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합병증으로 인한 하지 절단율의 지역적 변이 및 지역 특성 요인과의 관계 분석
Regional Variation in the Incidence of Diabetes-Related Lower Limb Amputation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Factors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23 no.3, 2019년, pp.121 - 130  

원성훈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정형외과) ,  김재형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정형외과) ,  천동일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정형외과) ,  이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박수연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의학통계학교실) ,  정광영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 유전체연구과) ,  박근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춘천성심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조재호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춘천성심병원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iabetes-related lower limb amputation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iabetes-related lower limb amputations and regional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 중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인하여 시행된 하지 절단율에 대한 지역별 분포를 제시하였으며 사회-경제적 요인과 보건-의료 요인으로 구분한 지역별 특성 요인과 당뇨병과 관련한 하지 절단율 수준과의 관련성에 대해 지역별 차이를 제시하였다. 또한, 공간별로 차이가 없다는 가정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전역적 모델(global model)인 OLS와 공간적 위치에 다른 차이를 고려하는 국지적 모델(local model)인 GWR을 모두 이용하여 분석한 국내 최초의 연구 결과 보고이다.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 중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인하여 시행된 하지 절단율에 대한 지역별 분포를 제시하였으며 사회-경제적 요인과 보건-의료 요인으로 구분한 지역별 특성 요인과 당뇨병과 관련한 하지 절단율 수준과의 관련성에 대해 지역별 차이를 제시하였다. 또한, 공간별로 차이가 없다는 가정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전역적 모델(global model)인 OLS와 공간적 위치에 다른 차이를 고려하는 국지적 모델(local model)인 GWR을 모두 이용하여 분석한 국내 최초의 연구 결과 보고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의 자료를 이용하여 연령과 성별로 표준화한 당뇨병 환자에서 시행된 하지 절단율의 지역별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 특성 요인과 당뇨병과 관련된 하지 절단율 수준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네덜란드에서 시행된 연구에 서도 모든 지역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절단율을 보였는데 이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흡연, 음주, 콜레스테롤 상승, 고혈압과 같은 위험 인자의 발생률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하였다.22) 당뇨병 환자에서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하지 절단율이 상승하는 것에 대한 문헌적 근거는 미약하다. 다만 고령화가 될수록 당뇨 발생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와15,22-24)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할수록 말초 혈관 질환을 포함한 당뇨병 합병증의 유병률도 증가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25) 고려할 때 관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이란? 당뇨병은 다양한 심혈관계 합병증뿐만 아니라 실명, 당뇨발로 인한 하지 절단 등 중증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이다. 1) 2014년 전 세계 219개 국가를 대상으로 2013년과 2035년의 당뇨 발생률의 증가를 분석한 연구에서 거의 모든 국가에서 당뇨 발생률이 증가할 것이며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2013년 8.
당뇨발이 발생하면 하지 절단 가능성은 어떻게 되는가? 당뇨병 환자에서 족부의 궤양이 발생하는 당뇨발의 연간 발생률은 약 2%∼5%, 평생 발생률은 15%∼20% 로 보고되고 있으며 실제로 당뇨병성 족부 궤양의 14%∼24%는 하지 절단을 하게 된다. 3,4) 또한, 당뇨발이 발생하면 하지 절단 가능성은 10∼15배 상승하고 비외상성 하지 절단의 약 50%∼70%가 그 원인이 당뇨로 인한 발 문제였다고 보고하였다. 3,5,6)
네덜란드에서 시행된 연구에서 당뇨병 환자의 사지 절단율이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이유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본 연구의 2016년 자료를 토대로 한 분석 결과에서도 전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절단율을 보였으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절단율이 상승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덜란드에서 시행된 연구에 서도 모든 지역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절단율을 보였는데 이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흡연, 음주, 콜레스테롤 상승, 고혈압과 같은 위험 인자의 발생률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22) 당뇨병 환자에서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하지 절단율이 상승하는 것에 대한 문헌적 근거는 미약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tratton IM, Adler AI, Neil HA, Matthews DR, Manley SE, Cull CA, et al. Association of glyca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5):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J. 2000;321:405-12. doi: 10.1136/bmj.321.7258.405. 

  2. Guariguata L, Whiting DR, Hambleton I, Beagley J, Linnenkamp U, Shaw JE. Global estimates of diabetes prevalence for 2013 and projections for 2035. Diabetes Res Clin Pract. 2014;103:137-49. doi: 10.1016/j.diabres.2013.11.002. 

  3. Jeffcoate WJ, Harding KG. Diabetic foot ulcers. Lancet. 2003;361:1545-51. doi: 10.1016/S0140-6736(03)13169-8. 

  4. Mayfield JA, Reiber GE, Sanders LJ, Janisse D, Pogach LM;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Preventive foot care in diabetes. Diabetes Care. 2004;27 Suppl 1:S63-4. doi: 10.2337/diacare.27.2007.s63. 

  5. Morbach S, Furchert H, Groblinghoff U, Hoffmeier H, Kersten K, Klauke GT, et al. Long-term prognosis of diabetic foot patients and their limbs: amputation and death over the course of a decade. Diabetes Care. 2012;35:2021-7. doi: 10.2337/dc12-0200. 

  6. Shaw JE, Sicree RA, Zimmet PZ. Global estimates of the prevalence of diabetes for 2010 and 2030. Diabetes Res Clin Pract. 2010;87:4-14. doi: 10.1016/j.diabres.2009.10.007. 

