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분야의 학술연구 동향분석: 계량정보학적 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Evaluating Blockchain Research Trend using Bibliometrics-based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219 - 227  

주우붕 (영남대학교 사이버감성연구소 블록체인정책연구센터) ,  박한우 (영남대학교 사이버감성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계량정보학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분야의 한국 연구자의 학술연구 동향을 계량학적 시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데이터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KCI와 NTIS, WoS 및 Scopus에 등재된 블록체인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계량정보학 연구방법으로 논문 발행, 연구의 분야, 공저자, 단어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 2017년부터 논문 수가 급증하였으며 공저자 네트워크 형성의 초기단계를 보였다. 논문제목에 많이 사용된 단어는 응용발전과 쟁점 및 기술개발과 관련된 단어들이 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논문연구 분야는 사회과학 주제가 가장 많은 반면에 국제논문연구는 공학 주제가 가장 많았다. 시기별 분석결과는 한국학자들의 블록체인 3.0 연구는 2017년 시작되었고 2018년 빠르게 늘고 있다. 논문 피인용 수는 발행연도와 관련이 있었지만, 공저자 수와는 무관하였다. 이러한 계량정보학적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블록체인 분야의 발전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연구는 블록체인 분야의 세계범위 지적 구조와 특징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Blockchain research trend using bibliometrics-based network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WoS, Scopus, Korea Citation Index and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from 2009 to 2018. As results, the number of publications has started increasing rapi...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블록체인 분야에서 수행된 기존 학술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계량정보학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분야의 학술연구 동향을 계량학적 시각으로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KCI, NTIS, WoS, Scopus에 등재된 한국연구자들이 발표한 블록체인 관련 논문의 연도와 분야를 살펴보고, 저자, 기관 및 단어를 통해 연구자 및 연구내용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블록체인 논문은 2017년부터 급증하여 2018년에 전년대비 2배가 넘었다.
  • 계량정보학(bibliometrics)은 특정한 분야의 학술적속성과 변화 및 연구 활동 등에 대해 정량적으로 규명하는 것이고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도약으로 지난 20년 동안 크게 성장했으며 특히, 인용지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9,10]. 이 학문의 목적은 논문과 단행본 등의 학술문헌의 다양한 정보적 측면을 측정하여 특정 분야의 지적(intellectual) 성격과 발전과정에 대해 밝히는 것이다[11].

가설 설정

  • 피인용수가 출판년도 및 공저자 수에 따라 변한다고 가정하였다. 즉 다음과 같은 회귀모형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계약이란 무엇인가? 0은 스마트계약 개념을 도입하였다. 스마트 계약이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계약을 집행하고 자동으로 결제하는 것으로, 인간의 개입 없이 계약을 완전 자동화하는 것을 말한다[3]. 블록체인 3.
본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계량정보학적 분석을 활용한 한국연구자들이 발표한 국내외 블록체인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블록체인 분야의 발전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점은 한국연구자가 발행된 논문만을 대상으로 했기에 세계적 특징 파악과 관계 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Web ofScience와 Scopus 등 데이터베이스에서 모든 연구자들이 출판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국가별 특징을 찾고 각 분야에서 전 세계 연구자 간 관계와 연구의 내용을 더 풍부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2017년과 2018년의 블록체인 관련 논문수의 변화 추이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KCI, NTIS,WoS, Scopus에 등재된 한국연구자들이 발표한 블록체인 관련 논문의 연도와 분야를 살펴보고, 저자, 기관 및 단어를 통해 연구자 및 연구내용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블록체인 논문은 2017년부터 급증하여 2018년에 전년대비 2배가 넘었다. 이는 2017년부터 한국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암호통화 투자자 수의 증가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Nakamoto. (2008).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Bitcoin. https://bitcoin.org. 

  2. H. Cheng & Y. Z. Yang. (2016). The development trend of blockchain and the countermeasures of commercial banks, Financial Regulation Research, 6, 73-92. 

