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Happiness in Mothers with Young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3, 2019년, pp.241 - 253  

염미정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양수 (경복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test a model of the happin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the stress-coping-adaptation model of Lazarus and Folkman. Method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to July 2016.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10 mo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Lazarus와 Folkman [6]의 스트레스-대처 적응모델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행복감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지지체계, 성격 강점 및 성격 취약성, 대처방식 등이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예측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스트레스 대처모델과 긍정심리학의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가설모형을 설정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가장 큰 스트레스로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Parenting stress)를 일차적 평가(Primary appraisal)로 보았다. 환경적 자원인 배우자의 양육지지와 심리내적 자원인 낙관성(성격강점)과 우울감(성격취약점)은 양육스트레스 상황의 변화를 위하여 자신의 자원을 확인하는 이차적 평가(Secondary appraisal)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행복감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최근 국내에서도 부모의 행복을 다룬 연구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괄적으로 다루기보다는 각 변인 들 간의 분절된 관계들을 다루고 있어서 보다 체계적인 탐색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긍정심리학적 관점으로 Lazarus와 Folkman [6]의 스트레스-대처-적응모델(stress-coping-adaptation model)을 적용하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이 적응적 과정으로 행복감에 도달하게 되는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고 이들이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며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재를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의 평가와 대처의 긍정적 적응의 결과로 행복감이 나타나는 이론적 기틀을 구축하였으며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를 외생변수로, 배우자의 양육지지와 우울감, 낙관성, 대처방식, 행복감을 내생변수로 설정하여 가설모형을 구성하였다(Figure 1). 즉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는 지지체계와 성격강점 그리고 성격취약성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머니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대처방식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가정하에 경로를 설정하였다. 특히 인간 내면의 강점(성격강점)은 스트레스나 위기상황에서 보다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원동력이 되며 낙관성과 심리적 적응 관계에서 대처의 매개효과가 유의하다는 근거[21,24]를 바탕으로 낙관성을 중심으로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로를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기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영유아기는 신체·인지·정서·사회성이 발달하고 성격적 특성이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이며, 부모는 자녀의 일차적인 환경체계로서 특히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다른 연령대의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 비해 어린 자녀를 양육하면서 물리적, 심리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크며 이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행복감의 수준이 낮았다[1].
Lazarus와 Folkman는 스트레스-대처-적응모델을 어떻게 설명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택하여 Lazarus와 Folkman [6]의 스트레스-대처-적응모델(stress-coping-adaptation model)에 근거하여 이론적 개념틀을 구성하였다. 스트레스-대처-적응모델은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결과로서 스트레스에 초점을 두고 환경상의 자극이나 어려움, 생활사건 등의 요구에 적응해가는 과정을 인지평가와 대처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이 이론에 따르면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한 대상자는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개인적, 환경적 자원에 근거하여 상황을 인지하고 평가하게 되며 이후 대처행동을 통해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하여 적응에 이른다는 것이다.
양육스트레스의 결과는 무엇인가? 부모역할 수행과 관련된 양육스트레스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에게 강하게 나타나며[2], 과도한 양육스트레스는 비일관적이고 역기능적인 양육 행동을 유발하여 자녀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4]. 또한 양육스트레스는 우울, 불안 등의 정서적 요인의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주 양육자의 우울감을 증가시키고[4,5], 어머니의 우울감은 자녀와의 건강한 애착관계 형성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환경적·심리내적 자원을 활용하여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동일한 상황속에서도 적응적인 결과에 이를 수도 있고 그와 반대되는 부적응적인 결과에 이를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Park GJ, Kim YJ, Seo MW, Yoon MJ, Lee JS, Cho KO. Parent education (for parents of infants and toddlers). Paju: Yangseowon; 2012. p. 1-356. 

  2. Seginer R, Vermulst A, Gerris J. Bringing up adolescent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of parents' child-rearing st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002;26(5):410-422. https://doi.org/10.1080/01650250143000355 

  3. Kim K. A study on work-family balance and happiness level of dual career families [dissertation].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8. p. 1-101. 

  4. Yeon EM, Choi H, Yoon HO.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the emotional temperament of infant, father's parenting engage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5;35(3):171-195.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3.008 

  5. Crnic KA, Gaze C, Hoffman C.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u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2005;14(2):117-132. https://doi.org/10.1002/icd.384 

  6.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1984. p. 1-436. 

  7. Folkman S, Moskowitz JT. Coping: Pitfalls and promis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2004;55:745-774.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5.090902.141456 

  8. Suh E, Koo J.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COMO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011;25(1);95-113. https://doi.org/10.21193/kjspp.2011.25.1.006 

  9. Kim DR, Kim JW.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and that of their parent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8;13(6):311-333. 

  10. Kim MJ, Kim J.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happiness and preschoolers’ attachment stability, and peer competenc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2010;14(2):5-28. 

  11. Kim YM, Kim J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happiness and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2011;12(1):285-302. 

  12. Chung K, Kim MJ, Ha ES.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happiness, parenting efficacy and ego-resiliency of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2;17(1):73-97. 

  13. Chung K, Park S, Yoo M, Choi E. The variables related to maternal happiness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child's age, the numbers of children, and maternal perception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3;34(4):105-123. https://doi.org/10.5723/KJCS.2013.34.4.105 

  14. Chung KS, Choi ES. The effects of mothers’ demographic,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factors on the happin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2;17(5):143-163. 

