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 어획대상 잠재생산량 추정을 위한 자원평가모델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tock assessment models for analyzing potential yield of fishery resources in the West Sea, Korea 원문보기

수산해양기술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55 no.3, 2019년, pp.206 - 216  

최민제 (부경대학교 대학원 해양수산경영학과) ,  김도훈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영학과) ,  최지훈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compare stock assessment models depending on how the models fit to observed data. Process-error model, Observation-error model, and Bayesian state-space model for the Korean Western coast fisheries were applied for comparison.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re is the least 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서해 어획대상 자원의 지속적 생산량 추정을 위하여 어획량과 표준화된 어획노력량 자료(Kim et al., 2018)를 이용하여 관측오차 모델과 State-space 모델을 분석하였으며, 모델 분석 결과를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보다 유의한 자원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Kim et al. (2018) 에서 서해 어획대상 잠재생산량의 추정에 사용된 어획량과 표준화된 어획노력량 자료를 이용하여 과정오차 모델, 관측오차 모델, 그리고 State-space 모델의 결과를 비교ㆍ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Kim et al.
  • (2018) 의 연구에서는 Fox 모델, CYP 모델, ASPIC 모델, 그리 고 Maximum entropy 모델을 활용하여 서해 어획대상 잠재생산량을 추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측오차 모델과 State-space 모델을 추가하여 기존 모델 결과 들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보다 유의한 자원평가 모델을 제시하고, 서해 어획대상 자원관리 및 회복 목표 설정에 있어 과학적인 의사결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과정오차 모델은 자원동태 모델을 이용한 자원평가에 있어 관측치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자원량의 변화에서만 오차가 발생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자원량을 추정하는 모델이다. 반대로 관측오차 모델은 자원동태 모델에서의 오차는 관측치인 단위노력당 어획량에서만 발생하며 자원량의 변화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자원량을 추정하는 모델이다.
  • 관측오차 모델은 식 (1)의 함수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수산자원 평가에 있어서의 오차는 자원에 대한 관측치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한다(Polacheck et al., 1993; Haddon, 2010). 본 연구에서 사용된 관측오차 모델과 ASPIC 모델의 주요 차이점은 본 연구에서는 관측 오차를 로그우도함수(log-likelihood function)를 사용하여 확률적으로 고려했다는 점이다.
  • 또한 보다 현실적인 추정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추정 과정에서 B0와 K가 동일하다는 가정과 관 측오차가 로그정규분포의 형태를 갖는다는 가정을 추가 하였다. 그리고 잉여생산 함수의 형태에 따른 영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하기 위해 Fox의 잉여생산 함수와 Pella-Tomlinsom의 잉여생산 함수의 두 가지 형태를 모두 가정하여 추정하였다.
  • 관측오차 모델은 수산자원의 평가에 있어 단위 노력당 어획량과 같은 관측치에서만 오차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수산자원의 지속적 생산량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최우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통하여 생물계수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MSY와 Emsy 를 산출하였다. 또한 보다 현실적인 추정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추정 과정에서 B0와 K가 동일하다는 가정과 관 측오차가 로그정규분포의 형태를 갖는다는 가정을 추가 하였다. 그리고 잉여생산 함수의 형태에 따른 영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하기 위해 Fox의 잉여생산 함수와 Pella-Tomlinsom의 잉여생산 함수의 두 가지 형태를 모두 가정하여 추정하였다.
  • 과정오차 모델은 자원동태 모델을 이용한 자원평가에 있어 관측치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자원량의 변화에서만 오차가 발생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자원량을 추정하는 모델이다. 반대로 관측오차 모델은 자원동태 모델에서의 오차는 관측치인 단위노력당 어획량에서만 발생하며 자원량의 변화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자원량을 추정하는 모델이다. 두 모델 중에 서는 통상적으로 관측오차 모델이 과정오차 모델에 비해 보다 현실적인 추정치를 산출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Polacheck et al.
  • 베이지안 추론은 관측자료와 추정모수 모두에 확률 분포를 가정하여 추론하는 방법으로 베이지안 추론을 위해 식 (2)와 (6)을 재구성하여 자원량(By )을 자원량의 비율(Py=By/ K)로 수정하여 추정하였으며, 추정에 있어 오차는 로그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Millar and Meyer, 2000).
  • 여기서, e는 오차를 나타내고, 로그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관측오차 모델 추정을 위한 우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Punt (1990)에 따르면 관측오차모델을 추정할 때 B0와 K를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보다 좋은 결과치를 도출 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관측오차 모델을 적용함에 있어 B0를 K와 같다고 가정하였다.
  • 잉여생산량 모델에서는 어획능률과 자원량의 관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Haddon, 2010). 이에 따라 자원의 관측치에 대한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정오차 모델과 관측오차 모델의 한계는 무엇인가? , 2018). 하지만 두 모델 모두 관측오차와 과정오차 를 함께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잉여생산량 모델의 특징은 무엇인가? 자원평가 모델 중 잉여생산량 모델(surplus production model)은 어획량과 어획노력량에 대한 시계열 자료만 존재하면 최대 지속적 생산량(maximum sustainable yield, MSY)과 그에 상응하는 어획노력량을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계산절차의 간편함으로 수산자원의 평가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델이다(Polacheck et al1993).
과정오차 모델이란 무엇인가? 과정오차 모델은 자원동태 모델을 이용한 자원평가에 있어 관측치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자원량의 변화에서만 오차가 발생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자원량을 추정하는 모델이다. 반대로 관측오차 모델은 자원동태 모델에서의 오차는 관측치인 단위노력당 어획량에서만 발생하며 자원량의 변화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자원량을 추정하는 모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lker BM. 2008. Ecological models and data in 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3-242. 