  3. S. J. Park. (2017). Blockchain paradigm and FinTech secur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34(3), 23-28. 

  4. M. Hancock & E. Vaizey. (2016).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beyond block chain. London: UK Government Office for Science. 

  5. Nomura Research Institute. (2016). Survey on blockchain technologies and related services FY2015 report. Tokyo: Nomura Research Institute. 

  6. J. Polis. (2017). Congress Gets Serious about Blockchains. https://polis.house.gov 

  7. China State Council. (2016). "Thirteenth Five-Year" National informatization planning. Beijing: China State Council. 

  8. Korea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18). Block chain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Gwacheon: Korea ministry of science and ICT. 

  9. E. G. Seo & I. Han. (1997). Bibliometric analysis on MIS research,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7(3), 145-165. 

  10. J. Li, D. Li & X. C. Yu. (2016).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of the research communities of bibliometrics, Document, Information & Knowledge, 3, 71-79. 

  11. A. Pritchard. (1969). 'Statistical Bibliography or Bibliometrics?', Journal of Documentation, 25(4), 348-349. 

  12. J. Y. Lee. (2006). Centrality measures for bibliometr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191-214. 

  13. D. H. Lee, W. S. Kim, S. J. Moon & L. S. Jung. (2012).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academy of business historian research-based on meta and bibliometric data analysis, The Review of Business History, 63(0), 97-117. 

  14. Y. J. Yoo & J. Y. Lee. (2015). A bibliometric study on the 7 different version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Faith & Scholarship, 20(4), 135-159. 

  15. S. S. Lee. (2010). A preliminary study on the co-author network analysis of Korea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community,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297-315. 

  16. F. M. Wang & M. J. Zhu. (2017). Bibliometric analysis on the research hotspots of blockchain in China, Journal of Intelligence, 36(12), 69-74, 28. 

  17. J. Yli-Huumo, D. Ko, S. Choi, S. Park & K. Smolander. (2016). Where is current research on blockchain technology?-A systematic review, PLoS ONE, 11(10), 1-27. 

  18. S. Miau & J. M. Yang. (2018). Bibliometrics-based evaluation of the Blockchain research trend: 2008 - March 2017,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30(9), 1029-1045. 

  19. H. W. Park & S. J. Park. (2018). Big data analysis of cryptocurrencies : Evidence from top cryptocurrency websit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2), 923-936. 

  20. Y. H. Song, Y. E. Kwon, C. S. Lim, K. S. Choi & M. S. Yang. (2018). An analysis of blockchain technology research trend by using a social network analysis,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Conference, 1, 542-543. 

  21. H. W. Park & L. Leydesdorff.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22. H. E. Driver & A. L. Kroebe. (1932). Quantitative expression of cultural relationships,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American Archaeology and Ethnology, 31(4), 211-256. 

  23. A. Clauset, M. E. J. Newman & C. Moore. (2004). Finding community structure in very large networks, Physical Review E, 70, 066111. 

  24. M. S. An & Y. G. Min. (2016). Big data analytics on motivation of staying at 5-star hotel: Focusing on the Push-Pull factor from motivation theory,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31(5), 87-104. 

  25. G. M. Lee, C. H. Kim, H. W. Park. (2017). Network analysis of SNS-mediated learning community: A facebook group 'magic of flipped-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2), 873-884. 

  26. S. P. Borgatti, M. G. Everett & L. C. Freeman. (2002). Ucinet 6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27. NodeXL Korea. (2015). Catching up with NodeXL, Seoul: Paradigmbook. 

  28. L. C. Freeman.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I. conceptual classification, Social Networks, 1, 215-239. 

  29. M. Beauchamp. (1965). An improved index of centrality. Behavioral Science, 10, 161-163. 

  30. P. Bonacich. 2007. some unique properties of eigenvector centrality, Social Networks, 29, 555-5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