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생약학회지, v.50 no.2, 2019년, pp.112 - 117
양선아 (조선대학교 의과학과) , 김아영 (동신대학교 바이오센터) , 표병식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 김선민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In this study, extracts of bark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nd its fractions wer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tibacterial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for physiological activity towards functional applications. In the measuremen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thyl ac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느릅나무는 어디에 분포되어 있는가? | japonica)는 30m에 달하는 큰 나무로서 꽃은 황록색의 작은 꽃이 4~5월에 가지의 상단에서 피며, 과실은 5~6월에 성숙한다. 지리적으로 만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의 전국에서 자생한다. 느릅나무의 수피는 유백피(楡白皮) 또는 유피(楡皮)라고도 불리며 뿌리의 껍질을 건조한 것을 유근피(楡根皮)라고 한다. | |
느릅나무는 무엇인가? | 느릅나무과(Ulmaceae)에 속하는 낙엽성 활엽교목인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30m에 달하는 큰 나무로서 꽃은 황록색의 작은 꽃이 4~5월에 가지의 상단에서 피며, 과실은 5~6월에 성숙한다. | |
느릅나무는 어디에 사용되나? | 느릅나무의 수피는 유백피(楡白皮) 또는 유피(楡皮)라고도 불리며 뿌리의 껍질을 건조한 것을 유근피(楡根皮)라고 한다. 오래 전부터 민간에서는 느릅나무의 열매, 껍질, 뿌리를 이용하여 고약으로 만들어 소염제로 염증 및 종창 환부에 도포하여 사용하였고, 중탕을 하여 소화기 궤양 및 종양에도 이용하였다. 또한 느릅나무의 열매와 꽃을 발효하여 국수, 떡과 같은 음식으로 이용하거나 기생충을 죽이는 음식으로도 사용하였다는 역사적 기록이 있다.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