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이 수용자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만족, 공유의도, 지속적 이용의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Branded Contents on Consumers: Focused on User Satisfaction, Sharing Intention, and Intention for Continuous Us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59 - 67  

임유명 (홍익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학과) ,  오영선 (홍익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학과) ,  염동섭 (목원대학교 광고홍보언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브랜디드 콘텐츠에 대한 특성이 수용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남, 여 대학생 286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브랜디드 콘텐츠 이용만족에는 오락성, 공감성, 창의성, 간접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브랜디드 콘텐츠의 공유의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는 오락성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 5가지 중 정보성 요인은 이용만족, 공유의도, 지속적 이용의도와 같은 수용자 효과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브랜디드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들의 행태를 이해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욕구에 부합하고 편의에 맞는 양질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유용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연구의 확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branded contents on consumers. To attain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arried out a survey with 286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s and collected data for analysi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e followings: First, the satisfact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에 앞서 종속변수의 자기상관과 독립변수들 간 다중공선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먼저 종속변수의 자기상관을 살펴보기 위하여 Durbin-Watson 지수를 확인한 결과, 1.
  • 결과에 앞서 종속변수의 자기상관과 독립변수들 간 다중공선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먼저 종속변수의 자기상관을 살펴보기 위하여 Durbin-Watson 지수를 확인한 결과, 1.
  • 구체적으로 브랜디드 콘텐츠의 특성으로 확인된 오락성, 창의성, 간접성, 정보성, 공감성이 이용자들의 만족과 공유의도 및 지속적 이용의도라는 수용자 효과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브랜디드 콘텐츠 이용자들의 이용행태를 보다 다양한 수준에서 살펴보고자 전보[7]의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브랜디드 콘텐츠의 특성을 기반으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이전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브랜디드 콘텐츠의 특성들이 이용만족이나 공유의도, 지속적 이용의도와 같은 보다 구체적인 수용자 효과에 대해서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가설 설정

  • 구체적인 측정 문항들은 다음과 같다. ①브랜디드 콘텐츠에 대체로 만족 한다. ②브랜디드 콘텐츠 이용에 대체로 만족한다.
  • ②브랜디드 콘텐츠 이용에 대체로 만족한다. ③ 브랜디드 콘텐츠 이용은 나의 기대를 충족시켜준다.
  • 연구가설 2.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은 이용자들의 공유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1.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은 이용자들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고가 콘텐츠의 이용을 방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타난 것은 무엇이며 특징은 무엇인가? 따라서 기업들은 이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함에 있어 방해 받지 않게 하면서도 브랜드를 인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강구하기 시작했다. 즉, 광고와 관련한 매체의 변화로 인해 상업적인 콘텐츠의 자발적 소비를 유인하는 전략적 고려가 필요해짐에 따라 브랜디드 콘텐츠 (Branded Contents)라는 것이 자연스럽게 태동하게 되었으며, 이는 많은 기업들의 마케팅 환경에 필연적인 변화의 방향이라 볼 수 있다.
브랜디드 콘텐츠의 특성은 무엇이 있는가? 구체적으로 브랜디드 콘텐츠의 특성으로 확인된 오락성, 창의성, 간접성, 정보성, 공감성이 이용자들의 만족과 공유의도 및 지속적 이용의도라는 수용자 효과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란 무엇인가? 먼저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는 광고대상자가 광고를 회피(Ad avoidance)하려는 소비자들의 행동을 억제하고, 광고를 자발적으로 시청하도록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와 광고를 결합한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8], 브랜드의 가치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세계관 및 스토리라인 등을 활용하여 감정적으로 전달하는 공감형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라고 정의할 수 있다[9]. 이러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브랜디드 콘텐츠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의 되어 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Y. C. Jung. (2017). Possibility of competing smart phones, TV media. KISDISTAT Report, 17(1). 

  2. Cheilblog News. (2018. 2. 26.).http://blog.cheil.com/29763. 

  3. H. J. An. (2015. 12. 23.). ZDNet Korea News. http://www.zdnet.co.kr/view/?no20151223154129&reR_20160106145534. 

  4. KISA (2017). 2016 Online Advertising Industry Trend Research and Analysis. 

  5. J. Y. Na, Y. I. Park & H. B. Kim. (2016). A Case study of "Branded Contents" applied Gamification concepts. Jouranl of Korea Game Society, 16(5), 45-56. 

  6. I. G. Shin. (2014). New Direction of Marketing Communication Branded Contents. Korea Marketing Institute, Marketing, 48(5), 39-41. 

