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thical Dilemma and End-of-life Care Stress on Burnout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6, 2019년, pp.355 - 363  

임귀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최소영 (경상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윤리적 딜레마,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소진의 관계와 윤리적 딜레마와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7개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고 임종간호 경험이 한 번 이상 있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과 직위, 임종간호교육,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임종간호 관련 교육과 함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체계적인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thical dilemma, end-of-life care stress and burnout of the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and descriptive correlation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burnout. The subjects of study were 143 nurses who are working in the seven l...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윤리적 딜레마,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소진의 관계를 파악하며 윤리적 딜레마와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윤리적 딜레마와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윤리적 딜레마,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소진의 관계를 파악하고 윤리적 딜레마와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임종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낮추기 위해서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임종간호교육이 필요하며, 병원의 상황과 간호사의 연령 및 직위 등을 고려하여 임종간호경험이 적은 1년 미만의 신규 간호사와 임종간호경험이 많은 일반간호사를 구분하여 차별화된 임종간호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임종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윤리적 딜레마와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소진 정도를 확인하고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윤리적 딜레마와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윤리적 딜레마,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소진의 관계와 윤리적 딜레마와 임종간호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병원의 간호사들이 육체적, 정신적 소진을 겪으면 생기는 부정적인 영향은? 소진이란 직업과 관련된 부담이 되는 상황에서의 신체 적, 정서적, 정신적 피로 및 탈진 상태로써 스트레스를 감 당해 낼 능력이 없는 것을 말하며[19], 임종에 가까워진 환자가 간호사의 헌신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상태 가 악화되면, 요양병원의 간호사들은 육체적으로나 정신 적으로 소진되게 된다[20]. 이러한 소진은 감염성이 높아 동료 간호사들에게도 영향을 주며 조직의 생산성과 효율 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21]. 요양병원에서 사망하는 환자 수의 증가로 인해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 간호수행 빈도가 증가하였고,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 병원간호사의 소진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예방을 위 한 중재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다[22].
임종간호스트레스란 무엇인가? 간호사들은 이러한 환자 임종 단계에서 윤리적 딜레마에 빠지게 되 고 직업적 스트레스가 유발되며[13], 환자들의 고통을 공 유하게 되면서 간호사도 슬픔, 부담감, 분노, 죄책감, 무 력감 등 여러 가지 정서 반응을 경험하게 된다[14]. 임종간호스트레스란 간호사가 임종 환자와 그 가족에 게 전인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동안 임종관련 간호업무로인해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인 부담을 느끼게 되는 스트 레스를 말하며[15], 이러한 스트레스가 감당하기 어려운 정도가 되거나 반복, 지속되는 경우 결국 소진에 이르게 된다[16-18].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3% 를 넘으며 고령사회에 도달했고 2025년에는 20%를 넘 으며 후기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2]. 그러나 많은 노인들이 이러한 노화에 따른 신체기능의 저하와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사례 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3]. 전국적으로 요양병원 은 2004년 109개, 2016년 1,416개, 2018년 5월 추산 1535개로[4], 2000년대 들어와서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 으며 이러한 변화로 인해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입 원 중 사망한 대상자 수도 2013년 81,660명에서 2016 년 90,395명, 2017년 97,985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 세에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H. G. Koo. (2016). A Study on Proposal to Develop Senior related Policies: Convergence Approach of both Age Norm and Hoping Activ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4), 101-110. DOI : 10.14400/JDC.2016.14.4.101 

  2. Korean Statistical Imformation Service. (2018). Percentage of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KOSIS [Online]. http://kosis.kr 

  3. U. H. Kim & S. Y. Moon. (2014).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atient in geriatric hospitals. Korea Digital Policy Institute, 12(11), 415-426. DOI : 10.14400/JDC.2014.12.11.415 

  4. Korean Statistical Imformation Service. (2018). Status of Nursing Facilities by type. KOSIS [Online]. http://kosis.kr 

  5. J. H. Min. (2018, 10, 15) Last year, one out of every 3 deaths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 and nursing home. News 1 [Online]. http://news1.kr/articles/?3450246 

  6. B. R. Joung & H. O. Park. (2016). Nurses'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Hospital. Gimnyeong Nursing Science, 20(1), 1-12. 

