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균일계에서의 초음파 캐비테이션 물리적 및 화학적 효과 연구
Sonochemial and Sonophysical Effects in Heterogeneous Systems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5 no.2, 2019년, pp.115 - 122  

이덕영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손영규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nophysical and sonochemical effects induced by acoustic cavitation in heterogeneous systemin a 28 kHz double-bath reactor using calorimetry, the aluminiumfoil erosion test, and the luminol test. With no glass beads, calorimetric power in the inne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내부반응기 바닥면과 외부반응기의 바닥면(진동면) 사이의 거리는 2 cm였으며, 외부 반응기에는 2 L의 수돗물을 내부반응기에는 일정양의 증류수 혹은 증류수/글라스비드(직경: 4 mm)를 채운 후 초음파를 조사하였다. 글라스비드는 내부반응기 바닥면에서의 쌓이는 높이를 기준으로 0, 0.5, 1.0, 2.0 cm를 적용하였으며, 각 비드 높이 조건에 대해 0.5, 1, 2, 3, 4, 5, 6, 7 cm (90 ~ 1,540 mL)의 전체 수위를 적용하였다.
  • 글라스비드층을 지난 초음파에 의한 캐비테이션 현상의 물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알루미늄 호일을 글라스비드층 바로 위에 바닥면과 수평이 되게 놓는 경우와 바닥면과 수직이 되게 세워 놓는 경우를 실험하였다. 글라스비드층 바로 위에 알루미늄 호일을 놓고 초음파를 조사하는 경우 모든 비드층 두께 조건 및 수위 조건에서 의미 있는 손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28 kHz 초음파 이중반응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초음파 에너지 감쇠 및 캐비테이션 물리적 효과 및 화학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내부반 응기 내 다양한 두께로 글라스비드층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글라스비드층 위 수위를 변화시켜 각 조건에서의 열량에너지 발생량을 내부 및 외부반응기에서 비교하였으며, 알루미늄 호일 실험을 통해 각 조건에서의 캐비테이션 물리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루미놀 실험을 통해 초음파 에너지 감쇠 및 화학적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 이는 액상 내 고체 물질을 직접적으로 진동자 모듈 진동면에 접촉시키기 않기 위함으로 일반적인 초음파 세척장치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식이다. 내부반응기 바닥면과 외부반응기의 바닥면(진동면) 사이의 거리는 2 cm였으며, 외부 반응기에는 2 L의 수돗물을 내부반응기에는 일정양의 증류수 혹은 증류수/글라스비드(직경: 4 mm)를 채운 후 초음파를 조사하였다. 글라스비드는 내부반응기 바닥면에서의 쌓이는 높이를 기준으로 0, 0.
  • 0 W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내부반응기가 없는 경우의 열량에너지는 진동자에서부터 내부반응기 수위 7 cm에 해당하는 수면까지의 거리를 외부반응기의 수위로 한 경우에 측정하였으며, 이때의 수위는 10 cm, 액상부 피는 4 L이었다
  • 초음파 캐비테이션에 의해 발생하는 Microjet 등의 고체 표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초음파물리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호일 실험을 수행하였다. 내부반응기의 하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의 알루미늄 호일을 내부반응기 내 글라스비드층 하부 및 상부에 설치하여 초음파에 의한 알루미늄 호일 표면의 손상 정도를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으로 정량화하여 다음의 식을 통해 비교하였다(Son, Cha et al., 2011). 이 때 적용한 실험 조건은 열량에너지법을 적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하였다.
  • 다양한 조건에서 내부반응기로 전달된 초음파에 의해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현상의 물리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호일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적으로 캐비테이션 현상이 가장 강할 것으로 예상되는 내부반응기 바닥면 바로 위(글라스비드가 있는 경우에는 바닥면과 글라스비드층 사이)에 바닥면과 수평이 되게 알루미늄 호일을 놓고 초음파에 의한 손상 정도를 분석하였다.