  15. Han GH, Chang MN. A study of daily happiness of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using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1;16(4):5-27. 

  16. Koo J, Suh E. Happiness in Korea: Who is happy and whe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011;25(2):143-166. https://doi.org/10.21193/kjspp.2011.25.2.008 

  17. Park JY, Chang JY. The impact of optimism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and cop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4;49(3):121-144. https://doi.org/10.15861/kjse.2014.49.3.121 

  18. Kim SH, Hwang HI. A study on perceptions by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bout flourish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5;19(3):219-242. 

  19. Scheier MF, Carver CS, Bridges MW.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4;67(6):1063-1078. https://doi.org/10.1037/0022-3514.67.6.1063 

  20. Chang EC, Maydeu-Olivares A, D'Zurilla TJ. Optimism and pessimism as partially independent constructs: Relationship to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97;23(3):433-440. https://doi.org/10.1016/s0191-8869(97)00040-8 

  21. Carver CS, Scheier MF, Segerstrom SC. Optimism.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10;30(7):879-889. https://doi.org/10.1016/j.cpr.2010.01.006 

  22. Ok KH, Chun HY. Maternal parenting stress of infants from different income groups: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ther involvement,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meanings of parenthood.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2;33(1):205-221. https://doi.org/10.5723/KJCS.2012.33.1.205 

  23. Seo MJ, Choi ES. Th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and father’s perceived fatherly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6;20(5):575-594. 

  24. Brissette I, Scheier MF, Carver CS. The role of optimism in social network development,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a life trans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2;82(1):102-111. https://doi.org/10.1037//0022-3514.82.1.102 

  25. Woo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4.0-20.0. Seoul: Hannarae; 2012. p. 160-176, 361-370. 

  26. Abidin R. Parenting stress index. 3r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5. p. 64-87. 

  27. Lee KS, Chung KM, Park JA, Kim HJ.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K-PSI-SF).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08;13(3):363-377. https://doi.org/10.18205/kpa.2008.13.3.007 

  28. Abidin RR, Brunner JF. Development of a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95;24(1):31-40.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401_4 

  29. Shin SJ, Chung MJ.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998;19(1):27-42. 

  30. Kim JM, Lim HS, Heo SH.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the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14;27(2):1-21. 

  31.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32. Chon KK, Choi SJ, Yang BC. Integrated adaptation of CES - 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1):59-76. 

  33. Kim JH, Lee JH. Relations of perceived stress, cognitive set, and coping behaviors to depressidn: A focus on freshmen's stress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88;1(1):25-45. 

  34. Son Y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communication styles and perceived emotional competence and coping strategie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09. p. 1-79. 

  35. Kim JI.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feeling of happiness,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parenting behaviors, and the elements of familial environment.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8;109:53-77. 

  36. Lim N, Lee H, Suh E.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finding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010;29(1):21-47. 

  37. Clark DA, Beck AT, Alford BA. Scientific foundations of cognitive theory and therapy of depression.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1999. p. 76-112. 

  38. Goodman SH, Brand SR. Infants of depressed mothers: Vulnerabilities,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for the later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In: Zeanah CH, editor. Handbook of Infant Mental Health. 3r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09. p. 153-170. 

  39. Murray L, Halligan S, Cooper PJ. Effects of postnatal depression on mother-infant interactions and child development. In: Bremner G, Wachs T, editors.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2nd ed. Oxford: Wiley-Blackwell; 2010. p. 192-220. 

  40. Kim SY, Min JA, Chae JH.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variables of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positive factor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Depressive and Bipolar Disorders. 2013;11(3):161-169. 

  41. Bastian B, Kuppens P, De Roover K, Diener E. Is valuing positive emotion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Emotion. 2014;14(4):639-645. https://doi.org/10.1037/a0036466 

  42. Choi H. Stress coping patter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3;32(1):1-21. 

  43. Lim HJ, Choi HJ, Lee D. An examination of variables of birth’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ouple’s characteristics, and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mother’s parenting styl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2;16(3):93-116. 

  44. Dehle C, Larsen D, Landers JE. Social support in marriage.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001;29(4):307-324. https://doi.org/10.1080/01926180126500 

  45. Seo SW, Lee DK.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nflict and infants' emotional temperamen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3;33(5):279-298. https://doi.org/10.18023/kjece.2013.33.5.012 

  46. Raffaelli M, Andrade FCD, Wiley AR, Sanchez­Armass O, Edwards LL, Aradillas­Garcia C.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stress­buffering hypothesis in a Mexican sample.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2013;23(2):283-289. https://doi.org/10.1111/jora.12006 

  47. Yi JS, Choi YH.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2010;13(1):19-32. 

  48. Kim SR, Choi HJ, Jeong KH, Lee YL.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2;16(1):551-575. 

  49. Steeger CM, Gondoli DM, Morrissey RA. Maternal avoidant coping mediates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depressive symptoms during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13;22(7):952-961. https://doi.org/10.1007/s10826-012-9657-2 

  50. Lenzenweger MF.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4;161(5):936-937. https://doi.org/10.1176/appi.ajp.161.5.9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