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면화상환자의 대인관계 경험: 현상학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Patients with Facial Burn Injuries: Phenomenological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3, 2019년, pp.263 - 273  

길명숙 (강릉영동대학교 간호학부) ,  이용미 (강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atients with facial burn injuries regarding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thod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Participants of the study consisted of five males and three femal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면화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또한 장기간의 치료로 직장에 복귀가 어려울 경우, 경제, 사회, 심리적 어려움이 많아 이들의 사회적 적응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1]. 특히 안면화상은 기도의 손상으로 호흡기 합병증이 빈발하므로 중증 화상으로 간주되며, 초기 입원기간만도 2~3개월이 걸리고 퇴원 후에도 재활 및 기능, 미용의 문제로 계속 치료를 받아야 하며, 그럼에도 손상된 흉터는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기 어려워 신체적 심리적 고통이 계속된다[2,3].
화상의 장기간 치료로 직장에 복귀가 어려운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화상은 대개 갑작스런 사고로 발생하고, 상처치료 후에도 비후성 반흔, 소양증, 관절구축 등의 후유증이 남아 환자에게 심리사회적 충격이 오래 가는 병이다. 또한 장기간의 치료로 직장에 복귀가 어려울 경우, 경제, 사회, 심리적 어려움이 많아 이들의 사회적 적응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1]. 특히 안면화상은 기도의 손상으로 호흡기 합병증이 빈발하므로 중증 화상으로 간주되며, 초기 입원기간만도 2~3개월이 걸리고 퇴원 후에도 재활 및 기능, 미용의 문제로 계속 치료를 받아야 하며, 그럼에도 손상된 흉터는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기 어려워 신체적 심리적 고통이 계속된다[2,3].
화상이란 무엇인가 화상은 대개 갑작스런 사고로 발생하고, 상처치료 후에도 비후성 반흔, 소양증, 관절구축 등의 후유증이 남아 환자에게 심리사회적 충격이 오래 가는 병이다. 또한 장기간의 치료로 직장에 복귀가 어려울 경우, 경제, 사회, 심리적 어려움이 많아 이들의 사회적 적응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Oh W, Yoon H, Choi S, Kim H, Park S, Jang H, et al.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burn patients: Focused on the need of medical social work service.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2003;6(2):99-110. 

  2. Oh JO. Effects of skin rehabilitation massage therapy on burn scars and stress.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2007;10(1):55-59. 

  3. Choi JH, Lee JW, Ko JH, Seo DK, Jang YC, Oh SJ. An analysis of facial burns.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2006;9(1):33-35. 

  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2016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Wonju: NHIS; c2017 [cited 2018 Jun 24].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menu/boardRetriveMenuSet.xx?menuIdF3321. 

  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20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Wonju: NHIS; c2016 [cited 2018 Jun 24].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menu/boardRetriveMenuSet.xx?menuIdF3321. 

  6. Zatriqi V, Arifi H, Zatriqi S, Duci S, Rrecaj Sh, Martinaj M. Facial burns-our experience. Materia Socio Medica. 2013;25(1):26-27. https://doi.org/10.5455/msm.2013.25.26-27 

  7. Shepherd L, Tattersall H, Buchanan H. Looking in the mirror for the first time after facial burns: A retrospective mixed methods study. Burns. 2014;40(8):1624-1634. https://doi.org/10.1016/j.burns.2014.03.011 

  8. Kim DH. A study on social support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rned facial disorder. Journal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2007;13(1):1-30. 

  9. Pallua N, Kunsebeck HW, Noah EM. Psychosocial adjustments 5 years after burn injury. Burns. 2003;29(2):143-152. https://doi.org/10.1016/S0305-4179(02)00238-3 

  10. Hoogewerf CJ, van Baar ME, Hop MJ, Bloemen MCT, Middelkoop E, Nieuwenhuis MK. Burns to the head and neck: Epidemiology and predictors of surgery. Burns. 2013;39(6):1184-1192. https://doi.org/10.1016/j.burns.2013.03.006 

  11. Ye EM. Psychological morbidity in patients with facial and neck burns. Burns. 1998;24(7):646-648. https://doi.org/10.1016/S0305-4179(98)00081-3 

  12. Partridge J. Changing faces: The challenge of facial disfigurement. 3rd ed. London: Changing Faces; 1997. p. 1-131. 

  13. Yang HT.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a discrimination degree among disabled people with severe burns - focus on disability, psychological, use social welfare servic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1;27(1):375-399. 

  14. Kong BH. Phenomenology in nursing research. Research in Philosophy and Phenomenology. 2004;23:151-178. 

  15. Colaizzi PF.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S, King M, editor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p. 48-71. 

  16. Guba EG, Lincoln YS.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1981. p. 103-127. 

  17. Oh WH, Park SY, Jang HJ.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ocial adjustment of burn patients: Focusing on MBTI growth group program.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2002;5(2):91-101. 

  18. Kim KH, Lee HK. The effect of positive emotion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exploration of path model among experiential avoidance, self-compassion, and cognitive empath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5;16(6):83-107. 

  19. Lee JM. Phenomenological study on post-discharge life experiences of burn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0. p. 1-94. 

  20. Wei Y, Li-Tsang CWP.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facial burn injury: Principles and practice experiences [Internet]. Handerson (NV): JSM Burns and Trauma. c2017 [cited 2019 Jan 11]. Available from: https://www.jscimedcentral.org/Burns/burns-2-1023.pdf. 

  21. Cho HJ, Kwon JH. Interpersonal approach i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2002;2(1):51-68. 

  22. Moi AL, Gjengedal E. Life after burn injury: Striving for regained freedom.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8;18(12):1621-1630. https://doi.org/10.1177/1049732308326652 

  23. Williams NR, Davey M, Klock-Powell K. Rising from the ashes: Stories of recovery, adaptation and resiliency in burn survivors. Social Work in Health Care. 2003;36(4):53-77. https://doi.org/10.1300/J010v36n04_04 

  24. Moi AL, Gjengedal E. The lived experience of relationships after major burn injur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4;23(15-16):2323-2331. https://doi.org/10.1111/jocn.12514 

  25. Dahl O, Wickman M, Wengstrom Y. Adapting to life after burn injury-reflections on care. Journal of Burn Care & Research. 2012;33(5):595-605. https://doi.org/10.1097/BCR.0b013e31823d0a11 

  26. Connell KM, Phillips M, Coates R, Doherty-Poirier M, Wood FM. Sexuality, body image and relationships following burns: Analysis of BSHS-B outcome measures. Burns. 2014;40(7):1329-1337. https://doi.org/10.1016/j.burns.2014.01.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