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Current Research Trends in Hospice-Related Domestic Nursing Research Theses (1998~2017)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2 no.1, 2019년, pp.19 - 29  

김원순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7년까지 수행된 호스피스 간호연구 논문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주요 검색어는 '호스피스', '간호'였으며(마지막 검색일: 2018년 3월 30일) 검색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4u.net)를 통해 선정되었으며, 더불어 한국간호과학회지 및 8개 분과 학회지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와 한국호스피스협회지에 1998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논문 모두를 검토하였으며, 학위논문은 제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1998년부터 2002년에 51편(20.0%)이었던 논문이 2013년부터 2017년에는 79편(31.0%)으로 약 11% 이상 급증하였으며 호스피스간호 학문분야별로 심리학 분야가 92편(36.2%)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간호학 분야가 46편(18.1%)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별로 분석한 결과 말기암환자가 72편(28.3%)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외에 1편(0.4%)은 HIV 바이러스, AIDS 환자였으며 아동 말기암환자도 2편(0.8%)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는 183편(72.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질적 연구 22편(8.7%)으로 많았다. 실험 중재는 총 34편(13.5%)으로 호스피스교육프로그램이 7편(2.8%)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결론: 호스피스 간호연구의 대상자는 대부분 환자에 치중되어있었으며 소수 호스피스대상자와 가족대상자의 연구가 적어 소수의 호스피스대상자와 가족대상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가 대부분으로 나타나 향후 근거기반의 간호연구 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순수 실험연구와 질적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더불어 연구주제가 심리적 변수가 대부분으로 나타나 호스피스대상자의 주요 간호문제인 통증 등의 생리적 변수를 적용한 실험 연구가 활성화되어 대상자의 통증중재프로그램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the hospice nursing research trend in 1998~2017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research articles on hospice nursing. Methods: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with keywords of 'nursing' and 'hospice on an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lso reviewed were all articles p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호스피스 간호연구 중재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호스피스 간호 수행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최근 1998년부터 2017년까지 20년간 진행된 국내 호스피스 간호 논문의 동향을 분석하여 호스피스 간호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호스피스대상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호스피스 간호프로그램 개발의(14)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7년까지 수행된 호스피스 간호연구 논문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7년까지의 호스피스 간호논문의 동향을 파악하여 호스피스 간호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으며 호스피스 간호논문은 다양한 주제로 꾸준히 증가했는데 특히 2008년부터 2012년에 61편(23.3%)이었던 논문이 2013년부터 2017년에는 84편(34.1%)으로 약 11% 포인트 이상 급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Kim 등(12)과 Lee와 Choi(13)의 연구결과에서도 호스피스 간호논문이 꾸준한 증가를 가져온 결과와 일치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호스피스 간호와 연구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1998년부터 2017년까지 연구 진행된 호스피스 간호논문을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스피스 간호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호스피스 간호의 주요 목적은 호스피스대상자의 통증과 다른 증상들, 심리적, 사회적 그리고 영적인 문제들의 조절로 환자와 가족들이 최상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에 있다(14). 그러므로 호스피스대상자와 가족의 주요 간호문제를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국내 호스피스대상자와 임종환자 수의 증가가 가져온 정책변화는 무엇인가? 국내 호스피스대상자와 임종환자 수의 증가는 간호사의 임종간 호수행 증가를 가져왔으며(5) 국내 호스피스에 대한 정책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2016년 2월 보건복지부(6)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호스피스 프로그램연구와 호스피스 연구, 호스피스 사업 등이 활발히 진행되었다(6). 또한 호스피스 간호와 관련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어 2017년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호스피스 간호를 주제로 111편이 검색되었으며 향후 호스피스 간호연구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7).
호스피스 간호란? 호스피스 간호란 호스피스환자와 그 가족에게 신체적, 사회·심리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총체적 행위로 대상자는 환자를 포함한 모든 자원이 될 수 있다(15). 그러므로 본 호스피스 간호연구의 자료선정은 임종 대상자와 가족, 이들을 간호하는 의료 진, 호스피스 팀과 더불어 의료 환경도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으며 호스피스 간호 중재프로그램도 포함시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2015.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2016.Statistics Korea. Daejeon cited 2016 Sep 26 

  2. 2014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2015.Statistics Korea. Daejeon [cited 2015 Sep 23] 

  3. Details on criteria for calculating long-term care benefit costs [Internet] 2016.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Agency. Wonju [cited 2016 Dec 30] 

  4. Future Population Estimation [Internet] 2010.Statistics Korea. Daejeon [cited 2011 Dec 7] 

  5. 김원순, 조헌하, 권수혜.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및 자아존중감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9, no.2, 154-162.

