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란의 등급별 관능적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s of the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Roe by Grade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2 no.3, 2019년, pp.199 - 208  

정효빈 (덕화푸드 기업부설연구소) ,  차장우 (덕화푸드 기업부설연구소) ,  윤인성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이정석 (경상대학교 수산식품산업화 기술지원센터) ,  허민수 (경상대학교 수산식품산업화 기술지원센터) ,  정은정 (창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진수 (덕화푸드 기업부설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roe according to the L, M, S, 2S, KA, KB, KC, and G grades. The mean weights of the Alaska pollock roe were 81.2 g (74.1-85.7 g) in the L grade, 48.4 g (41.1-54.8 g) in the M grade, 3...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명란의 등급에 따른 관능적, 물리화학적 품질 특성을 서로 간에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명태는 무엇인가? 명태는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대구목 대구과(Gadi-formes Gadidae)에 속하는 한류성 어종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단일어종 수산물이다(Smith, 1981). 이들 명태는 어미 명태로부터 산란된 후 3-4년이 지나 성장을 하여 산란을 하고(Kimand Kim, 1990; Hintermeister, 2017), 그 시기는 12월부터 익년 4월까지이다.
명란의 분류 기준은 무엇인가? 한편, 명란은 1) 알의 손상, 성숙도, 색 등을 모두 고려한 정상란과 비정상란으로, 2) 알의 성숙도에 따라 미숙란, 완숙란, 과숙란 등으로, 3) 손상 유무에 따라 정상란과 절단란으로, 4) 색에 따라 정상란과 흑란, 기타(갈색, 녹색 등)란 등으로 분류되고, 등급화되어 유통되고 있다(Tsuyuki and Fuke, 1978; Hazime and Mizuo, 2008, Balaban et al., 2012a; Chen et al.
명란의 등급을 제조회사에서 임의적으로 부여한 등급으로 활용되는 이유는? 이 때 수입되는 명란은 상자 위에 언급한 등급의 형태로 표기하여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명란의 품질에 의한 등급화는 소비국들인 일본과 한국, 그리고 생산국인 미국, 러시아 등에서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나, 국내외 모두 국가기관 또는 공신력을 가진 단체에서 제시한 분류와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명란의 등급은 단지 제조회사에서 임의적으로 부여한 등급으로 활용되고 있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등급에 따른 품질이 균일하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aska Seafood Marketing Institute. 2017. Analyses of specialty alaska seafood products. McDowell Group, Alaska, U.S.A., 34-66. 

  2. Alimuddin, Yoshizaki G, Kiron V, Satoh S and Takeuchi T. 2007. Expression of masu salmon D5-Desaturase-like gene elevated EPA and DHA biosynthesis in zebrafish. Mar Biotechnol 9, 92-100. http://dx.doi.org/10.1007/s10126-006-6003-y. 

  3. AOA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69-74. 

  4. Balaban MO, Chombeau M, Guumuus B and Cirban DS. 2012a. Quality evaluation of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roe by image analysis. Part I: weight prediction. J Aqua Food Prod Technol 21, 59-71. https://doi.org/10.1080/10498850.2011.583377. 

  5. Balaban MO, Chombeau M, Guumuus B and Cirban DS. 2012b. Quality evaluation of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roe by image analysis. Part II: Color defects and length evaluation. J Aqua Food Prod Technol 21, 72-85. https://doi.org/10.1080/10498850.2011.583378. 

  6. Balaswamy K, Prabhakara Rao PG, Rao DG and Jyothirmayi T. 2010. Effects of pretreatments and salt concentration on rohu (Labeo rohita) roes for preparation of roe pickle. J Food Sci Technol 47, 219-223. https://doi.org/10.1007/s13197-010-0035-z. 

  7. Bechtel PJ, Chantarachoti J, Oliveira ACM and Sathivel S. 2007. Characterization of protein fractions from immature Alaska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roe. J Food Sci 72, S338-S343. https://doi.org/10.1111/j.1750-3841.2007.00396.x. 

