, 5.9 g Na2S2O5/L)을 혼합하여 95oC 히팅블럭(HD-96D, Daihan, Korea)에서 15분 동안 반응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54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제주 및 육지부에서 재배한 고아라 품종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다(Table 3). 총 페놀 함량의 경우 남해에서 재배된 마늘에서 82.
  •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위하여 시료200 µL에 10% aluminium nitrate 100 µL와 1 M potassium acetate 100 µL를 혼합하였다.
  • 그리고 UV-spectrophotometer(UV-1800, Shimadzu, Kyoto, Japan)를 사용하여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품으로 gallic acid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구한 후, 얻어진 방정식을 이용하여 g당 gallic acid equivalents(GAE)로 표현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위하여 시료200 µL에 10% aluminium nitrate 100 µL와 1 M potassium acetate 100 µL를 혼합하였다.
  • 6 mL의 80% 에탄올을 넣고, 40분 뒤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품으로 quercetin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구한 후, 얻어진 방정식을 사용하여 g당 quercetin equivalent (QE)로 표현하였다. 마늘의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 함유황 관련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였다(Table 2). Alliin 함량은 조사 샘플간 함량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대상 데이터

  • 마늘 시료는 2013년 신도영농조합법인으로부터 고아라 종구를 분양 받아 재배한 제주도 서귀포시, 경상남도 남해군과 전라남도담양군 재배농가로부터 제공받았다. Folin-Ciocalteu reagent과 알리인은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에서, 알리신은Toronto Research Chemicals (Toronto, Canada)에서, 아세토니트릴은 Fisher Scientific (Springfield, NJ,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 외 시약들은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 고아라 품종을 씻어 말린 다음 인편을 갈아서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곱게 갈은 시료 0.
  • 마늘 시료는 2013년 신도영농조합법인으로부터 고아라 종구를 분양 받아 재배한 제주도 서귀포시, 경상남도 남해군과 전라남도담양군 재배농가로부터 제공받았다. Folin-Ciocalteu reagent과 알리인은 Sigma-Aldrich Co.
  •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Suwon, Korea)에서 분양 받은 균주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마늘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3종의 그람음성균 Klebsiellapneumonia,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ca과 3종의 그람양성균 Micrococcus lut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Kocuriarhizophila을 사용하였다. 마늘 착즙액은 two-fold dilution법을 이용하여 최소발육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v/v))로 표시하였다.
  • 칼럼은 AgilentZorbax SB-C18를 사용하였고, 이동상은 0.4 mL/min, 시료는 10µL, UV 파장은 208 nm에서 측정하였다.
  •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Suwon, Korea)에서 분양 받은 균주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마늘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3종의 그람음성균 Klebsiellapneumonia,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ca과 3종의 그람양성균 Micrococcus lut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Kocuriarhizophila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통계적 분석에는 SPSS(Ver. 20, IBM Corp., 201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간 평균값을 5% 유의수준에서 최소유의차검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LSD))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Alliin 및 allicin 함량 분석은 Kim 등(2015a; 2015b)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Alliin 함량은 1g의 시료에 20% 에탄올 30 mL을 가하여 30분 동안 초음파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은 10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여과하여 HPLC-DAD (Agilent 1260, AgilentTechnologies, Waldbronn, Germany)로 분석하였다.
  • Folin-Ciocalteu 실험법을 사용하여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마늘 무게 대비 10배액의 증류수를 첨가한 후 PRO 200 Homogenizer (PRO Scientific Inc.
  • 7 mL/min, 시료는 20 µL, UV 파장은 254 nm에서 측정하였다. Schwimmer과Weston(1961)의 방법으로 total pyruvate 함량을 측정하였다. 1 g의 시료에 10% trichloroacetic acid 10 mL를 가하여 골고루 섞고 1시간 뒤에 여과하였다.
  • The MIC value against bacteria was determined by the serial dilution method. The growth of the bacteria was determined by observing the degree of turbidity in twenty hours.
  • 마늘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3종의 그람음성균 Klebsiellapneumonia,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ca과 3종의 그람양성균 Micrococcus lut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Kocuriarhizophila을 사용하였다. 마늘 착즙액은 two-fold dilution법을 이용하여 최소발육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v/v))로 표시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샘플을 96-웰플레이트에 분주 후 각 균주의 생육에 알맞은 온도에서 24시간 배양후 각 균주의 생육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llicin이란 무엇인가? 마늘의 강력한 향은 휘발성 오일 성분인 다수의 황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allicin (diallylthiosulfinate)이다. Allicin은 비단백 아미노산인alliin과 인경내에 존재하는 alliinase (alliin lyase)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이다(Miron 등, 2002). Alliin과 alliinase는 마늘 인경내의 다른 장소에 저장되어 있으나 세포가 파괴되면서 반응을 시작하게되며(Stool과 Seebeck, 1948), 그 결과 thiosulfinate, 피루브산, 암모니아가 만들어지며 thiosulfinate 화합물 중 가장 풍부한 것이allicin이다(Olech와 Zaborska, 2012).
고아라 마늘의 재배지역에 따른 성분함량은? 2012년 품종으로 등록된 고아라 마늘의주요성분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귀포, 담양 및 남해에서 재배하여 비교하였다. 재배된 마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서귀포에서는 황 관련 물질(알리인과 피루베이트 총량)과 항균 활성이 우수했으며 남해에서는 페놀 함량과 환원당 함량이 풍부하였으며, 담양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고려할 때 재배 지역 간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고아라마늘은 지금까지 보고된 다른 마늘 품종과 비슷하게 주요 성분함량과 생리 활성을 보여주었다.
Allicin의 효능은? Alliin과 alliinase는 마늘 인경내의 다른 장소에 저장되어 있으나 세포가 파괴되면서 반응을 시작하게되며(Stool과 Seebeck, 1948), 그 결과 thiosulfinate, 피루브산, 암모니아가 만들어지며 thiosulfinate 화합물 중 가장 풍부한 것이allicin이다(Olech와 Zaborska, 2012). Allicin은 지금까지 항균, 항염증, 항혈전, 항암, 항천식 활성뿐만 아니라 혈중 지질 수준을 낮추어 준다고 알려져 있다(Block, 1992; Koch와 Lawson, 1996;Lawson,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nkeblia N.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extracts of various onions (Allium cepa) and garlic (Allium sativum). LWT-Food Sci. Technol. 37: 263-268 (2004) 

