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의 분포특성과 개체군의 위협요인 및 지속가능성 평가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the Population Sustainability, Factors Related to Vulnerability for a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3, 2019년, pp.303 - 320  

김영철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채현희 (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  안원경 (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  이규송 (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  남기흠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곽명해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은 다양한 생물적 무생물적 환경요인과 상호작용한다. 한 가지 종이 소유하는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가 요구된다. 특별히 어떤 종이 멸종의 위협에 직면해 있는지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한두 가지의 정보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한다. 북방계식물로 우리나라가 분포의 남방한계에 해당하는 층층둥굴레는 2015년 12월까지도 멸종위협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최근 분포범위가 비교적 넓고 다수의 개체군이 보고되었음에도 개체군의 낮은 유전적 다양성으로 인해 취약하다고 평가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분포현황을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포지의 식생환경, 개체군의 구조, 식물계절학, 토양환경, 자가불화합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분포지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재의 위협요인을 평가하였다. 분포지는 일부 산지의 사면에 위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은 하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미사가 퇴적되는 공간에 위치하였다. 대부분은 안정적인 개체군 구조를 나타내었고 재정착하는 유묘가 존재하였다. 지상으로의 줄기 출현은 토양 중에 위치한 근경의 깊이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특히 유묘와 어린 개체는 토양 중에 얕게 근경이 위치하였다. 종자의 결실은 화분매개곤충의 방문과 수분의 성공이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각각의 분포지에서 관찰된 주요한 위협요인으로는 경작지의 확대, 건물의 신축, 제방과 도로의 건설이 있었다. 관찰된 위협요인에도 불구하고 넓은 분포범위, 270만 개체 이상의 전체 개체 수 및 재정착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는 개체군의 존재에 따라 급격한 감소와 절멸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nts interact with various biotic and abiotic environmental factors. It requires much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traits of a plant species. A shortage of information would restrict the assessment, especially in the evaluation of what kind of factors influence a plant species to face extincti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층층둥굴레는 무엇인가? 백합과(Liliaceae)의 다년생식물로 키는 1∼1.5m까지 자란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Park et al.
분포범위가 넓고 다수의 개체군이 있음에도, 층층둥굴레를 멸종위협에 직면한 것으로 판단한 이유는? 북방계식물로 우리나라가 분포의 남방한계에 해당하는 층층둥굴레는 2015년 12월까지도 멸종위협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최근 분포범위가 비교적 넓고 다수의 개체군이 보고되었음에도 개체군의 낮은 유전적 다양성으로 인해 취약하다고 평가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분포현황을 평가하였다.
층층둥굴레 분포지의 특징은? 마지막으로 분포지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재의 위협요인을 평가하였다. 분포지는 일부 산지의 사면에 위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은 하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미사가 퇴적되는 공간에 위치하였다. 대부분은 안정적인 개체군 구조를 나타내었고 재정착하는 유묘가 존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10.1016/j.biocon.2010.08.016 Angeloni, F. , N.J. Ouborg and R. Leimu(2011) Meta-analysis on the association of population size and life history with inbreeding depression in plants. Biological Conservation 144: 35-43. 

  2. 10.1007/978-3-7091-8110-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 Springer-Verlag, New York, 865pp. 

  3. 10.1111/j.1523-1739.2005.00216.x Brys, R. , H. Jac?uemyn, P. Endels, G. De Blust and M. Hermy(2005) Effect of habitat deterioration on population dynamics and extinction risks in a previously common perennial. Conservation Biology 19(5): 1633-1643. 

  4. 10.5141/JEFB.2005.28.5.305 Chang, C.S. , H.S. Lee, T.Y. Park and H. Kim(2005)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Korean Journal of Ecology 28(5): 305-320.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5. 10.1093/jhered/esu048 Chung, M.Y. , J. Lopez-Pujol, J.M. Chung, K.J. Kim and M.G. Chung(2014) Contrasting level of clonal and withinpopulation genetic diversity between the 2 ecologically different herbs Polygonatum stenophyllum and Polygonatum inflatum (Liliaceae). Journal of Heredity 105: 690-701. 

  6. 10.1098/rstb.1990.0187 Crawley, M.J. and G.J.S.. Ross(1990) The population dynamics of plants [and discuss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30: 125-140. 

  7. 10.1046/j.1365-2745.2002.00717.x Dupre, C. and J. Ehrlen(2002) Habitat configuration, species traits and plant distributions. Journal of Ecology 90: 796-805. 

  8. Elzinga, L. , D.W. Salzer and J.W. Willoughby(1998) Measuring & monitering plant populations. U.S. Bureau of Land Management, Lincoln, USA. 496pp. 

  9. Flora of China(2019) .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00027868, Accessed January 05, 2019. 

  10. Ginsburg, J. (2001) The application of IUCN Red List Criteria at regional levels. Conservation Biology 15(5): 1206-1212. 

  11. 10.1111/j.1469-185X.1977.tb01347.x Grubb, J.P. (1977) The maintenance of species-richness in plant communities: The importance of the regeneration niche. Biological Reviews 52: 107-145. 

  12. 10.1111/j.1461-0248.2005.00739.x Hampe, A. and R.J. Petit(2005) Conservation biodiversity under climate change: The rear edge matters. Ecplogy Letters 8: 461-467. 

  13. 10.2307/3544021 Hanski, I. (1982) Dynamics of regional distribution: the core and satellite species hypothesis. Oikos 38: 210-221. 