  • 결과적으로 내부반응기 내 글라스비드의 유무에 상관없이 액상의 수위/부피가 증가할수록 내부반응기로의 초음파에너지 집중 현상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열에너지 발생 기작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열량에너지 분석을 통한 내부반응기로의 초음파 에너지 전달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현 단계에서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음의 장에서는 액상 매질과 다공성 매질(글라스비드)이 같이 있는 조건에 서 전달된 초음파의 정도를 캐비테이션 물리적 효과 및 화학적 효과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 또한 글라스비드 상부의 수면까지의 물리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부반응기 폭과 동일한 크기의 알루미늄 호일을 세로로 세워 수위 조건이 2, 3, 6 cm의 각 조건에서 손상 정도를 분석하였다. 사용한 알루미늄 호일은 일반 주방용 호일로 두께는 15 μm였다.
  • 라디칼 반응 등으로 설명될 수 있는 캐비테이션 현상을 시각화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알루미늄 호일을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킨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루미놀 반응을 통해 확인하였다. 루미놀은 OH 라디칼과 같은 산화라디칼과 반응하여 빛을 내는 물질로 초음파화학발광기법(SCL)에 사용 되며 캐비테이션 현상의 활성화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Son, 2017).
  • 내부반 응기 내 다양한 두께로 글라스비드층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글라스비드층 위 수위를 변화시켜 각 조건에서의 열량에너지 발생량을 내부 및 외부반응기에서 비교하였으며, 알루미늄 호일 실험을 통해 각 조건에서의 캐비테이션 물리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루미놀 실험을 통해 초음파 에너지 감쇠 및 화학적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 반응기는 두 개의 아크릴 재질의 사각반응기로 구성되는데, 외부 반응기(sonoreactor/outer reactor, 200 × 200 × 200 mm3)에는 바닥면에 28 kHz 초음파 진동자 모듈을 설치하였으며, 내부 반응기(vessel/inner reactor, 150 × 150 × 150 mm3)를 외부 반응기 내부에 설치하여 간접적으로 초음파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8 kHz 초음파 이중반응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초음파 에너지 감쇠 및 캐비테이션 물리적 효과 및 화학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내부반 응기 내 다양한 두께로 글라스비드층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글라스비드층 위 수위를 변화시켜 각 조건에서의 열량에너지 발생량을 내부 및 외부반응기에서 비교하였으며, 알루미늄 호일 실험을 통해 각 조건에서의 캐비테이션 물리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CL 이미지를 얻기 위해 완벽한 암실 조건을 조성한 후 노출 기능이 포함된 디지털카메라(α58, SONY)를 이용하여 초음파 조사 조건에서 노출시간 90초를 적용하였다.
  • 그러므로 매 질 내 온도 증가의 정도를 초음파 에너지 전달의 정도로 고려할 수 있다(Asakura, 2015).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리(열량에너지법)를 이용하여 초음파 조사에 의한 내부 및 외부 반응기로의 초음파 에너지 전달을 각 수위 및 글라스비드 조건에서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Fig. 2에 나타내었다. 적용한 모든 조건에서의 유입 전기에너지는 290 W 수준으로 동일하게 하였다.
  • 다양한 조건에서 내부반응기로 전달된 초음파에 의해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현상의 물리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호일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적으로 캐비테이션 현상이 가장 강할 것으로 예상되는 내부반응기 바닥면 바로 위(글라스비드가 있는 경우에는 바닥면과 글라스비드층 사이)에 바닥면과 수평이 되게 알루미늄 호일을 놓고 초음파에 의한 손상 정도를 분석하였다. Fig.
  • 초음파 캐비테이션에 의해 발생하는 Microjet 등의 고체 표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초음파물리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호일 실험을 수행하였다. 내부반응기의 하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의 알루미늄 호일을 내부반응기 내 글라스비드층 하부 및 상부에 설치하여 초음파에 의한 알루미늄 호일 표면의 손상 정도를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으로 정량화하여 다음의 식을 통해 비교하였다(Son, Cha et al.

