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목표몰입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Goal Commitment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239 - 246  

임경민 (동주대학교 간호학과) ,  박정훈 (영산대학교 의료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목표몰입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B광역시, D시 소재 4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간호학생 201명의 설문을 수집하여 Spss /Win 21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는 나이, 학년, 전공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셀프리더십 및 목표몰입과 문제해결능력의 상관관계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셀프리더십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목표몰입, 연령순으로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제 해결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목표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이나 교육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goal commitment on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201 students attending at 4 nursing college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D ci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의 정도는 평균평점 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목표몰입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목표몰입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문제해결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 목표몰입, 연령의 순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과 목표몰입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며,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의 특징은 무엇인가? 간호대학생은 졸업 후 임상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간호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능력들이 요구된다[1]. 대학 입학 직후부터 간호대학생은 간호중재를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한 전공 관련 교육을 받게 된다[2].
간호학이 요구하는 역량은 무엇인가?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다루는 간호학은 전공 관련 지식을 바탕으로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에 필요한 핵심간호역량을 갖추도록 요구하고 있다[3]. 돌봄의 전문직이라 할 수 있는 간호실무의 핵심과정은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문제해결이라 할 수 있다[4].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요인에 대한 연구의 부족한 부분은 무엇인가?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요인에 대한 연구로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대인관계기술, 자아탄력성, 의사소통능력 등 문제해결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5,9,10]. 그러나 셀프리더십과 목표몰입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 N. Kim, Y. M. Kim & S. Y. Lee. (2018).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Ego stat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61-72. 

  2. I. S. Jung. (2018). A Study on related factors of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 self-leadership and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5), 51-58. 

  3. R. Kum, I. S. Seo, T. H. Kim, S. W. Hahn & M. S. Kim. (2019).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technique applied to nursing major curriculu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elf leadership.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3), 373-382. 

  4. I. Altun. (2003). The perceive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values of student nurses and midwives. Nurse Education Today, 23(8), 575-584. DOI: https://doi.org/10.1016/S0260-6917(03)00096-0 

  5. E. J. Ji, M. R. Bang & H. J. Jeon. (2013). Ego Resili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71-579.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571 

  6. K. W. Jo. (2000). The perception of student nurse for problem 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2), 359-375. 

  7. Korean Nurses Associaton. (2006). The power of nursing leadership. Retrieved form http://webzin.koreanurse.or.kr/Webzine/read_article.45, 8-21. 

  8. J. Y. Lee & W. S. Shim. (2006).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Goal Setting Theory on Efficiency of MBO: Focusing on Mediating Role of Reliability 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8(2), 111-136. 

  9. S. Y. Kang & H. J. Kim. (2012). Creative Abilit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3), 1122-112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2.13.3.1122 

  10. Y. Y. Choi & J. Y. Kim. (2007). The Relationship of Core Competencies(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to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4), 412-419. 

  11. Y. H. Han & Y. R. Park. (2013).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on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4), 462-469.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462 

  12. J. H. Kim & M. K. Park. (2012). Factors Influencing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in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34-42.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034 

  13. J. R. Hollenbeck & H. J. Klein. (1987). Goal commitment and the goal setting process: Problems, prospects and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2(2), 212-220.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72.2.212 

  14. D. H. Schunk, P. R. Pictrich & J. L. Meece. (2008).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15. M. H. Kang, Y. H. Song & S. H. Park. (2008). Relationships among Metacognition, Flow, Interaction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Web-based Problem Base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2(2), 293-315. DOI: https://doi.org/10.24231/rici.2008.12.2.293 

  16. J. D. Houghton & C. P. Neck.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7-8), 672-691. DOI: https://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17. J. J. Kim.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elf-Leadership. Doctoral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Ulsan. 

  18. H. J. Klein, M. J. Wesson, J. R. Hollenbeck, P. M. Wright & R. D. DeShon. (2001). The Assessment of Goal Commitment: A Measurement Model Meta-Analysi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85(1), 32-55. DOI: https://doi.org/10.1006/obhd.2000.2931 

  19. P. P. Heppner & C. H. Petersen. (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1), 66-75. DOI: https://doi.org/10.1037//0022-0167.29.1.66 

  20. Y. S. Hong. (2004).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psychosocial resources for adolescent suicidal behaviors.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1. H. J. Won. (2015).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1), 123-131. DOI: https://doi.org/10.12811/kshsm.2015.9.1.123 

  22. S. H. Kim & S. Y. Park. (2014). Factors Influencing on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 1557-1565. 

  23. J. Y. Lee & M. H. Cho. (2012).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a Diploma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ssocation, 13(3.4), 241-253. 

  24. N. Y. Yang & S. Y. Moon. (2011).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7(2), 216-225.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2.216 

  25. S. H. Han & H. S. Yu. (2012). College Women's Self-leadership,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 Disclosure in 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131-140.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131 

  26. H. H. Jo.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Goal Commitment and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Having Experience in a Simulation Practicum and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Master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7. K. S. Cha, W. H. Jun & S. S. Hong. (2014).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Anxie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14(7), 324-333. DOI: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324 

  28. Y. H. Kim & Y. A. Kim. (2016).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9), 589-59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9.589 

  29. S. Wangensteen, I. S. Johansson, M. E. Bjrkstrm & G. Nordstrm. (2011). Research utilisation and critical thinking among newly graduated nurses: predictors for research use. A quantitative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718), 2436-2447. DOI: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0.03629.x 

  30. S. K. Chaung. (201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1), 71-78. 

  31. Y. S. Chung & S. Kim. (2011). Status of Stress and Problem-Solving Ability on Flow in Cyber Clas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7), 179-191. DOI: https://doi.org/10.5392/jkca.2011.11.7.1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