  14. Hunter jr., M. and J. Gibbs(2007) Fundamentals of conservation biology, Third edition. Blackwell Publishing, Victoria, 497pp. 

  15. 10.1101/SQB.1957.022.01.039 Hutchinson, G.E. (1957) Concluding remarks. Cold Spring Harbor Symposia on Quantitative Biology 22: 415-427. 

  16. IUCN Standards and Petitions Subcommittee(2014) Guidelines for using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11. Prepared by the Standards and Petitions committee, 87pp. 

  17. IUCN(2012) Guidelines for Application of IUCN Red list criteria at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version 4.0.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41pp. 

  18. 10.1890/03-0508 Jonson, D.M. (2004) Source-sink dynamics in a temporally heterogeneous environment. Ecology 85: 2037-2045. 

  19. 10.1046/j.1523-1739.1998.97202.x Keith, D.A. (1998) An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World Conservation Union Red List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extinction risk in vascular plants. Conservation Biology 12(5): 1076-1090. 

  20. Kim, E.J. , M.H. Kim, S.I. Song, Y.S. Hong, E.P. Lee, J.H. Park, S.Y. Lee, K.T. Cho and Y.H. You(2018a) Impact of Ambrosia trifida L.(invasive plant) on the plant diversity and performance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near threatened) and management suggestion for the habitat conservatio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9: 249-255.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21. 10.13047/KJEE.2016.30.4.658 Kim, Y.C. , H.H. Chae and K.S. Lee(2016b)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dynamics of endangered plant, Paeonia obovata Maxi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 658-675.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22. 10.13047/KJEE.2016.30.3.291 Kim, Y.C. , H.H. Chae, B.R. Hong, H.K. Oh, K.H. Lee and K.S. Lee(2016a) The status of endangered plants distributed in the middle eastern area of Korea and evaluation of the risk factor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 291-307.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23. 10.1007/s12374-018-0016-8 Kim, Y.C. , H.H. Chae, G.H. Nam and K.S. Lee(2018b) Adapting strategy of biennial endangered Halenia corniculata (L.) Cornaz to environmental stress and it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plan. Journal of Plant Biology 61: 177-185. 

  24. 10.13047/KJEE.2016.30.6.939 Kim, Y.C. , H.H. Chae, H.K. Oh and K.S. Lee(2016c)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the population persistence, an endangered plant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 939-961.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25. Korea National Aboretum(KNA) (2012) Rare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boretum, Gyeonggi-do, Korea, 412pp. (in Korean) 

  26. Lee, B.E. , J.W. Kim, N.I. Kim and J.G. Kim(2017) Evaluation on replacement habitat of two endangered species,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nd Polygonatum stenophyllum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9: 433-442.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27. Lep?, J. and P. ?milauer(2007)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using CANO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69pp. 

  28. 10.1111/j.1523-1739.2008.01044.x Mace, G.M. , N.J. Collar, K.J. Gaston, C. Hilton-Taylor, H.R. Akcakaya, N. Leader-Williams, E.J. Milner-Gulland and S.N. Stuart(2008) Quantification of extinction risk: IUCN's system for classifying threatened species. Conservation Biology 22: 1424-1442. 

  29. 10.1007/s00442-010-1809-8 Mayberry, R.J. and E. Elle(2010) Conservation of a rare plant requires different methods in different habitats: demographic lessons from Actaea elata . Oecologia 164: 1121-1130. 

  30. Ministry of Environment(2012) Law of wild animal and plants protection. Ministry of Environment. 

  31. Ministry of Environment(2015) Law of wild animal and plants protection. Ministry of Environment. 

  3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2010) Genetic evaluation of important biological resources(Ⅴ): genetic diversity analysis and reestablishment of taxonomical position for endanger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106pp. (in Korean) 

  3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2011) Genetic evaluation of important biological resources(Ⅳ): genetic diversity analysis for endanger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130pp.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3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390pp. (in Korean) 

  35. 10.5010/JPB.2018.45.3.266 Park, M.W. , S.H. Ryu, Y.Y. Lee, J.M. Song, J.H. Kim, Y.H. Ahn and K.H. Bae(2018) Callus induction and in vitro plant regeneration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45: 266-272.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36. Pearman, P.B. , A. Guisan, O. Broennimann and C.F. Randin(2007) Niche dynamics in space and time. Trends in Plant Science 23: 149-158. 

  37. 10.1086/282697 Pianka, E.R. (1970) On r- and K-selection. The American Naturalist 104(904): 592-597. 

  38. 10.1046/j.1523-1739.1996.10020591.x Silvertown, J. , M. Franco and E. Menges(1996) Interpretation of elasticity matrices as an aid to the management of plant populations for conservation. Conservation Biology 10(2): 591-597. 

  39. Song, J.M. , G.Y. Lee and J.S. Lee(2009)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habitat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Journal of Forest Science 25: 187-194.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40. Szczeciska, M. , C. Holdyski and J. Sawicki(2006) Genetic diversity of lowland and montane populations of Polygonatum verticillatum (L.) All. determined on the basis of isozymatic analysis. Biodiversity Research and Conservation 3-4: 240-244. 

  41. 10.1672/0277-5212(2002)022[0451:HSMSMA]2.0.CO;2 Werner, K.J. and J.B. Zedler(2002) How sedge meadow soils, microtopography, and vegetation respond to sedimentation. Wetlands 22: 451-4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