  2. Block E. The organosulfur chemistry of the genus Allium-Implications for the organic chemistry of sulfur. Angew. Chem. 31: 1135-1178 (1992) 

  3. Chang KM, Lee MS. A study on mineral contents of the underground vegetables produced in Korea harvested in different times. Korean J. Soc. Food Sci. 15: 545-549 (1999) 

  4. Cho BY, Lee JH, Ra MJ, Kim SY, Kang IJ, Han KC, Lee OH. Analysis of pectolinar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irsium setidens Nakai by cultivars. J. Food Hyg. Saf. 31: 210-215 (2016) 

  5. Choi EY, Kim EH, Lee JB, Kim HS, Kim MS, Lee SG, Kim SH, Lee U, Kim DK, Lee JT. Bioactive component analysis,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n cancer cells on Rubus crataegifolius clones by region. J. Korean For. Soc. 105: 193-201 (2016) 

  6. Choi DJ, Lee SJ, Kang MJ, Cho HS, Sung NJ, Shin J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65-471 (2008) 

  7. Chung JY, Kim CS.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garlic (Allium sativum L.) stems from different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72-978 (2008) 

  8. Feldberg RS, Chang SC, Kotik AN, Nadler M, Neuwirth Z, Sundstrom DC, Thompson NH. In vitro mechanism of inhibition of bacterial cell growth by allici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2: 1763-1768 (1988) 

  9. Hong GH, Lee SK, Moon W. Alliin and fructan contents in garlics, by cultivars and cultivating areas. Kor. J. Hort. Sci. Technol. 38: 483-488 (1997) 

  10. Hyun SH, Kim MB, Lim SB.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extracts from Daejeong Jeju and major cultivating area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42-1547 (2008) 