  7. M. J. Lee & J. S. Lee. (2015). Nurses' Experiences of the Death of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Korean Journal of Nursing, 45(4), 513-522. DOI : 10.4040/jkan.2015.45.4.513 

  8. M. C. Berger, A. Seversen & R. Chvatal. (1991). Ethical issues in nursing.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3(4), 514-521. DOI : 10.1177/019394599101 

  9. S. S. Han. (1992). Nature of ethical dilemmas and decision making in hospital nursing practice. Master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10. M. S. Yi, S. E. Oh, E. O. Choi, I. G. Kwon, K. M. Cho, Y. G. Kang & J. H. Ok. (2008).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Do-Not- Resuscitate in Korea. Korean Nursing Science Society. 38(2), 298-309. DOI : 10.4040/jkan.2008.38.2.298 

  11. R. Deady & J. McCarthy. (2010). A study of the situation, features, and coping mechanisms experienced by Irish psychiatric nurses experiencing moral distress. Perspective Psychiatric Care, 46, 209-220 DOI : 10.1111/j.1744-6163.2010.00260.x 

  12. J. S. Kim & H. Y. Oh. (2006). Perceptions and attitude on use of physical restraints among caregiv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6(2), 347-360. DOI : 10.5977/JKASNE.2009.15.1.062 

  13. M. C. Coley, C. K. Mini, R. K. Elswick, & M. Jacobs. (2008). Nurse moral distress and ethical work environment. Nursing Ethics, 12, 381-390. DOI : 1191/0969733005ne809oa 

  14. A. E. Stewart, J. H. Lord & D. L. Mercer. (2000). A survey of professionals' training and experiences in delivering death notifications. Death Study, 2 4(7), 611-613. DOI : 1080/0748118050132811 

  15. W. H. Lee. (2002). Thanatology.Death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Thought, 38, 1-16. 

  16. J. H. Lee & J. S. Park. (2017). End of life care str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in Geriatric Hospitals Nurses affect burn ou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6), 449-458. DOI : 10.5762/KAIS.2017.18.6.449 

  17. J. S. Choi & S. M. Park. (2012). Comparison of Job Stress, Hardness, and Burnout of Nurses between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3), 251-259. DOI : 10.5392/JKCA.2012.12.03.251 

  18. M. Y. Ham. (1997). A Study on Relationship of Work Stress, Hardiness and Burnout among Nurse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9. J. W. Park & E. J. Choi. (2015).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cused on Burnout and Burden for Caring Problematic Behaviors in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403-7413. DOI : 10.5762/KAIS.2015.16.11.7403 

  20. K. J. Lee & Y. S. Park. (2015). Nurses' Spirituality and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in Geriatric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2), 347-357. DOI : 10.14400/JDC.2015.13.12.347 

  21. B. M. Bang, S. Y. Lee & J. W. Jung. (2015).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2), 205-213. DOI : 10.14400/JDC.2015.13.2.205 

  22. W. S. Kim. (201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Burnout of Nurses Performing End of Life Care in Convalescent Hospitals.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23. Y. H. Yu. (2016).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Death Attitude, Terminal Care Attitude, and Job Burnout in Geriatric Hospital Nurses. Doctoral dissertation. Tong-myung University, Busan. 

  24. S. S. Park. (2016). Effects of Long Term Hospital Nurses' Emotional Labor on Their Burnout. Master's Thesis, Daegue Hanny University, Daegue. 

  25. O. Y. Lee. (2004).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6. A. M. Pines, E. Aronson & D. Kafry. (1981).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A Divion of Macmillian Publishing Co. 

  27. E. H. Peek. (1983).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Burnout of nurses and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8. C. Y. Lee. (2018). Nurses' Experiences of End-of-life Care for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9. J. T. Oh. (2006). Death of Life and Death. Philosophical research, 75, 153-178. 

  30. H. J. Park & M. Y. Kim. (2004). Ethical Dilemma and Coping Types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0(1), 75-83. 

  31. W. S. Kim, H. H. Cho & S. H. Kwon. (2016). The Influenc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xiety and Self-Esteem on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 Pailliative care, 19(2), 154-162. DOI : 10.14475/kjhpc.2016.19.2.154 

  32. S. I. Ji & H. S. Yu. (2014).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 Pailliative care, 17(4), 232-240. DOI : 10.14475/kjhpc.2014.17.4.232 

  33. J. O. Lee. (2016).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Stress of End-of-life care.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34. J. H. Kong. (2016).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of End-of-life Care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35. A. Nantsupawat, R. Nantsupawat, W. Kunaviktikul, Turale S. & Poghosyan L. (2015). Nurse Burnout, Nurse-Reported Quality of Care, and Patient Outcomes in Thai Hospital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8(1), 83-90. DOI : 10.1111/jnu.12187 

  36. M. Y. Kim (2004). Burnout and coping type of nurses working in cancer war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7. H. S. Kim (2014). End-of-Life Care Stress, Spiritual Well-Being and Burnout among Critical Care Nurse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Busan. 

  38. Y. H. Her. (2016). Ethical Dilemma, Coping Types, Burnout of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wondo. 

  39. J. I. Yu. (2015). Effects of Nursing Work Environment,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cheongbuk-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