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학 및 레이더 위성영상으로부터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공주시 산림의 층위구조 분류
Forest Vertical Structure Classification in Gongju City, Korea from Optic and RADAR Satellite Imag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5 no.3, 2019년, pp.447 - 455  

이용석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백원경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식생정보는 대부분 5년 주기로 구축되어 최신성이 결여 되어있다. 식생의 조사는 사진측량과 사람의 현지조사로 이루어지며,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게 된다. 식생의 정보 중 식생층위구조에 대한 정보는 산림의 다양성과 환경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식생의 내부구조인 층위구조는 필수적 정보이지만, 일반적인 사진측량과 사람의 조사로는 한계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KOMPSAT-3/3A/5 위성영상으로 부터 제작된 지수맵과 Texture맵, DSM(Digital Surface Model)과 DTM(Digital Terrain Model)의 차분으로 생성한 canopy정보를 Input layer로 층위자료를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을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단층과 다층의 산림의 층위 구조를 분류하여 최종분류결과 81.59%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forest type map in Korea has been mostly constructed every five years, the forest information from the map lacks up-to-date information. Forest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by aerial photogrammetry and field surveys, and hence it took a lot of times and money. The vertical structure of fo...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6).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trade-off 관계를 고려하기 위하여 두 가지 종류의 긴밀도 영상을 생성하였다. 획득된 20160809_20160820,20170306_20170317 간섭영상에 대하여 스태킹을 수행하여, 공간 해상도를 유지시키면서 존재하는 speckle noise 성분을 저감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학 및 레이더 위성영상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산림의 층위를 분류하고자 한다. 삼림의층위구조를단층과다층두단계로분류하였는데1층구조의 단층구조와 2, 3, 4층의 구조를 다층 구조로 분류하였다.
  • 산림의 층위구조는 일반적으로 항공사진과 사람의 조사로 이루어지지만, 이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와 머신러닝기법을이용하여 산림층위구조를 분석 및 분류하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Kwo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림은 무엇인가? 자연림은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식생의 군락이 이루어졌고, 인공림은 과수농업, 목재생산, 재해예방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계획되어 객체의 밀집도가 낮으며 침엽수를 많이 심고, 주로 단층 구조이다(Lee et al., 2018).
본 논문은 항공사진과 사람의 현지조사을 대신해 적용한 조사 방법은 무엇인가? 면적이 넓고, 사람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는 산림의 조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모하였다. 최근 광범위하고,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해 효과적인 원격탐사와 대량의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기법을 적용하여 층위구조를 예측 및 분류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주변 개체목과의 높이차로 다층의 경우 영상 질감이 거친 특징과 반사도 차이가 나타난다.
식생의 분광반사특성이 식생조사를 하는데 효과적인 이유가 무엇인가? 식생의 분광반사특성은 적색영역에서 가시광선 반사율이 낮아 녹색으로 보이며, red edge 파장에서 반사율이 커지기 때문에 식생조사를 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Lee et al.,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ouaraba, A., A. Belhadj-Aissa, and D. Closson, 2016. Man-Made Change Detection Using High-Resolution Cosmo-SkyMed SAR Interferometry, Arabian Journal for Science and Engineering, 41(1): 201-208. 

  2. Goldstein, R.M. and C.L. Werner, 1998. Radar inter - ferogram filtering for geophysical applicati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5(21): 4035-4038. 

  3. Hay, G.J., K.O. Niemann, and G.F. McLean, 1996. An object-specific image-texture analysis of Hresolution forest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5(2): 108-122. 

  4. Herrmann, I., A. Pimstein, A. Karnieli, Y. Cohen, V. Alchanatis, and D.J. Bonfil, 2010. LAI assessment of wheat and potato crops by $VEN{\mu}S$ and Sentinel-2 band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 2141-2151. 

  5. Kang, H.Y., I.J. Kang, H. Choi, and S.C. Lee, 2000. The Estimate of Image Classification Accurac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0(4): 585-588. 

  6. Kwon, S.K., Y.S. Lee, D.S. Kim, and H.S. Jung, 2019. Classification of Forest Vertical Structure Using Machine Learning Analysi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2): 229-2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Y.S., S.H. Park, H.S. Jung, and W.K. Baek, 2018. Classific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Forests from KOMPSAT-3/3A/5 Imag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6): 1399-14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Morsdorf, F., A. Marell, B. Koetz, N. Cassagne, F. Pimont, E. Rigolot, and B. Allgower, 2010. Discrimination of vegetation strata in a multilayered Mediterranean forest ecosystem using height and intensity information derived from airborne laser scanning,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7): 1403-1415. 

  9. Mund, J.P., R. Wilke, M. Korner, and A. Schultz, 2015. Detecting multi-layered forest stands using high density airborne LiDAR data, Journal for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1: 178-188. 

  10. Sarkar, T.K., C.S. Ryu, J.G. Kang, Y.S. Kang, S.R. Jun, S.H. Jang, J.W. Park, and H.Y. Song, 2018.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Model for Predicting Moisture Content in Rice Using UAV Remote Sensing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4): 611-6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SlideServe, 2014. Comparison of Grade and Vegetation Index of Evergreen Forest in Gangwon Province Using Fores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Landsat Satellite Image, https://www.slideserve.com/latham/landsat, Accessed on Dec. 14, 2018. 

  12. Sun, G., K.J. Ranson, D.S. Kimes, J.B. Blair, and K. Kovacs, 2008. Forest vertical structure from GLAS: An evaluation using LVIS and SRTM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1): 107-117. 

  13. Touzi, R., A. Lopes, J. Bruniquel, and P.W. Vachon, 1999. Coherence estimation for SAR imagery,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7(1): 135-149. 

  14. Zebker, H.A. and J. Villasenor, 1992. Decorrelation in interferometric radar echo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0(5): 950-959. 

  15. Zimble, D.A., D.L. Evans, G.C. Carlson, R.C. Parker, S.C. Grado, and P.D. Gerard, 2003. Characterizing vertical forest structure using small-footprint airborne LiDA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7(2-3): 171-1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