  11. Jeong CH, Bae YI, Lee JH, Roh JG, Shin CS, Choi JS, Shim KH. Chemical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s from different cultivated area. J. Agric. Life Sci. 43: 51-59 (2009) 

  12. Jeong JY, Woo KS, Hwang IG, Yoon HS, Lee YR, Jeong HS.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ma on garlic harvested in different cultivation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37-1642 (2007) 

  13. Kim CB, Kim CY, Park M, Lee DH, Choi J. Effect of chemical properties of cultivation soils on the plant growth and the quality of garlic. Korean J. Soil Sci. Fert. 33: 333-339 (2000) 

  14. Kim MB, Oh YJ, Lim SB.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from Daejeong Jeju and major cultivation areas in Korea. Korean J. Culin. Res. 15: 59-66 (2009) 

  15. Kim JS, Ra JH. Comparison of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main component of Southern ecotype garlic cultivar cultivated in the volcanic ash soil or non-volcanic ash soil of Jeju island. Kor. J. Hort. Sci. Technol. 34: 549-556 (2016) 

  16. Kim JS, Ra JH, Hyun HN. Comparison of biocheo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uthern type garlic grown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 of Jeju. Kor. J. Hort. Sci. Technol. 33: 763-771 (2015a) 

  17. Kim JS, Ra JH, Hyun HN. Correlations between soil environment and bioactive constituents of Namdo garlic harvested in the nonvolcanic ash soil distributed western Jeju. Korean J. Med. Crop Sci. 23: 125-131 (2015b) 

  18. Koch HP, Lawson LD. Garlic: The science and therapeutic application of Allium sativum L. and related species.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D, USA. pp. 329 (1996) 

  19. Lawson LD. Garlic: A review of its medicinal effects and indicated active compounds. In: Phytomedicines of Europe: their chemistry and biological activity. Lawson LD, Bauer R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p. 176-209 (1998) 

  20. Miron T, Shin I, Feigenblat G, Weiner L, Mirelman D, Wilchek M, Rabinkov A. A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allicin, alliin, and alliinase (alliin lyase) with a chromogenic thiol: reaction of 4-mercaptopyridine with thiosulfinates. Anal. Biochem. 307: 76-83 (2002) 

  21. Moon SH, Awraris DA, Ko EY, Park SW. Comparison of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uzu (Citrus junos Sieb. ex Tanaka) based on harvest time. Kor. J. Hort. Sci. Technol. 33: 283-291 (2015) 

  22. Oh HL, Kim NY, Sohn CW, Ryu BR, Yoon JH, Kim MR. Analyses of pungency-related factors of field and rice paddy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55-660 (2012) 

  23. Olech Z, Zaborska W. A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total garlic thiosulfinates content. Kinetic aspects of reaction with chromogenic thiols. Pol. J. Food Nutr. Sci. 62: 23-29 (2012) 

  2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Koara. Avaliable from: http://www.nongsaro.go.kr and http://www.seed.go.kr. Accessed Mar. 22, 2019. 

  25. Sanders JR, Adams TM. The effects of pH and soil type on concentrations of zinc, copper and nickel extracted by calcium chloride from sewage sludge-treated soils. Environ. Pollut. 43: 219-228 (1987) 

  26. Schwimmer S, Weston WJ. Onion flavor and odor, enzymatic development of pyruvic acid in onion as a measure of pungency. J. Agric. Food Chem. 9: 301-304 (1961) 

  27.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Kim JG, Sung NJ.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during its processing. J. Life Sci. 18: 1123-1131 (2008) 

  28. Shin JH, Ju JC, Kwen OC, Yang SM, Lee SJ, Sung NJ.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Nutr. 17: 237-245 (2004) 

  29. Small LD, Bailey JH, Cavallito CJ. Alkylthiosulfinates. J. Am. Chem. Soc. 69: 1710-1713 (1947) 

  30. Stool A, Seebeck E. Allium compounds. I. Alliine, the true mother compound of garlic oil. Helv. Chim. Acta. 31: 189-210 (19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