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성 연안해역에서 꼬막과 새꼬막 부유유생 출현의 변화
Changes in planktonic bivalve larvae of Tegillarca granosa and Anadara kagoshimensis in the Boseong coastal waters of South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7 no.3, 2019년, pp.351 - 361  

김현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강준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정승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박용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통영해양생물자원기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매패류의 부유유생은 성패(양식자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유유생의 출현시기 및 출현량에 관한 연구는 자연 채묘량의 증대와 인공종묘의 생산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성 연안에서 총 21종의 이매패류 부유유생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구마모토굴(M. sikamea), 왜홍합(X. atratus), 종밋(M. senhousia), 참굴(M. gigas), 가리맛 조개(S. constricta), 새꼬막(A. kagoshimensis), Kurtiella aff. bidentata 그리고 꼬막(T. granosa)이 중요 부유유생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보성 연안해역의 주요 수산자원인 새꼬막(A. kagoshimensis)과 꼬막(T. granosa)은 각각 이매패류의 0.51~12.50% (평균 4.00%), 0.01~12.50% (평균 1.92%)의 구성비율을 차지하며 다른 이매패류보다 낮은 출현량을 보였다. 꼬막(T. granosa)과 새꼬막(A. kagoshimensis)의 부유유생은 6월부터 9월까지 관찰되었으나, 각각 8월 초와 8월말에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planktonic larvae of Tegillarca granosa and Anadara kagoshimensis in the Boseong coastal waters of South Korea, samples of planktonic bivalve larvae were taken from the coastal waters from June to September 2018 (this consisted of monthly sampling in Ju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2018).본 연구는 보성 연안해역에 분포하는 부유유생의 출현량을 토대로 이매패류의 산란시기를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양식 자원의 자연 증대를 위한 채묘시기의 제한 등과 같은 규제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형태학적으로 동정하기 어려운 이매패류 부유유생의 군집을 종 수준으로 분류하여 연구해역의 높은 종다양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보성 연안해역이 여러 이매패류의 산란장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꼬막, 새꼬막, 피조개는 무슨 과에 속하는가? 돌조개과(Arcidae)에 속하는 꼬막(Tegillarca granosa),새꼬막(Anadara kagoshimensis) 그리고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는 방사륵의 개수에 따라 분류되며, 이들 꼬막류는 일시적인 부유유생기와 부착치패기를 거친 후 부착치패기에서 탈락하여 갯벌 속에서 저서생활을 한다. 종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최적의 성장 조건에서 꼬막(T.
보성 연안에 중요 부유 유생 종류는? 이매패류의 부유유생은 성패(양식자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유유생의 출현시기 및 출현량에 관한 연구는 자연 채묘량의 증대와 인공종묘의 생산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성 연안에서 총 21종의 이매패류 부유유생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구마모토굴(M. sikamea), 왜홍합(X. atratus), 종밋(M. senhousia), 참굴(M. gigas), 가리맛 조개(S. constricta), 새꼬막(A. kagoshimensis), Kurtiella aff. bidentata 그리고 꼬막(T. granosa)이 중요 부유유생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보성 연안해역의 주요 수산자원인 새꼬막(A.
보성 연안에서 출현하는 이매패류 중 최우점종은? 4). 최우점종은 구마모토굴(Magallana sikamea)로, 이매패류 군집에서 평균 37.25%를 차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e SW. 1986.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ark-shell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19:72-82. 

  2. Boolootian RA, A Farmanharmaian and AC Giess. 1962. On the reproductive cycle and breeding habits of two western species of Haliotis. Biol. Bull. 122:183-192. 

  3. Chang DS, TS Moon and MM Jung. 2006. Shell height frequency using of age and growth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Linnaeus) in Yeoja Bay,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 Malacol. 22:135-141. 

  4. Chun YY, GH NA and WJ Choi. 1991. Mass mortality of arkshell, Anadara broughtonii Schrenck seedlings with marine ecological characteristics. Korean J. Fish. Aquat. Sci. 24:70-78. 

  5. Crooks JA. 1992. The ecology of the introduced bivalve, Musculista senhousia, in Mission Bay, San Diego. MS theses. San Diego State University. 

  6. Folmer O, M Black, W Hoeh, R Lutz and Vrijenhoek R. 1994. DNA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from diverse metazoan invertebrates. Mol. Mar. Biol. Biotechnol. 3:294-299. 

  7. Hajibabaei M, GAC Singer, PDN Hebert and A Donal. 2007. DNA barcoding: how it complements taxonomy, molecular phylogenetics and population genetics. Trends Genet. 23:167-172. 

  8. Han JS, JB Kim, CH Lee and EY Chung. 2005.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several tissues in Sinonovacula constricta, in relation to gonad developmental phases. Korean J. Malacol. 21:121-132. 

  9. Hong JS, M Sekino and S Sato. 2012. Molecular species diagnosis confirmed the occurrence of Kumamoto oyster Crassostrea sikamea in Korean waters. Fish. Sci. 782:259-267. 

  10. Jeon SR, S Heo, YS Cho, YH Choi and GR Oh. 2018. A study on suitable site selection of blood clams (Tegillarca granosa) using habitat suitability factors in tidal flat, Cheonsu and Garolim Bays. Korean Soc. Mar. Environ. Saf. 24:764-772. 

  11. Jung SW, CS Kim, JW Yoo, YO Kim, JH Lee and JS Hong. 2010. Identification of Ruditapes philippinarum and Meretrix lusoria larvae using single cell PCR analysis and microscopic observation. Ocean Polar Res. 32:247-254. 

