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완화의료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종사자의 인식
Palliative Care Practitioners' Perception toward Pediatric Palliative Care in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2 no.1, 2019년, pp.39 - 47  

문이지 (서울대학교병원 통합케어센터) ,  신희영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민선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송인규 (국립암센터 중앙호스피스센터) ,  김초희 (서울대학교병원 통합케어센터) ,  유주연 (수원여자대학 간호학과) ,  박혜윤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소아완화의료 대상 환자와 가족을 돌보는 전문기관 종사자의 환자진료 및 시스템 연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자료 수집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이하 전문기관)에 근로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2017년 9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어 총 61건의 자료를 수거하였다. 결과: 소아완화의료를 입원형, 자문형, 가정형 중 한가지 형태로라도 제공하고 있는 기관은 11기관(18.0%)이었으며, 지역별 분포는 서울, 경기, 인천, 경상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기타 지역에서는 활용 가능한 자원이 전무한 상황이다. 개입 시 장애요인은 '훈련된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것의 어려움'이며, 비암성 소아청소년 환자의 경우 '예후 및 경과 예측의 어려움 47.5% (n=28)' 으로 확인되었다. 소아완화의료 구성형태는 '성인과 다른 소아청소년의 특성, 소아청소년 전문인력 필요, 관리 및 제도보완 필요'를 이유로 응답자 중 73.8% (n=45)이 별도의 소아완화의료팀 구성이 필요하다는 의사를 밝혔다. 개입시점은 '완치가능성이 적은 소아암 진단 시'부터 진행해야 하는 것이 33.7% (n=33)로 가장 높았으나 의뢰시점은 '사망시점을 예상하기 어려우나 지속적 악화상태인 경우'가 38.2% (n=39)로 가장 높아, 전문기관으로 의뢰 전 기존 치료 병원에서 개입을 진행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응답기관 중 14.8% (n=9)만이 추후 소아완화의료 제공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결론: 2018년 두 곳으로 시작한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시범사업기관에 더해 지역별로 배치되어 있는 전문기관에서 소아완화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별도 소아완화의료 구성의 필요성을 인정함에도 소아완화의료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으로 실제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에 우선적으로 소아완화의료 전문가를 양성하고 교육 개발 및 의뢰 시점에 대한 논의 등을 통하여 소아완화의료 확산에 대한 현실적 논의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ediatric palliative care provision and how it is perceived by the palliative care expert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61 hospice institutions. From September through October 2017, a questionnaire was compl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소아완화의료를 제공하고 있는 외국의 경우를 참고하여 소아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한 완화의료 도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전문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소아완화의료 제공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향후 소아완화의료 모델구축 및 전국적 제도 확산을 위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기반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아완화의료에 대한 전문기관 종사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전문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국내 89개 전문기관에 협조 요청하여 수거된 설문 총 6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완화의료 제공경험이 있는 전문기관의 전문가 인식을 토대로 소아완화의료 모델구축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전국 전문기관 61개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전체 응답자 중 소아완화의료를 한 가지 형태로라도 제공하고 있는 기관은 11기관(18.
  • 본 연구는 완화의료대상 환자와 가족을 돌보는 전문기관 종사자의 소아완화의료 환자진료 및 시스템 연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완화의료 제공경험이 있는 완화의료 전문기관 종사자의 경험을 토대로 소아완화의료 모델 구축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도구는 총 27개 문항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의 완화 의료 제공 현황 7개 문항, 소아완화의료 제공 시 장애요인 파악을 위한 4개 문항, 소아완화의료 개입 시점 파악을 위한 4개 문항, 제공체계 구축 방안에 관한 5개 문항, 단기휴식 서비스 관련 2개 문항, 의뢰경로에 대한 1개 문항, 제도 정착을 위한 의견 확보 1개 문항, 일반적 정보에 대한 3개 문항으로 나눠진다. 응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문문항 구성 시 소아완화의료 해당질환 범주(17) 및 단기휴식서비스(respite care)에 대한 설명을 기술하여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완화의료에 대해 우선적으로 전문가를 양성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아완화의료 개입 시 주된 장애요인은 제공형태별 구분에 상관없이 ‘훈련된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것의 어려움’이 공통적으로 문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기존 소아완화의료 경험 여 부가 추후 소아완화의료 제공 여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경험 및 교육의 필요성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확인한 교육에 대한 세부수요 결과를 토 대로 교육과정을 준비하여 우선적으로 전문가를 양성해야 할 것이다.
소아완화의료의 형태는 무엇인가? 전체 응답자 중 소아완화의료를 한 가지 형태로 라도 제공하고 있는 기관은 11기관(18.0%)이었으며 입원형, 자문형, 가정형을 모두 제공하고 있는 기관은 3기관(4.9%)으로 소아완화의료를 제공하는 기관이 절대적으로 적음을 보여준다.
소아완화의료 개입 시 장애요인은? 0%)이었으며, 지역별 분포는 서울, 경기, 인천, 경상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기타 지역에서는 활용 가능한 자원이 전무한 상황이다. 개입 시 장애요인은 '훈련된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것의 어려움'이며, 비암성 소아청소년 환자의 경우 '예후 및 경과 예측의 어려움 47.5% (n=28)' 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Yoon YH. Hospice palliative care status and development plan. Res Institute Healthc Policy Korean Med Assoc 2012;10:39-44. 

