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미세먼지가 호흡기계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M10 on the Hospital Admission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in Seoul, Korea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6, 2019년, pp.194 - 201  

박해용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 ,  박윤숙 (국립중앙의료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지역의 호흡기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노출에 대한 건강영향을 평가하였다. 건강보험공단의 2002-2010년 동안 표본코호트의 만성폐쇄성 폐 질환(COPD), 천식 및 폐렴과 같은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한 13,974명의 환자를 대상자로 하였다. 추적관찰 기간동안 미세먼지 농도가 50ug/m3 이상에서 10ug/m3 증가할 때 15세 미만의 연령층에서는 1.38%, 65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1.62%, 75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2.87% 호흡기질환으로 입원이 증가하였고, 폐렴환자는 1.50%, COPD 환자는 1.51%, 폐렴 및 천식환자는 1.55% 입원이 증가하였다. 또한 미세먼지가 80ug/m3 이상에서는 65세 이상 연령층에서 3.71%, 75세 이상 연령층에서 4.25% 입원환자가 증가하였다. 높은 미세먼지농도와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들과, 특히 노인에서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미 호흡기 질환이 있었던 사람들, 특히 나이가 많은 환자는 고농도의 미세먼지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ohor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daily PM10 exposure on the hospital admission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during the nine-year period (2002-2010), in Seoul, Korea. The research subjects were 13,974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with respiratory diseases, including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M10 on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with respiratory diseases; these patient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an increase in dust concentration on health. The study also attempted to determine the health effects among existing and new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 This study focused on daily PM10 concentrations to assess the health impacts and risk of negative effects in patients with severe respiratory disease by age. Those who already have a respiratory disease should refrain from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 when a high concentration of PM10 is forecast, especially vulnerable group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WHO(2006). Air quality guidelines: Global update 2005. particulate matter, ozone, nitrogen dioxide and sulfur dioxide. World Health Organization. 

  2. J. N. B. Bell, L. Davies, S Honour, A. Klumpp, W. Ansel & G. Klumpp. (2004). Air pollution research in london. Urban air pollution bioindication and environmental awareness, 3-16. 

  3. M. L. Bell et al. (2007). Climate change, ambient ozone, and health in 50 US cities. Climate Change. 82(1-2), 61-76. 

  4. Y. K. Lin, C. F. Chen, H. C. Yeh & Y. C. Wang. (2016). Emergency room visits associated with particulate concentration and Asian dust storms in metropolitan Taipei.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26(6), 104-111. 

  5. W. J. Requia, C. D. Higgins, M. D. Adams, M. Mohamed & P. Koutrakis. (2018). The health impacts of weekday traffic: Ahealth risk assessment of PM2.5 emissions during congested periods. Environment International, 111, 14-176. 

  6. H. Akaike. (1998). Information theory and an extension of the maximum likelihood principle. Selected Papers of Hirotugu Akaike, 199-213. 

  7. Y. Chung et al. (2015). Mortality Related to Extreme Temperature for 15 cities in Northeast Asia. Epidemiology, 26(20), 255-262. 

  8. Y. Choi, H. Kim & J. T. Lee. (2018). Temporal variability of short term effects of PM10 on mortality in Seooul, Kore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44(10), 122-128. 

  9. W. Ji & B Zhao. (2015). Estimation Mortality Derived from Indoor Exposre to Particles of Outdoor Origin. PLoS One, 10(4), e0124238. 

  10. E. H. Ha et al. (2009). Infant susceptibility of mortality to air pollution in Seoul, South Korea. Pediatrics, 111(2), 284-290. 

  11. S. Hales, C. Salmond, G. I, Town, T. Kjellstrom & A. Woodward. (2000). Daily mortality in relation to weather and air pollution in Christchurch, New Zealand.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20(1), 89-91. 

  12. A. Zanobetti & J. Schwartz. (2009). The effect of fine and coarse particulate air pollution on mortality: A national analysi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7(6), 898-903. 

  13. S. S. Hwang, S. H. Cho & H. J. Kwon. (2005). Effects of the severe asian dust events on daily mortality during the spring of 2002, in Seoul,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8(2), 197-202. 

  14. J. C. Choi, M. Lee, Y. Chun, J. Kim & S. Oh. (2001). Chemical composition and source signature of spring aerosol in Seoul,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6(D16), 18067-18074. 

  15. H. Lee, S. S. Park, K. W. Kim & Y. J. Kim. (2008). Source identification of PM 2.5 particles measured in Gwangju, Korea. Atmospheric Research, 88(3), 199-211. 

  16. S. E. Kim et al. (2017). Seasonal analysis of the short-term effects of air pollution on daily mortality on Northeast Asi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76(17), 850-857. 

  17. A. Faustini et el.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ent particulate matter and respiratory mortality: a multi-city study in Italy. European Respiratory Jouranl, 38(3), 538-547. 

  18. P. Salvador et al. (2011).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PM10 and PM2. 5 across madrid metropolitan area in 1999-2008.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4, 198-208. 

  19. E. Soleimanian et al. (2019). Spatial trends and sources of PM2.5 organic carbon volatility fractions(OCx) across the Los Angeles Basin. Atmospheric Environment, 209, 201-211. 

  20. C. Rpper, L. G. Chubb, L. Cambal, B. Tunno, J. E. Clougherty & S E, Mischler. (2015). Characterization of ambient and extracted PM2.5 collected on filters for toxicology applications. Inhalation Toxicology, 27(13), 673-68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