  7. Y. S. Oh, Y. M. Lim., & D. S. Youm. (201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anded Content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9(4), 703-720. 

  8. J. Y. Na., Y. I. Park., & H. B. Kim. (2016). A Case study of "Branded Contents" applied Gamification concepts.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16(5), 45-56. 

  9. J. J. Kim. (2006). Branding's powerful weapon, Branded Entertainment: changes the paradigm of advertising. KOBACO, Advertising Information, 300, 72-75. 

  10. W. H. Kim. (2016). Branded Contents. Paju-si, Gyeonggi-do: Nanam. 

  11. J. Y. Jung. (2006). Nike relative Nintendo. Seoul: Magellan. 

  12. Y. T. Kim. (2014). How to advertise while making money - Branded Contents. Korea Marketing Institute, Marketing, 48(7), 24-31. 

  13. E. Katz. (1959). Mass communications research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An editorial note on a possible future for this journal. Departmental Papers (ASC), 165. 

  14. E. Katz, H. Haas & M. Gurevitch, (1973). On the use of the mass media for important thing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8, 164-181. 

  15. A. Bhattacherjee. (2001).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25(3), 351-370. 

  16. Z. Papacharissi & A. M. Rubin. (2000). Predictors of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4(2), 175-196. 

  17. R. L. Oliver. (1981).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es in retail settings. Journal of Retailing, 57(3), 25-48. 

  18. S. A. Kim. (2006). A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 Framework for Public Library Servic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3), 193-208. 

  19. B. L. Bayus. (1985). Word of mouth-the indirect effects of marketing effor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5(3), 31-39. 

  20. Y. Yang & M. J. Cho. (2000). Effect of Word-of-Mouth Communication on Consumer's Attitude Chang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1(3), 7-34. 

  21. D. Godes & D. Mayzlin. (2004). Using online conversations to study word-of-mouth communication. Marketing science, 23(4), 545-560. 

  22. G. Kim. (2013). A Study on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Sharing Information in Online World: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Importance. Informatization Policy, 20(1), 22-41. 

  23. T. M. Yang & T. A. Maxwell. (2011). Information-sharing in public organizations: A literature review of interpersonal, intra-organizational and inter-organizational success factor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8(2), 164-175. 

  24. C. C. Marshall & S. Bly. (2004, June). Sharing encountered information: digital libraries get a social life. In Proceedings of the 4th ACM/IEEE-CS joint conference on Digital libraries (pp. 218-227). ACM. 

  25. K. Y. Lee. (2012). Effectiveness of Facebook Advertising : With Emphasis on the Effectiveness of Display Ads and "Like" Message. 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10(4), 39-84. 

  26. J. S. Wais & E. K. Clemons. (2008).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mobile social adverti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Marketing, 3(1), 12-18. 

  27. F. D. Reynolds, W. R. Darden & W. S. Martin. (1974). Developing an Image of the Store-Loyal Customer. Journal of Retailing, 50(4), 73-84. 

  28. A. S. Dick & K. Basu (1994). Customer loyalty: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2), 99-113. 

  29. K. S. Sohn. (2012).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Smartphone Application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2), 628-635. 

  30. V. A. Zeithaml, L. L. Berry & A. Parasuraman. (1996).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60, 31-46. 

  31. E. Garbarino & M. S. Johnson. (1999). The different roles of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in custom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63, 70-87. 

  32. J. H. Yoon & K. S. Kim. (2006). A Study on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Post-purchasing Behavior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5(1), 21-48. 

  33. M. J. Dorsch, S. J. Grove & W. R. Darden. (2000). Consumer intentions to use a service category.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14(2), 92-117. 

  34. E. A. Wall & L. L. Berry. (2007). The combined eff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mployee behavior on customer perception of restaurant service quality.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48(1), 59-69. 

  35. W. H. Delone & E. R. McLean. (2003).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9(4), 9-30. 

  36. K. Y. Lee & E. H. Kim. (2011). Characteristics of QR Code Ad and Its Effects on Usage Satisfaction and Consumers' Behavior as a Commercia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2(3), 103-124. 

  37. J. W. Jun. (2017). Transportation Effects of Branded Entertainment Storytelling on Trust, Attitudes, and WOM Intentions. 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15(2), 44-76. 

  38. D. S. Youm. (2017). The Effect of Perceived Enjoyment and User Characteristics on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Mobile Social Network Game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Flow Experience. Jouranl of Digital Convergence, 15(9), 415-4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