  2. Heo, Dae Seog. How to build successful hospice-palliative care systems in Korea. JKMA :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 대한의사협회지, vol.60, no.5, 352-.

  3. Liben, S., Papadatou, D., Wolfe, J.. Paediatric palliative care: challenges and emerging ideas. The Lancet, vol.371, no.9615, 852-864.

  4. Himelstein, Bruce P.. Palliative Care for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vol.9, no.1, 163-181.

  5. 10.14475/kjhpc.2012.15.3.131 Kang KA, Hwang AR. Pediatr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131-40. 

  6. Kang KA, Kim SJ. The present and future of children's hospice care in Korea. Child Health Nurs Res 2003;9:190-7. 

  7. Kim, Min Sun, Lim, Nam Gu, Kim, Hyun Joo, Kim, Chohee, Lee, Jin Yong. Pediatric Deaths Attributed to Complex Chronic Conditions over 10 Years in Korea: Evidence for the Need to Provide Pediatric Palliative Care.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JKMS, vol.33, no.1, e1-.

  8. Anne H, Hacking S. The Big Study : for Llife-limit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Bristol: Together for Shore Lives; 2013. 

  9.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U.S.). NHPCO facts and figures : hospice care in America. [United States]: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2015. 

  10. Feudtner, Chris, Womer, James, Augustin, Rachel, Remke, Stacy, Wolfe, Joanne, Friebert, Sarah, Weissman, David. Pediatric Palliative Care Programs in Children’s Hospitals: A Cross-Sectional National Survey. Pediatrics, vol.132, no.6, 1063-1070.

  11. Verberne, Lisa M., Kars, Marijke C., Schepers, Sasja A., Schouten-van Meeteren, Antoinette Y. N., Grootenhuis, Martha A., van Delden, Johannes J. M..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the implementation of a paediatric palliative care team. BMC palliative care, vol.17, 23-.

  12. Thompson, Lindsay A., Knapp, Caprice, Madden, Vanessa, Shenkman, Elizabeth. Pediatricians' Perceptions of and Preferred Timing for Pediatric Palliative Care. Pediatrics, vol.123, no.5, e777-e782.

  13. 10.7249/WP137 

  14. Twamley, Katherine, Craig, Finella, Kelly, Paula, Hollowell, Delia R, Mendoza, Patricia, Bluebond-Langner, Myra. Underlying barriers to referral to paediatric palliative care services : Knowledge and attitudes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a paediatric tertiary care centre in the United Kingdom. Journal of child health care : for professionals working with children in the hospital and community, vol.18, no.1, 19-30.

  15. Knapp, Caprice, Thompson, Lindsay.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barriers to pediatric palliative care: a survey of pediatricians in Florida and California. Palliative medicine, vol.26, no.3, 268-274.

  16. Pentaris, Panagiotis, Papadatou, Danai, Jones, Alice, Hosang, Georgina M..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perceptions of barriers and challenges to accessing children’s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in South East London: A preliminary study. Death studies, vol.42, no.10, 649-657.

  17. Bergstraesser, Eva. Pediatric palliative care-when quality of life becomes the main focus of treatment.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vol.172, no.2, 139-150.

  18. Stake R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5. 

  19. Cho JK. An improvement plan for health care delivery system. Health Welfare Policy Forum 2010;169:6-15. 

  20. Feudtner, Chris, Womer, James, Augustin, Rachel, Remke, Stacy, Wolfe, Joanne, Friebert, Sarah, Weissman, David. Pediatric Palliative Care Programs in Children’s Hospitals: A Cross-Sectional National Survey. Pediatrics, vol.132, no.6, 1063-1070.

  21. Bona, Kira, Bates, Jennifer, Wolfe, Joanne. Massachusetts' Pediatric Palliative Care Network: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Novel State-Funded Pediatric Palliative Care Program.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vol.14, no.11, 1217-1223.

  22. Baum D, ACT;Royal College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A guid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alliative care services. 1st ed. Bristol: Association for Children with Life-Threatening or Terminal Conditions and their Families; 1997. 

  23. Davies, Betty, Sehring, Sally A., Partridge, J. Colin, Cooper, Bruce A., Hughes, Anne, Philp, Julie C., Amidi-Nouri, Aara, Kramer, Robin F.. Barriers to Palliative Care for Children: Perceptions of Pediatric Health Care Providers. Pediatrics, vol.121, no.2, 282-288.

  24. 10.14475/kjhpc.2010.13.3.181 Shin DW, Choi JY, Nam BH, Seo WS, Kim HY, Hwang EJ et al. The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of palliative care units in Korea: 6 month results of 2009 Korean terminal cancer patient information system.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18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