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장암 환자를 위한 불확실성 이론 기반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Mobile Navigation Program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based on Uncertainty The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3, 2019년, pp.274 - 285  

김경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박완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obile navigation program on uncertainty, resilience, and growth through uncertainty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Method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obile navigation program, 61 participants diagnosed with colorectal cancer undergo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개개인의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보부족을 완화시키고, 이전에 제공받은 정보와의 불일치성을 감소시켰으며, 시기적절한 정보제공으로 불확실성의 하부요인인 비예측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관리의 연속성과 관련하여 치료경과 맵을 통한 전반적인 대장암 치료과정의 이해를 돕고 의료서비스와 더불어 심리적 지지를 통해 환자의 증상, 장루, 건강관리 능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충족되지 않는 정보에 관해서는 커뮤니티와 연결하여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Fillion의 내비게이션 개념틀에서 제시한 정보의 연속성, 관리의 연 속성, 관계의 연속성과 적극적 대처, 대장암과 관련된 자가 관리, 지지에 관한 환자 중심의 맞춤 의료서비스 제공과 시기적절한 치료, 교육 제공 및 관리, 장애요인 극복을 기반으로하여 개발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돌봄의 연속성과 임파워먼트 증진을 통하여 대장암 환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대처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을 이용하여 불확실성 감소를 목표로 한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을 위험으로 평가하는 대장암 수술환자들에게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전략의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을 낮추고 탄력성을 높여 불확실성을 통한 성장으로 삶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Figure 1).
  • 정보의 연속성과 관련하여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애매모호성을 줄이고, 일관된 정보를 제공하여 대장암 환자가 병원이나 의료체계, 간호체계에서 경험하는 복잡성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개개인의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보부족을 완화시키고, 이전에 제공받은 정보와의 불일치성을 감소시켰으며, 시기적절한 정보제공으로 불확실성의 하부요인인 비예측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관리의 연속성과 관련하여 치료경과 맵을 통한 전반적인 대장암 치료과정의 이해를 돕고 의료서비스와 더불어 심리적 지지를 통해 환자의 증상, 장루, 건강관리 능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 불확실성에 대한 대처는 적응이라는 결과와 함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대처방안으로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를 시행하여 환자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탄력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불확실성을 통한 성장측면에서도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장암으로 수술을 받는 환자에게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질병관리에 관한 불확실성을 낮추고, 탄력성을 높이며 성장으로 나아가도록 돕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수술적 치료 단계에서 제공할 수 있는 간호중재를 마련하여 모바일을 통하여 시기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수술 전 단계부터 수술 후 회복기 단계까지 연속적으로 임파워먼트 증진을 통한 간호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불확실성 이론과 내비게이션 개념틀에 근거하여 대장암 환자들의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한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개발된 불확실성 이론 기반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대장암 수술환자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장암 수술환자를 위한 불확실성 이론 기반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프로그램은 Fillion 등[16]이 개발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개념 틀을 바탕으로 대장암 환자의 불확실성의 하부요인인 애매모호성, 복잡성, 정보부족 및 불일치, 예측불가능 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속성을 구성하였다. Mishel [14]은 불확실성 중재에서 정보부족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고, 처음 암을 진단받고 6개월 이내에 정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다고 한 연구[10]에 따라 프로그램의 내용을 시기적절한 정보 전달에 비중을 두었다.