  8. Cha YJ, Kim SJ, Jeong EJ, Kim H, Cho WJ and Yoo MY. 2004. Studies on taste compound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15-1521. https://doi.org/10.3746/jkfn.2004.33.9.1515. 

  9. Chen C, Okazaki E, Suzuki T, Nguyen HTN and Osako K. 2016. Objective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picy pollack roe products in terms of mechan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Food Sci Technol Res 22, 337-347. https://doi.org/10.3136/fstr.22.337. 

  10. Chiou TK, Matsui T and Konosu S. 1989. Comparison of extractive between raw and salted Alaska pollack roe. Nippon Suisan Gakkaishi 55, 515-519. https://doi.org/10.2331/suisan.55.515. 

  11. Fujioka R, Ohmachi N, Hayabuchi H and Manabe SI. 1999. Permeation properties of composite membrane composed of alginic acid and Alaska pollack roe membrane. Membrane 24, 132-138. https://doi.org/10.5360/membrane.24.132. 

  12. Hazime IN and Mizuo NT. 2008. History for development of Alaska pollock roe. Seizando Co., Tokyo, Japan, 41-100. 

  13. Hintermeister C. 2017. Nutritional composition changes in Alaska pollock (Gadus chalcogrammus) during and between bering sea A and B seasons. MS thesis,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Oregon, U.S.A. 

  14. Kapute F, Linkonwe J, Kang'ombe J Kiitukia C and Mpeketula P. 2012. Quality assessment of fresh lake Malawi tilapia (Chambo) collected from selected local and super markets in Malawi. Internet J Food Safety 14, 112-120. 

  15. Kim SM and Lee KT. 1997. The shelf-life extension of lowsalted Myungran-Jeot. 1. The effect of pH control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J Korean Fish Soc 30, 459-465. 

  16. Kim YM and Kim DS. 1990. Salted-Fermented fish in Koreathe material and products.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Wanju, Korea. 127-140. 

  17. Manabe SI, Hayabuchi H, Yamura Y, Fujioka R and Ohmachi N. 1998. Composite membrane composed of Alaska pollack roe membrane. Membrane 23, 31-37. https://doi.org/10.5360/membrane.23.31. 

  18. Meeren GVD, Tlusty MF, Metzler A and Meeren TVD. 2009. Effects of dietary DHA and EPA on neurogenesis, growth, and survival of juvenile American lobster, Homarus americanus. New Zeal J Mar Fresh 43, 225-232. https://doi.org/10.1080/00288330909509996. 

  19.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Chapter. 7. General test method in food code. Retrieved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safefoodlife/food/foodRvlv/foodRvlv.do?menu_no980&menu_grpMENU_GRP01/ on Jan 7, 2019. 

  20.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2007. Food composition table I, II. Hyoil Publishing Co., Seoul, Korea, 262-263. 

  21. Park YH, Chang DS and Kim ST. 1995.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seafood products. Hyungseul Publishing Co., Daegu, Korea, 70-215. 

  22. Park YJ, Jeong HP and Kim JS. 2019. Nutritional component of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roe as affected by grade. Korean J Fish Aquat Sci 52, 105-113. 

  23. Rao GN. 2014. Physico-Chemical, Function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oe Protein Concentrates from Cyprinus carpio and Epinephelus tauvina. J Food Pharm Sci 2, 15-22. 

  24. Smith GB. 1981. Oceanography and resources. In the Eastern Bering Sea Shelf. Ed. by Hood, DW Hood and JA Calder.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U.S.A., 527-551. 

  25. Tsuyuki H and Fuke S. 1978. Alaskan pollock roe processing-A description of current Japanese industrial methods and their adaption to the fishery in British Columbia. Fisheries and Marine Service Technical Reports 851, Fisheries and Enviornment Canada, Vancouver, Canada, 1-28. 

  26. Ueda R, Okamoto N, Araki T, Shibata M, Sagara Y, Sugiyama K and Chiba S. 2009. Consumer preference and opt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resh cod roe. Food Sci Technol Res 15, 469-478. https://doi.org/10.3136/fstr.15.4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