대상 데이터

  • 사용한 알루미늄 호일은 일반 주방용 호일로 두께는 15 μm였다.

이론/모형

  • 초음파 캐비테이션에 의해 발생하는 라디칼 등에 의한 산화반응을 루미놀(Luminol, 3-aminophthalhydrazide) 기법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다음의 반응식과 같이 액상의 루미놀이 초음파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발생한 산화 라디칼과 반응하여 들뜬 상태의 3-aminophthalate (3-APA)로 전환되고 이후 빛을 발생시킨 후 안정화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기법으로, 반응기 내 라디칼 산화반응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지점은 파란색 계열의 밝은 빛이 발생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음파 캐비테이션 현상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액상에의 20 kHz 이상의 초음파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초음파 캐비테이션 현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조건에서도 다양한 물리적 효과 및 화학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 어 다양한 환경/화학/재료/에너지 공정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Adewuyi, 2001; Gotoh and Harayama, 2013; Leong et al., 2013; Neppolian et al.
초음파 캐비테이션 현상의 장점은 무엇인가? 액상에의 20 kHz 이상의 초음파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초음파 캐비테이션 현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조건에서도 다양한 물리적 효과 및 화학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 어 다양한 환경/화학/재료/에너지 공정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Adewuyi, 2001; Gotoh and Harayama, 2013; Leong et al., 2013; Neppolian et al.
입자 및 분말을 주입할 경우 캐비테이션 활성화 활성화 정도가 크게 증진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2007)은 154 kHz 초음파 조 건에서 알루미늄 입자와 테플론 분말을 주입하여 초음파화 학발광기법(Sonochemiluminescence, SCL)을 적용하였는데, 입자 및 분말을 주입할 경우 캐비테이션 활성화 정도가 크 게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입자/분말의 존재가 캐비테이션 버블에 대한 핵형성 자리(Nucleation site)로 작용 하여 캐비테이션 현상이 보다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도 가 능하였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dewuyi, Y. G. (2001). Sonochemistry: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applications,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40, 4681-4715. 

  2. Arenas, J. P. and Crocker, M. J. (2010). Recent trends in porous sound-absorbing materials, Sound and Vibration, 44, 12-17. 

  3. Asakura, Y. (2015). Chapter 5 - Experimental methods in sonochemistry, in: Grieser, F., Choi, P. K., Enomoto, N., Harada, H., Okitsu, K., and Yasui, K. (eds.), Sonochemistry and the Acoustic Bubble, Elsevier, Amsterdam, 119-150. 

  4. Asakura, Y., Nishida, T., Matsuoka, T., and Koda, S. (2008). Effects of ultrasonic frequency and liquid height on sonochemical efficiency of large-scale sonochemical reactors, Ultrasonics Sonochemistry, 15, 244-250. 

  5. Cao, L., Fu, Q., Si, Y., Ding, B., and Yu, J. (2018). Porous materials for sound absorption, Composites Communications, 10, 25-35. 

  6. Choi, J., Khim, J., Neppolian, B., and Son, Y. (2019). Enhancement of sonochemical oxidation reactions using air sparging in a 36 kHz sonoreactor, Ultrasonics Sonochemistry, 51, 412-418. 

  7. Choi, J., Kim, T. H., Kim, H. Y., and Kim, W. (2016). Ultrasonic washing of textiles, Ultrasonics Sonochemistry, 29, 563-567. 

  8. Gotoh, K. and Harayama, K. (2013). Application of ultrasound to textiles washing in aqueous solutions, Ultrasonics Sonochemistry, 20, 747-753. 

  9. Harker, A. H. and Temple, J. A. G. (1988). Velocity and attenuation of ultrasound in suspensions of particles in fluids,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21, 1576-1588. 