  • 불확실성에 대한 대처는 적응이라는 결과와 함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대처방안으로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를 시행하여 환자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탄력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불확실성을 통한 성장측면에서도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임파워먼트 증진 요인으로는 암 관리, 적극적 대처, 지지의 3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암 관리는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진단 후, 입원 후, 수술 전, 수술 과정, 수술 후 1일, 수술 후 2일, 수술 후 3일, 수술 후 4일, 수술 후 5일, 수술 후 6일, 퇴원 당일, 퇴원 후 와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치하여 치료경과에 대한 기대결과를 높이고 증상이나 장루, 건강관리 방법 교육을 통한 자기 효능감 증진 및 복잡하고 애매모호한 상황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적극적 대처는 자조그룹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문제해결방법을 제시하는 등 환자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이완요법을 교육하고 운동/식사 일기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지지를 도모하였다(Table 1).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획득이나 지지가 부족하여 불확실성을 위험으로 평가하는 대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불확실성 이론 기반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대장암 치료과정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치료순응과 적극적 회복을 돕고 나아가 대장암 수술환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최종적으로 확정된 불확실성 이론 기반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간호의 연속성 요인과 임파워먼트 증진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호의 연속성 요인은 정보의 연속성, 관리의 연속성, 관계의 연속성의 3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의 연속성과 관련하여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애매모호성을 줄이고, 일관된 정보를 제공하여 대장암 환자가 병원이나 의료체계, 간호체계에서 경험하는 복잡성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개개인의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보부족을 완화시키고, 이전에 제공받은 정보와의 불일치성을 감소시켰으며, 시기적절한 정보제공으로 불확실성의 하부요인인 비예측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 관리의 연속성과 관련하여 치료경과 맵을 통한 전반적인 대장암 치료과정의 이해를 돕고 의료서비스와 더불어 심리적 지지를 통해 환자의 증상, 장루, 건강관리 능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충족되지 않는 정보에 관해서는 커뮤니티와 연결하여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보건의료제공자와 상시 연락할 수 있는 체계를 구성하여 의료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복잡함을 줄이고, 시기적절한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불확실성 이론 기반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불확실성을 통한 성장이 높을 것이다.
  • 가설 1. 불확실성 이론 기반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불확실성이 낮을 것이다.
  • 불확실성 이론 기반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탄력성이 높을 것이다.’
  •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불확실성을 통한 성장이 높을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탄력성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확실성을 일으키는 선행요인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불확실성 이론은 불확실성의 선행요인, 평가, 대처로 이루어진 모형으로, 불확실성을 일으키는 선행요인은 자극구조요인, 인지적 능력, 구조제공요인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불확실성의 선행요인은 대장암 진단, 수술, 입원과 같은 위협적 상황으로 볼 수 있으며, 대장암을 진단받은 환자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는 불안감과 수술 및 회복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로 질병을 받아들이면서 불확실성을 경험할 수 있다.
대장암 환자의 불확실성의 선행요인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불확실성 이론은 불확실성의 선행요인, 평가, 대처로 이루어진 모형으로, 불확실성을 일으키는 선행요인은 자극구조요인, 인지적 능력, 구조제공요인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불확실성의 선행요인은 대장암 진단, 수술, 입원과 같은 위협적 상황으로 볼 수 있으며, 대장암을 진단받은 환자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는 불안감과 수술 및 회복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로 질병을 받아들이면서 불확실성을 경험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훈련된 내비게이터가 돌봄의 연속성과 임파워먼트 증진을 통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재전략이며[9] 90년대 사회적 소외계층을 위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처음 언급된 개념으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매개하는 역할이 내비게이터라고 볼 수 있다. 이에 사회복지사, 사례관리자, 간호사 등 다양한 직군에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중재를 시도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incidence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2016 [cited 2015 Dec 23; Updated 2019 Jan 04]. Available from: https://www.cancer.go.kr/lay1/S1T639C640/contents.do. 