  6. Bioethics Policy Division; Health Care Decision in 2017 [Internet] 2017.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cited 2011 Dec 7] 

  7. 최명애, 김남초, 김경미, 김성재, 박경숙, 변영순, 신성례, 양수, 이경숙, 이은현, 이인숙, 이태화, 조명옥, 김진학. 한국간호연구의 동향: 대한간호학회지 및 회원 학회지(창간호부터 2010년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ol.44, no.5, 484-494.

  8. 김숙남, 김현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9, no.2, 136-144.

  9. 김현태, 고경원, 김여명, 강민수, 노희선, 김혜련, 김철현, 이재철. NCCN 암성 통증 가이드라인에 따른 폐암 환자의 암성 통증 조절.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TRD = 결핵 및 호흡기 질환, vol.67, no.3, 221-225.

  10. Cramarossa, Gemma, Chow, Edward, Zhang, Liying, Bedard, Gillian, Zeng, Liang, Sahgal, Arjun, Vassiliou, Vassilios, Satoh, Takefumi, Foro, Palmira, Ma, Brigette B. Y., Chie, Wei-Chu, Chen, Emily, Lam, Henry, Bottomley, Andrew. Predictive factors for overall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Supportive care in cancer : official journal of the Multinational Association of Supportive Care in Cancer, vol.21, no.6, 1709-1716.

  11. Leow, Mabel Q. H., Chan, Sally W. C.. The Challenges, Emotions, Coping, and Gains of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in Singapore : A Qualitative Study. Cancer nursing, vol.40, no.1, 22-30.

  12. Kim SH, Choi SE, Kang SN, Park JS, Sohn SK, Kang ES et al.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about hospice in Korea; 1991-2004.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145-53. 

  13. 10.14475/kjhpc.2011.14.3.152 Lee YE, Choi EJ. Trends in research on hospice care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1;14:152-62. 

  14. 이영은, 최은아, 이경은.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 인식.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8, no.4, 294-305.

  15. Noh YJ, Han SS, Ahn SH, Kim CG. Hospice and death. Seoul: Hyunmoon; 1994 p. 220-9. 

  16. Cho HH, Yoon JW. Trends in research on children with cancer and their families in Korea. Child Health Nurs Res 2010;16:73-83. 

  17. 2015 State cancer generation data service [Internet] 2015.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Goyang [cited 2017 Dec 26] 

  18. Announce of plan for activation of hospice & palliative care in 2013 [Internet] 2013.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cited 2014 Dec 6 

  19. Sohn SK, Kim SJ, Kim SH, Kang SN, Park JS, Choi SE.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about hospice in Korea (1991-2004). J Holistic Nurs Sci 2018;3:25-51. 

  20. Catholic University Hospice Education Institute. Hospice palliative care. Seoul: Koonja; 2006 p. 120-9. 

  21. Korean Hospice Relief Nursing Society. Hospice palliative care. Seoul: Hyunmoon; 2015 p. 220-9. 

  22. 서민정, 김정연, 김상희, 이태화. 임종 다빈도 부서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대처정도와 생애 말기환자 간호와의 관계 - 응급실, 중환자실, 종양내과 병동 간호사를 중심으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6, no.2, 108-117.

  23. Ko, Mun Jung, Moon, So-Hyun.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by ICU Nurses. 정신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vol.25, no.4, 327-.

  24. Noh SS, Lee CK, Sung YH. Predictor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for cancer patients. Korean J Crit Care Nurs 2016;9:61-70. 

  25. Hospice easing medical quality evaluation in 2016 [Internet] 2016.National Cancer Center. Goyang cited 2015 Sep 8 

  26. 2016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2017.Statistics Korea. Daejeon [cited 2017 Sep 22] 

  27. 2016 HIV/AIDS Report Status [Internet] 2016.Chosun.com. Seoul [cited 2017 Aug 12] 

  28. Enforcement Decree of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Internet] 2016.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cited 2017 Dec 12] 

  29. Lee EO, 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Y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Paju: Soomoonsa; 2009 p. 340-7. 

  30. Kim GH. Array. Pusan: Catholic Univ; 2016. 

  31. 이영은, 최은아, 이경은.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 인식.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8, no.4, 294-305.

  32. 김숙남, 김현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9, no.2, 136-144.

  33. Noh YJ, Kim NC, Lee SM. The present status and the proposals of hospice in Korea. J Res Inst Hosp Palliat Care 1996;1:5-17. 

  34. 신은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생의 의미, 죽음 불안 및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ol.22, no.3, 65-74.

  35. 김숙남, 김현주, 최순옥. 의미요법이 포함된 호스피스·완화 간호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7, no.3, 454-46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