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달가슴곰의 서식지 확대 사례
A case study of the habitat expansion of the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ussuricu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7 no.2, 2019년, pp.196 - 203  

김정진 (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김태욱 (국립공원공단 종복원기술원) ,  최주열 (국립공원공단 종복원기술원) ,  박석호 (국립공원공단 종복원기술원) ,  한상현 (국립공원공단 종복원기술원) ,  이사현 (국립공원공단 종복원기술원) ,  오홍식 (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 한국에는 반달가슴곰이 많은 개체수가 서식하였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반달가슴곰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산업화, 서식지 파괴, 밀렵으로 인해 절멸 상태에 이르렀다. 2000년대 초반 지리산국립공원에서 극소수의 개체가 활동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에 환경부에서는 절멸 위험에 처해 있는 생물종에 대한 복원과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해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외부로부터 한반도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과 동일한 아종을 도입 방사한지 14년이 흐른 2017년에 지리산에서 약 80 km 떨어진 수도산에서 반달가슴곰이 발견되었다. 유전자 분석결과 과거 지리산에서 방사했었던 3년생 반달가슴곰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지리산에서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추진한 이후 가장 멀리서 이동한 사례이다. 이후 지리산에서 2회 재방사를 하여 다시 수도산으로 이동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지리산에서 활동하는 반달가슴곰에 비해 많은 이동거리와 행동권을 나타냈다. 수도산에서 3번째 방사 이후 안정적인 이동 패턴과 서식영역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해 지리산 반달가슴곰 집단의 서식지 확산과 이에 따른 광역적 관리 방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bitat loss by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poaching reduced the population of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bus ussuricus) population in South Korea in the late 20th Century. In the early 2000s, the Korean Government had begun a restoration project of Asiatic black bear. In 2017, a b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후 지리산에서 2회 재방사를 하여 다시 수도산으로 이동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지리산에서 활동하는 반달가슴곰에 비해 많은 이동거리와 행동권을 나타냈다. 수도산에서 3번째 방사 이후 안정적인 이동 패턴과 서식영역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해 지리산 반달가슴곰 집단의 서식지 확산과 이에 따른 광역적 관리 방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후 유전자 분석을 통해 지리산 개체군 중 한 마리임을 확인한후, 다시 지리산국립공원 내에 방사하였으나, 곰은 다시 수도산 지역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방사된 개체가 원거리 지역인 경상북도 김천시 수도산으로 반복적으로 이주하는 사례에서 이주 행동의 특성과 이주 후 행동권에 대한 비교를 통해 점차 개체군이 증가하고 있는 지리산 반달가슴곰 집단의 서식지 확산과 이에 따른 광역적 관리 방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달가슴곰은 어떻게 절멸 상태에 이르게 됐는가? 과거 한국에는 반달가슴곰이 많은 개체수가 서식하였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반달가슴곰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산업화, 서식지 파괴, 밀렵으로 인해 절멸 상태에 이르렀다. 2000년대 초반 지리산국립공원에서 극소수의 개체가 활동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에 환경부에서는 절멸 위험에 처해 있는 생물종에 대한 복원과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해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프로젝트를 추진하게된 배경은 무엇인가?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반달가슴곰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산업화, 서식지 파괴, 밀렵으로 인해 절멸 상태에 이르렀다. 2000년대 초반 지리산국립공원에서 극소수의 개체가 활동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에 환경부에서는 절멸 위험에 처해 있는 생물종에 대한 복원과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해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외부로부터 한반도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과 동일한 아종을 도입 방사한지 14년이 흐른 2017년에 지리산에서 약 80 km 떨어진 수도산에서 반달가슴곰이 발견되었다.
지리산에서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추진한 이후 가장 멀리서 이동한 사례는 무엇인가? 2000년대 초반 지리산국립공원에서 극소수의 개체가 활동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에 환경부에서는 절멸 위험에 처해 있는 생물종에 대한 복원과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해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외부로부터 한반도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과 동일한 아종을 도입 방사한지 14년이 흐른 2017년에 지리산에서 약 80 km 떨어진 수도산에서 반달가슴곰이 발견되었다. 유전자 분석결과 과거 지리산에서 방사했었던 3년생 반달가슴곰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지리산에서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추진한 이후 가장 멀리서 이동한 사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dams LW. 1994. Urban Wildlife Habitats: A Landscape Perspectiv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USA. p. 67. 

  2. CITES. 2019. CITES Authoritative Information on Taxonomy. https://www.speciesplus.net/ (last accessed 27. May. 2019). 

  3. Eric GB and LR William. 2002. Wildlife Ecology and Management (5nd ed.). Pearson Education Inc., New Jersey. p. 105. 

  4. Festa-Bianchet M and M Appollonio. 2003. Animal Behavior and Wildlife Conservation. Island press., Washing DC. p. 34. 

  5. IUCN. 2019.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last accessed Jan. 2019). 

  6. KNPS. 2004. Asiatic black bear test release annual report. Southern Jirisan Offic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p. 19. 

  7. MOE. 2002. Development of endangered wildlife restoration technolog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p. 134. 

  8. Morrison ML, BG Marcot and RW Mannan. 1992. Wildlife-habitat relationships: concepts and application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Madison. p. 4. 

  9. Shaw JH. 1985. Introduction to wildlife management.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p. 30. 

  10. SRTI. 2018. Annual report 2017. Species Restoration Technology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pp. 21-24. 

  11. SRTI. 2019. Annual report 2018. Species Restoration Technology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pp. 29-31. 

  12. Worton BJ. 1987. A review of model of home range for animal movement. Ecol. Model. 34:277-2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