  7. Kim JK, Jung YR, Kim KT, Shin CS, Lee KB. A report on diabetic foot and amputation from the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ata. J Korean Foot Ankle Soc. 2017;21:66-9. doi: 10.14193/jkfas.2017.21.2.66. 

  8. Park SA, Ko SH, Lee SH, Cho JH, Moon SD, Jang SA, et al. Incidence of diabetic foot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 five-year observational study. Korean Diabetes J. 2009;33:315-23. doi: 10.4093/kdj.2009.33.4.315. 

  9. Chung CH, Kim DJ, Kim J, Kim H, Kim H, Min KW, et al. Current status of diabetic foot in Korean patients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J Korean Diabetes Assoc. 2006;30:372-6. doi: 10.4093/jkda.2006.30.5.372. 

  10. Bae JI, Won JH, Kim JS, Kim MD, Yoon CJ, Cho YK. Prevalence and current status of treatment of diabetic foot in South Korea. J Korean Soc Radiol. 2016;74:169-76. doi: 10.3348/jksr.2016.74.3.169. 

  11. Jeffcoate W, Barron E, Lomas J, Valabhji J, Young B. Using data to tackle the burden of amputation in diabetes. Lancet. 2017;390:e29-30. doi: 10.1016/S0140-6736(17)32401-7. 

  12. Schulz AJ, Zenk S, Odoms-Young A, Hollis-Neely T, Nwankwo R, Lockett M, et al. Healthy eating and exercising to reduce diabetes: exploring the potential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rameworks within the context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diabetes prevention. Am J Public Health. 2005;95:645-51. doi: 10.2105/AJPH.2004.048256. 

  13. Agardh E, Allebeck P, Hallqvist J, Moradi T, Sidorchuk A. Type 2 diabetes incidence and socio-economic posi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Epidemiol. 2011;40:804-18. doi: 10.1093/ije/dyr029. 

  14. Dijkstra A, Janssen F, De Bakker M, Bos J, Lub R, Van Wissen LJ, et al. Using spatial analysis to predict health care use at the local level: a case study of type 2 diabetes medication use and its association with demographic change and socioeconomic status. PLoS One. 2013;8:e72730. doi: 10.1371/journal.pone.0072730. 

  15. Green C, Hoppa RD, Young TK, Blanchard JF. Geographic analysis of diabetes prevalence in an urban area. Soc Sci Med. 2003;57:551-60. doi: 10.1016/s0277-9536(02)00380-5. 

  16. Jo EK, Seo EW, Lee KS. Spatial distribution of diabetes prevalence rate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Health Policy Manag. 2016;26:30-8. doi: 10.4332/KJHPA.2016.26.1.30. 

  17. Brown AF, Ettner SL, Piette J, Weinberger M, Gregg E, Shapiro MF, et al.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among persons with diabetes mellitus: a conceptual framework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Epidemiol Rev. 2004;26:63-77. doi: 10.1093/epirev/mxh002. 

  18. Choi HW, Park JM, Kim HW, Kim YO. Identifying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water quality in Masan Bay using spatial autocorrelation index and Pearson's r. Ocean Polar Res. 2007;29:391-400. doi: 10.4217/OPR.2007.29.4.391. 

  19. Seok HS, Kang SH. A Study on The regional variation factor of hypertension prevalence. Health Soc Welf Rev. 2013;33:210-36. doi: 10.15709/hswr.2013.33.3.210. 

  20. Lee KS, Choi YJ.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imary care organization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 metropolitan city using the geographic weighted regression method. Product Rev. 2013;27:193-214. doi: 10.15843/kpapr.27.2.201306.193. 

  21. Brunsdon C, Fotheringham AS, Charlton M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 method for exploring spatial nonstationarity. Geogr Anal. 1996;28:281-98. doi: 10.1111/j.1538-4632.1996.tb00936.x. 

  22. van Houtum WH, Lavery LA. Regional variation in the incidence of diabetes-related amputations in The Netherlands. Diabetes Res Clin Pract. 1996;31:125-32. 

  23. Bocquier A, Cortaredona S, Nauleau S, Jardin M, Verger P. Prevalence of treated diabetes: geographical variations at the smallarea level and their association with area-level characteristics. a multilevel analysis in Southeastern France. Diabetes Metab. 2011;37:39-46. doi: 10.1016/j.diabet.2010.07.004. 

  24. Connolly V, Unwin N, Sherriff P, Bilous R, Kelly W. Diabetes prevalence and socioeconomic status: a population based study showing increased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deprived area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0;54:173-7. doi: 10.1136/jech.54.3.173. 

  25. Ha KH, Kim DJ. Current status of managing diabetes mellitus in Korea. Korean J Intern Med. 2016;31:845-50. doi: 10.3904/kjim.2016.253. 

  26. Holman N, Young RJ, Jeffcoate WJ. Variation in the recorded incidence of amputation of the lower limb in England. Diabetologia. 2012;55:1919-25. doi: 10.1007/s00125-012-2468-6. 

  27. Shaw J. Diabetes: regional variation in lower limb amputation incidence. Nat Rev Endocrinol. 2012;8:386-8. doi: 10.1038/nrendo.2012.78. 

  28. Margolis DJ, Hoffstad O, Nafash J, Leonard CE, Freeman CP, Hennessy S, et al. Location, location, location: geographic clustering of lower-extremity amputation among Medicare beneficiarie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2011;34:2363-7. doi: 10.2337/dc11-08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