  2. Min JH, Ahn KY, Park H, Cho W, Jung HJ, Kim NK, et al. The effect of post-operative exercis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study. Asian Oncology Nursing. 2017;17(1):29-36. https://doi.org/10.5388/aon.2017.17.1.29 

  3. Kim KJ, Na YK, Hong HS. Effect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rapy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6;38(8):959-973. https://doi.org/10.1177/0193945916635573 

  4. Choi KS, Park JA, Lee JH. The effect of symptom experience and resilience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s.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1):61-68. https://doi.org/10.5388/aon.2012.12.1.61 

  5. Bang GR.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uncertainty, spiritual needs on accroding to phases of illnes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4. p. 1-56. 

  6. Shaha M, Cox CL, Talman K, Kelly D. Uncertainty in breast, prostate, and colorectal cancer: Implications for supportive car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8;40(1):60-67.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7.00207.x 

  7. Cha K, Kim K. Impact of uncertainty on resilience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2):139-146. https://doi.org/10.5388/aon.2012.12.2.139 

  8. Mishel MH, Sorenson DS. Uncertainty in gynecological cancer: A test of the mediating functions of mastery and coping. Nursing Research. 1991;40(3):167-171. https://doi.org/10.1097/00006199-199105000-00010 

  9. Hong YS, Park JY, Kim SH, Kim SA, Kim YH. Effects of a navig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gastric canc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sian Oncology Nursing. 2016;16(3):132-138. https://doi.org/10.5388/aon.2016.16.3.132 

  10. Ju AR, Yeoum SG, Park KS. The nursing needs of post-surgical colon cancer patients at dischar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4):392-401. 

  11. Choi JY, Kim SK, An JY, Kim G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tandardized telephone counseling guidelines on symptom management for patients discharged after colorectal cancer surgery. Asian Oncology Nursing. 2014;14(3):191-201. https://doi.org/10.5388/aon.2014.14.3.191 

  12. Gilbert JE, Green E, Lankshear S, Hughes E, Burkoski V, Sawka C. Nurses as patient navigators in cancer diagnosis: Review, consultation and model design.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2011;20(2):228-236. https://doi.org/10.1111/j.1365-2354.2010.01231.x 

  13. Kwon GA, Jeong GJ, Park JM, Jung MK, Seo HJ, Kim JY, et al. Development of navigation program for cancer patients using mobile application.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15;21(2):28-38. https://doi.org/10.14371/QIH.2015.21.2.28 

  14. Mishel MH. Uncertainty in illnes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88;20(4):225-232. https://doi.org/10.1111/j.1547-5069.1988.tb00082.x 

  15. Mishel MH. Reconceptualization of the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90;22(4):256-262. https://doi.org/10.1111/j.1547-5069.1990.tb00225.x 

  16. Fillion L, Cook S, Veillette AM, Aubin M, de Serres M, Rainville F, et al. Professional navigation framework: Elaboration and validation in a Canadian context. Oncology Nursing Forum. 2012;39(1):E58-E69. https://doi.org/10.1188/12.ONF.E58-E69 

  17. Kang YH. Review on mid-range nursing theory: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2006;15(1):120-133. 

  18. Polit DF, Beck CT, Owen SV.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7;30(4):459-467. https://doi.org/10.1002/nur.20199 

  19. Bertini E, Gabrielli S, Kimani S, Catarci T, Santucci G. Appropriating and assessing heuristics for mobile computing. In: Celentano A, editor. Proceedings of the Working Conference on Advanced Visual Interfaces; 2006 May 23-26; Venezia, Italy. New York (NY): ACM Press; c2006. p. 119-126. 

  20. Coe R. It's the effect size, stupid: What effect size is and why it is importan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2002 Sep 12-14; Exeter, England. 

  21. Chung CW, Kim MJ, Rhee MH, Do HG. Functional statu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5;11(1):58-66. 

  22. Connor KM, Davidson JR.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2003;18(2):76-82. 

  23. Mishel MH, Fleury J. The growth through uncertainty scale. Chapel Hill (NC):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1997. 

  24. Kim D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uncertainty management program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people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6. p. 1-136. 

  25. Kim JI, Byeon Y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in patients with colon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4):256-264. https://doi.org/10.5388/aon.2013.13.4.256 

  26. Kwak SY, Byeon YS.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1):95-104. https://doi.org/10.7475/kjan.2013.25.1.95 

  27. Kim JY. Uncertainty, social support,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sychological growth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cancer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p. 1-90. 

  28. Lin L, Yeh CH, Mishel MH. Evaluation of a conceptual model based on Mishel's theories of uncertainty in illness in a sample of Taiwanese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0;47(12):1510-1524.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0.05.009 

  29. Gil KM, Mishel MH, Belyea M, Germino B, Porter LS, Clayton M. Benefits of the uncertainty management intervention for African American and White older breast cancer survivors: 20-Month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06;13(4):286-294. https://doi.org/10.1207/s15327558ijbm1304_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