  10. Hovem, J. M. (1980). Viscous attenuation of sound in suspensions and high-porosity marine sedime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67, 1559-1563. 

  11. Jensen, F. B., Kuperman, W. A., Porter, M. B., and Schmidt, H. (2011). Computational ocean acoustics, Springer New York, New York, NY, 1-64. 

  12. Kim, J., Park, B., Son, Y., and Khim, J. (2018). Peat mossderived biochar for sonocatalytic applications, Ultrasonics Sonochemistry, 42, 26-30. 

  13. Kim, S., Lee, W., and Son, Y. (2016). Ultrasonic and mechanical soil washing processes for the remediation of heavy-metal-contaminated soil,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55, 07KE04. 

  14. Lee, K. I., Humphrey, V. F., Kim, B. N., and Yoon, S. W. (2007). Frequency dependencies of phase velocity and attenuation coefficient in a water-saturated sandy sediment from 0.3 to 1.0MHz,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1, 2553-2558. 

  15. Lee, K., Park, E., and Seong, W. (2009). High frequency measurements of sound speed and attenuation in water-saturated glass-beads of varying size,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6, EL28-EL33. 

  16. Leong, T., Johansson, L., Juliano, P., McArthur S. L., and Manasseh, R. (2013). Ultrasonic separation of particulate fluids in small and large scale systems: A review,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52, 16555-16576. 

  17. Lofqvist, T. (1997). Ultrasonic wave attenuation and phase velocity in a paper-fibre suspension, Ultrasonics Symposium, Proceedings, IEEE, 1, 841-844. 

  18. Neppolian, B., Bruno, A., Bianchi, C. L., and Ashokkumar, M. (2012). Graphene oxide based Pt- $TiO_2$ photocatalyst: Ultrasound assisted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catalytic efficiency, Ultrasonics Sonochemistry, 19, 9-15. 

  19. Park, B. and Son Y. (2017). Ultrasonic and mechanical soil washing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soils, Ultrasonics Sonochemistry, 35, 640-645. 

  20. Park, J., Church, J., Son, Y., Kim, K. T., and Lee, W. H. (2017). Recent advances in ultrasonic treatment: Challenges and field applications for controlling harmful algal blooms (HABs), Ultrasonics Sonochemistry, 38, 326-334. 

  21. Rahimabady, M., Statharas, E. C., Yao, K., Mirshekarloo, M. S., Chen, S., and Tay, F. E. H. (2017). Hybrid local piezoelectric and conductive functions for high performance airborne sound absorption, Applied Physics Letters, 111, 241601. 

  22. Son, Y. (2017). Simple design strategy for bath-type highfrequency sonoreactor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328, 654-664. 

  23. Son, Y., Cha, J., Lim, M., Ashokkumar, M., and Khim, J. (2011). Comparison of ultrasonic and conventional mechanical soil-washing processes for diesel-contaminated sand,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50, 2400-2407. 

  24. Son, Y., Lim, M., Ashokkumar, M., and Khim, J. (2011). Geometric optimization of sonoreactors for the enhancement of sonochemical activity,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 115, 4096-4103. 

  25. Son, Y., Lim, M., Khim, J., and Ashokkumar, M. (2012). Attenuation of UV light in large-scale sonophotocatalytic reactors: The effects of ultrasound irradiation and $TiO_2$ concentration,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51, 232-239. 

  26. Thompson, L. H. and Doraiswamy L. K. (1999). Sonochemistry: Science and engineering,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38, 1215-1249. 

  27. Tuziuti, T., Yasui, K., Kozuka, T., Towata, A., and Iida, Y. (2007). Suppression of sonochemiluminescence reduction at high acoustic amplitudes by the addition of particles,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A, 111, 12093-12098. 

  28. Wang, X., Li, Y., Chen, T., and Ying, Z. (2015). Research on the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porous metal materials at high sound pressure levels, Advances in Mechanical Engineering, 7, 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