  12. Jung SW, HJ Kim, JS Park, TK Lee, K Shin, SY Jeong, SY Hwange and JW Yoo. 2018. Planktonic bivalve larvae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in Gomso Bay, South Korea,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analysis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Aquaculture 490:297-302. 

  13. Kim CW, SB Kwon and SB Hur. 2006. Distribution of bivalve larvae in Deukryang Bay. J. Aquacult. 19:288-298. 

  14. Kim JD, SC Cheong and HW Kang. 1980. Studies on the artificial mass seed production of the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Schrenck). II. On the intermediate culture of the artificial seed. Acta Chimica 25:45-53. 

  15. Kim KC. 2012.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ark shell industry in Beolgyo area, Bosung County. MS theses. Gwangju University. 

  16. Kim SY, YK Shin, HK Lim and WC Lee. 2008.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rcidae) from Yeoja Bay. J. Aquac. 21:252-258. 

  17. KOSIS. 20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URL:http://kosis.kr. 

  18. Kwon WS and CH Cho. 1986. Culture of the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in Yoja Bay. Korean J. Fish. Aquat. Sci. 19:375-379. 

  19. Lam NN and DN Hai. 1998. Gut content of blood cockle, Anadara granosa (L.), with emphasis on diatoms, TraVinh, South Vietnam. pp. 77-82. In Proceedings of the Eighth Workshop of the Tropical Marine Mollusc Programme (TMMP) (Hylleberg J (eds.)). 

  20. Lee JH, EW Choi, SK Kim, SH Ryu and UW Hwang. 2012. Mitochondrial genome of the cockscomb pearl mussel Cristaria plicata (Bivalvia, Unionoida, Unionidae). Mitochodrial DNA 23:39-41. 

  21. Lee JH. 1998. A study on sexual maturation of the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Lischke. Korean J. Malacol. 14:99-102. 

  22. Lim HS and KY Park. 1998. Population ecology of the mud mussel Musculista senhousia (Bivalvia: Mytilidae) on the mud tidal flat in Mokpo coastal area, southwest coast of Korea 1. distribution and growth. Korean J. Malacol. 14:121-130. 

  23. Lutz R, J Goodsell, M Castagna, S Chapman and C Newell. 1982. Preliminary observations on the usefulness of hinge structures for identification of bivalve larvae. J. Shellfish Res. 2:65-70. 

  24. Mago T and SL Salzberg. 2011. FLASH: fast length adjustment of short reads to improve genome assemblies. Bioinformatics 27:2957-2963. 

  25. MIFAFF. 2008.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pp. 301-302. In Statistical Yearbook.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26. Moon TS, MM Chung, YK Shin, MH Yang, CS Ko and YJ Chang. 2004. Spawning inducement, egg development and early larval rearing of ark shell (Tegillarca granosa). (L.) J. Korean Fish. Soc. 37:485-491. 

  27. Morton B. 1974. Some aspects of the biology, population dynamics, and functional morphology of Musculista senhausia Benson (Bivalvia, Mytilidae). Pac. Sci. 28:19-33. 

  28. Park MS, HJ Lim and PJ Kim. 1998.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glycogen and hemoglobin content of cultured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Korean J. Fish. Aquat. Sci. 31:176-185. 

  29. Park SN, KH Oh, YK Koh, ST Youn, HG Kim and HS Yang. 2015. The tidal wetland environment of Suncheon Bay and Boseong-Beolgyo based on citizen monitoring. J. Korean Isl. 27:161-179. 

  30. Sanchai T. 1996. Culture of cockle, Anadara spp., on the west coast of southern Thailand. pp. 97-100. In Proceedings of the Sixth Workshop of the Tropical Marine Mollusc Programme (TMMP) (Hylleberg J and K Ayyakkannu eds.). Phuket Marine Biological Center. 

  31. Sato M and CH Koh. 2004. Biological richness of the Asian tidal flats and its crisis by human impacts. pp. 135-155. In Ecological Issues in a Changing World. Springer, Dordrecht. 

  32. Schloss PD, SL Westcott, T Ryabin, JR Hall, M Hartmann, EB Hollister, RA Lesniewski, BB Oakley, DH Parks, CJ Robinson, JW Sahl, B Stres, GG Thallinger, DJ van Horn and CF Weber. 2009. Introducing mothur: open-source, platform-independent, community-supported software for describing and comparing microbial communities. J. Appl. Environ. Microbiol. 75:7537-7541. 

  33. Shin YK and TS Moon. 2005. Temperature tolerance and physiological change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J. Korean Fish. Soc. 38:251-256. 

  34. Shin YK, TS Moon and CH Wi. 2002. Effects of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on the physiology of the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J. Korean Fish. Soc. 35:485-489. 

  35. Shin YK, WC Lee, SY Kim, JC Jun and EO Kim. 2011. Variation in physiological energetics of blood cockle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rcidae) from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Korean J. Malacol. 27:205-211. 

  36. Yoo SK. 1971. Biological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important bivalves. 3. Growth and morphological variations of the ark shell Anadara granosa bisenensis Schenck et. Reinhart. Publ. Mar. Lab. Bull. Pusan Fish. Coll. 4:19-27. 

  37. Yoo SK. 2000. Coastal Aquaculture. Guduk Publishing Company, Busan. 

  38. You Z, S Xu, P Bian and J Chen. 2001. The effects of sea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Tegillarca granosa larvae and juveniles. Acta Oceanol. Sin. 23:106-113. 

  39. You Z, Y Wang and J Chen. 2002. Growth of Tegillarca granosa in the pond culture of Leqing Bay. J. Fish. China 26:440-447. 

  40. Zheng Y, X Zhang, H Luan and Z Wang. 1994. On promoting maturity of ark shell by controlling water temperature. Shandong Fish. 11:7-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