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This study develops 3D-printed-garment collections for a fashion show presentation. A design concept using traditional patterns that consisted of garments regarding the limitation of the printing technolog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the collection. The structures of the connecting joints of the textile parts which could be easily and sturdily interconnected were invented. Wearability as garments that could be naturally worn on the human body were sought. As a result, four 3D-printed-garments were developed. The 1st garment composed of objects based on a 'Yeon-Dang-Cho'-pattern was constructed as a geometric robe style using a FDM 3D printer and transparent TPU filaments. The 2nd and 3rd 3D-printed-garments composed of an object based on a 'Boe-Sang-Hwa'-pattern was constructed as a distorted one-piece exaggerating the silhouettes of shoulders and waist parts as well as a straight asymmetric tunic style that used the same printer and material as the 1st garment. The last garment composed of an object based on a 'Boe-Sang-Hwa'-pattern printed using a SLA 3D printer and flexible-liquid-resin was constructed attaching the objects on the fabric material by the hot-press machine. The four developed garments were presented in the opening fashion show of 'the 6th International 3D-printing Korea Expo'. This study provides a basic case for related studies to adapt 3D-printing technology in textile pattern development of garment construc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D 프린팅 기술의 경우, 4차 산업혁명의 한 축을 담당한다는 인식에 의해, 해당 기술을 활용한 디자인 작품은 미래주의 적인 색채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이 이미 20세기 중반에 개발된 기술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미래적인 이미지가 아닌, 과거의 레트로적인 뉘앙스를 시각 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3D 프린팅이 더 이상 해외의 유명 디자이너나 기업만의 전유물이 아닌, 한국의 산업계는 물론 개인이 손쉽게 접근 가능한 기술이라는 개념 또한 시각적으로 전달하고자, ‘한국의 오래된 레트로적인, 전통적 시각요소의 반영’을 디자인 콘셉트로 설정하였다.
SLA 방식의 플렉시블 액상 레진 출력결과물을 보완하기 위한 소체 모델링이 수정된 이후, 앞선 단계에서 사용성이 확인된 각 소체를 활용한 3D 의상 및 해당 3D 의상의 디자인 콘셉트에 따른 이너 의상의 디자인이 병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정된 기간과 기술 여건 하에서 연구개발이 수행됨에 따라, 3D 프린팅 의상 개발의 초점이 상호연결이 가능한 구조 개발 및 한정된 색상 사용에 따라 문양의 조형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소체의 형태 구성, 개발된 소체를 결합하여 인체에 착용과 활동이 용이한 내구도의 의상 형태 구성에 연구의 초점이 맞춰졌다. 이에 따라 반투명한 재질의 TPU 필라멘트와 플렉시블 액상 레진 소재가 소체 개발에 사용되고, 최소 단위의 소체를 결합하여 의상이 제작됨에 따라 각 소체가 연결되는 부위에 공간 유격이 발생하여 의상의 내부가 비치거나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유격공간의 소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착용자의 피부가 손상될 수 있는 우려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 하나로 인식되며, 패션산업에서도 예술적 표현 및 소재개발, 대안적 생산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활용방안이 모색되고 있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디자인의 표현적 측면 및 대안적 소재개발 측면의 연구가 반영된 3D 프린팅 의상개발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델이 착용하고 이동하거나 동작을 취하는 활동이 전제된 패션쇼를 위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의상의 디자인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인체에 걸쳐지고, 활동성에 장애가 없이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는 전통적인 의상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3D 프린팅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고강도의 하드 타입의 소재가 아닌, 내구성은 떨어지나 유연성이 확보된 소재를 활용하여, 인체에 착용되어 활동 가능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가진 심미적인 의상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델이 착용하고 이동하거나 동작을 취하는 활동이 전제된 패션쇼를 위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의상의 디자인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인체에 걸쳐지고, 활동성에 장애가 없이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는 전통적인 의상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3D 프린팅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고강도의 하드 타입의 소재가 아닌, 내구성은 떨어지나 유연성이 확보된 소재를 활용하여, 인체에 착용되어 활동 가능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가진 심미적인 의상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압출성형(Extrusion) 방식 | 압출성형(Extrusion) 방식은 어떤 메카니즘을 가지는가? |
ABS와 PLA, TPU와 같은 열가소성 소재를 실패와 같은 틀에 가는 철사처럼 감은 필라멘트를 프린터의 익스트루더 내부에서 고온으로 용해, 사출하여 하단의 베드에 적층하여 입력된 3D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작동 메카니즘을 가진다
압출성형(Extrusion) 방식은 ABS와 PLA, TPU와 같은 열가소성 소재를 실패와 같은 틀에 가는 철사처럼 감은 필라멘트를 프린터의 익스트루더 내부에서 고온으로 용해, 사출하여 하단의 베드에 적층하여 입력된 3D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작동 메카니즘을 가진다(Kim, 2016; Lee & Kim, 2015). 주로 보급형 FDM 방식이 가장 대중적인 유형으로 산업은 물론 교육현장 및 일반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활용되고 있다. |
3D 프린팅 기술 | 3D 프린팅 기술의 인식은? |
Bio-tech, IoT, AI 등과 더불어 4차산업혁명의 주요한 한 축을 이루는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3D 프린팅 기술은 Bio-tech, IoT, AI 등과 더불어 4차산업혁명의 주요한 한 축을 이루는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2012년 3D 프린팅 기술이 산업에 혁신을 가져올 핵심기술로 언급하였다. |
인체에 착용 | 인체에 착용할 수 있는 의상의 전제 조건은 무엇인가? |
착용되었을 때 인체 활동을 방해하지 않음과 동시에 인간의 활동에 따라 의상 자체가 손상되지 않을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의상의 경우 인체에 착용됨으로써 비로소 전체적인 형태가 완성되고 사용자의 이미지를 실체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된 의상 또한 인체에 무리 없이 착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착용되었을 때 인체 활동을 방해하지 않음과 동시에 인간의 활동에 따라 의상 자체가 손상되지 않을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