  2. Chaloupka M and Balazs G. 2007. Using Bayesian state-space modelling to assess the recovery and harvest potential of the Hawaiian green sea turtle stock. Ecological modelling 205, 93-109. (DOI:10.1016/j.ecolmodel. 2007.02.010). 

  3. Clarke RP , Yoshimoto SS and Pooley SG. 1992. A bioeconomic analysis of the Northwestern Hawaiian Islands lobster fishery. Marine Resource Economics 7, 115-140. (DOI:10.1086/mre.7.3.42629029). 

  4. de Valpine P and Hastings A. 2002. Fitting population models incorporating process noise and observation error. Ecological Monographs 72, 57-76. (DOI:10.1890/0012-9615(2002)072[0057:FPMIPN]2.0.CO;2). 

  5. de Valpine P and Hilborn R. 2005. State-space likelihoods for nonlinear fisheries time-series.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62, 1937-1952. (DOI:10.1139/f05-116). 

  6. Fitzpatrick J. 1996. Technology and fisheries legislation.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350, 191-200. 

  7. Fox WW. 1970. An exponential surplus­yield model for optimizing exploited fish population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99, 80-88. (DOI:10.1577/1548-8659(1970)99<80:AESMFO>2.0.CO;2). 

  8. Gilks WR and Wild P. 1992. Adaptive rejection sampling for Gibbs sampling. Applied Statistics, 337-348. (DOI:10.2307/2347565). 

  9. Haddon M. 2010. Modelling and quantitative methods in fisheries. CRC press, 285-333. 

  10. Hilborn R and Walters CJ. 1992. Quantitative fisheries stock assessment: choice, dynamics and uncertainty. Reviews in Fish Biology and Fisheries 2, 177-178. (DOI:10.1007/BF00042883). 

  11. Kim DH. 2013. Bayesian statistics using R and WinBUGS. Freedom Academy, 87-248. 

  12. Kim HA , Seo YI , Cha HK , Kang HJ and Zhang CI. 2018.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potential yield for Korean west coast fisheries using the holistic production method (HPM).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4, 38-53. (DOI:10.3796/KSFOT. 2018.54.1.038). 

  13. Kwon YJ , Zhang CI , Pyo HD and Seo YI. 2013. Comparison of models for estimating surplus production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ir parameters.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49, 18-28. (DOI:10.3796/KSFT.2013.49.1.018). 

  14. Lunn DJ , Thomas A , Best N and Spiegelhalter D. 2000. WinBUGS-a Bayesian modelling framework: concepts, structure, and extensibility. Statistics and computing 10, 325-337. (DOI:10.1023/A:1008929526011). 

  15. McAllister MK , Pikitch EK and Babcock EA. 2001. Using demographic methods to construct Bayesian priors for the intrinsic rate of increase in the Schaefer model and implications for stock rebuilding.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58, 1871-1890. (DOI:10.1139/f01-114). 

  16. McAllister MK and Ianelli JN. 1997. Bayesian stock assessment using catch-age data and the sampling-importance resampling algorithm.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54, 284-300. 

  17. Meyer R and Millar RB. 1999. BUGS in Bayesian stock assessments.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56, 1078-1087. (DOI:10.1139/f99-043). 

  18. Millar RB and Meyer R. 2000. Non­linear state space modelling of fisheries biomass dynamics by using Metropolis­Hastings within­Gibbs sampling.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C (Applied Statistics) 49, 327-342. (DOI:10.1111/1467-9876.00195). 

  19. Neal RM. 1997.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s based onslicing' the density function. Department of Statistics, University of Toronto, Cananda, 1-27. 

  20. Pella JJ and Tomlinson PK. 1969. A generalized stock production model. Inter-American Tropical Tuna Commission Bulletin 13, 416-497. 

  21. Polacheck T, Hilborn R and Punt AE. 1993. Fitting surplus production models: comparing methods and measuring uncertainty.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50, 2597-2607. (DOI:10.1139/f93-284). 

  22. Prager MH. 1994. A suite of extensions to a nonequilibrium surplus-production model. Fish Bull 92, 374-389. 

  23. Punt AE. 1990. Is B 1= K an appropriate assumption when applying an observation error production-model estimator to catch-effort data?. South African Journal of Marine Science 9, 249-259. (DOI:10.2989/025776190784378925). 

  24. Pyo HD. 2002. Determining appropriate bioeconomic models for stock assessment of aquatic resources.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33(2), 75-98. 

  25. Robins CM, Wang YG and Die D. 1998. The impact of global positioning systems and plotters on fishing power in the northern prawn fishery, Australia.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55, 1645-1651. (DOI: 10.1139/f98-037). 

  26. Schaefer MB. 1954. Some aspects of the dynamics of populations important to the management of the commercial marine fisheries. Inter-American Tropical Tuna Commission Bulletin 1, 23-56. 

  27. 10.1139/f77-094 Schnute J. 1977. Improved estimates from the Schaefer production model: theore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the Fisheries Board of Canada 34, 583-603. (DOI:10. 1139/f77-094). 

  28. Spiegelhalter D, Thomas A, Best N, and Lunn D. 2003. WinBUGS user manual. 1-60. 

  29. Winker H, Carvalho F and Kapur M. 2018. JABBA: Just Another Bayesian Biomass Assessment. Fisheries Research 204, 275-288. (DOI:10.1016/j.fishres.2018.03.010). 

  30. Zhang CI, KIM SA and YOON SB. 1992.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small yellow croaker in Korean waters. Korean J Fish Aquat Sci 25, 282-2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