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소아청소년 완화의료의 발전 방안 제언: 국외 제공체계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How to Implement Quality Pediatric Palliative Care Services in South Korea: Lessons from Other Countrie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2 no.3, 2019년, pp.105 - 116  

김초희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통합케어센터) ,  김민선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통합케어센터) ,  신희영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통합케어센터) ,  송인규 (국립암센터 중앙호스피스센터) ,  문이지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통합케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소아청소년 호스피스 완화의료(이하 소아완화의료)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가진 소아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기 위한 총체적 돌봄 철학이자 실무의 표준이다. 국내에서는 2018년 7월 국가 지원의 소아완화의료 시범사업을 도입하였는데, 소아완화의료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국외 선진국의 소아완화의료 제공체계를 고찰하였다. 방법: 소아완화의료 제공 수준을 검토하여 영국, 미국, 일본, 싱가포르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소아완화의료 제공체계를 다룬 국내외 학술지 등 문헌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현지 전문가의 자문과 현지 방문조사를 수행하였다. 1990년 이후 영어, 일본어로 발간된 문헌을 중심으로 PubMed, Google, Google Scholar에서 검색하여 학술지, 정책보고서 등을 참고하였다. 각국의 소아완화의료 발전과정, 정책, 재정 모델, 대상 기준, 전달 체계, 질 관리 체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영국은 지역사회의 독립형 소아전문 완화의료기관이 일차 의료체계와 협력하며 어린이병원의 전문 소아완화의료 자문팀과 의뢰와 자문을 주고받는다. 미국은 병원기반의 전문 소아완화의료 자문팀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호스피스기관, 가정의료기관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돌봄 코디네이터를 지정하여 소아완화의료를 제공한다. 일본은 완화의료, 재택의료, 장애아동 및 만성질환아동 지원체계에서 완화의료 성격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싱가포르는 소아전문 가정 완화의료 단체가 어린이병원의 전문 자문팀과 협력하여 높은 지리적 접근성을 토대로 중추적으로 완화의료를 제공한다. 결론: 국외의 제공체계를 참고하고 국내의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소아완화의료의 제공체계를 정비하여 미충족 요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국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최적화해 나가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ediatric palliative care (PPC) is emphasized as standard care for children with life-limiting condi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Korea, a government-funded pilot program was launched only in July 2018. Given that, this study examined various PPC delivery models in other count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출판 논문만으로는 소아완화의료 제공체계와 현황에 대해 문헌을 수집하기 어려워 각국 정부, 보건당국과 유관 단체의 보고서, 웹사이트, 간행물 등을 대상으로 포함하였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엄격성에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소아완화의료 현장의 실무와 연구를 경험한 연구진이 자료 검색 및 대상 문헌 선정, 고찰의 과정을 담당하고 현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상세 인터뷰 및 방문조사를 수행하여 폭 넓고 심도 깊은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외의 소아완화의료 발전 과정과 제공 모델,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가진 소아청소년을 담당하는 의료진, 완화의료 의료진, 보건당국 등 이해관계자에게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일본의 Tsurumi Codomo Hospice, 영국의 East Anglia’s Children’s Hospice, 싱가포르의 KK Hospital, Assisi Hospice를 방문하였으며 담당자와 전자메일 교류를 통해 구체적인 사례를 논의하고 제공모델을 명료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의 전 과정을 소아완화의료의 실무와 연구에 경험이 풍부한 전문 연구진이 담당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영국, 미국, 일본, 싱가포르의 소아완화의료 제공체계와 현황을 고찰하여 한국의 소아완화의료 제공체계의 발전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시행되었다. 영국은 활성화된 일차의료와 독립형 소아완화의료 기관이 협력하여 가정과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소아완화의료를 제공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외 주요 국가의 소아완화의료 제공체계를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 소아완화의료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일본의 Tsurumi Codomo Hospice, 영국의 East Anglia’s Children’s Hospice, 싱가포르의 KK Hospital, Assisi Hospice를 방문하였으며 담당자와 전자메일 교류를 통해 구체적인 사례를 논의하고 제공모델을 명료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기 환자 호스피스 시범사업에 대해 소아청소년의 이용은 미미한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2003년 말기 환자 호스피스 시범사업을 실시한 이래 2017년 81개 호스피스 전문기관에서 말기 환자에게 입원형, 가정형, 자문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소아청소년의 이용은 미미한 실정이다(5). 이는 소아완화의료가 성인과 상이한 요구를 가지기 때문인데, 암 등의 특정 질환이 주요 대상인 성인 호스피스와 달리 소아청소년의 경우 사망의 주요 원인질환이 다양하고 환자수가 적기 때문에 서비스를 정형화 하기 어려워 개별적으로 제공해야 하며(6), 각 질환의 예후를 예측하기 어려운 불확실성으로 진단 초기부터 질병 치료와 완화의료의 계획을 함께 세우고 주기적으로 재평가를 시행해야 한다(7). 또한, 소아청소년의 신체적·정서적·인지적 발달 단계를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의사결정이 부모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가족이 돌봄의 대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8). 특히 소아청소년의 사망은 가족뿐 아니라 주변인에게도 매우 충격적인 일이므로 가족과 의료진의 감정 소진이 심하며 사망 후에도 정서적 고통이 크고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의 발생률이 높다(8). 따라서 국제적으로 별도의 소아완화의료 제공체계를 구축하는 추세이다.
소아청소년 호스피스 완화의료란 무엇인가? 목적: 소아청소년 호스피스 완화의료(이하 소아완화의료)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가진 소아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기 위한 총체적 돌봄 철학이자 실무의 표준이다. 국내에서는 2018년 7월 국가 지원의 소아완화의료 시범사업을 도입하였는데, 소아완화의료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국외 선진국의 소아완화의료 제공체계를 고찰하였다.
세계보건기구는 소아완화의료의 대상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 세계보건기구는 소아완화의료의 대상을 ‘생애 말에 완화의료 요구를 가지는 소아청소년(Children in need of palliative care at the end-of-life)’으로 제시하고 전 세계적인 규모가 약 120만명인 것으로 추산하였으며, 대상의 주요 진단군은 선천성 기형(25.1%), 신생아질환(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10.1093/med/9780199595105.001.0001 

  2. Himelstein, Bruce P., Hilden, Joanne M., Boldt, Ann Morstad, Weissman, David. Pediatric Palliative Car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50, no.17, 1752-1762.

  3. WHO:Definition of pediatric palliative car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cited 2019 Jan 28 

  4. WHO: Palliative care factsheet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cited 2018 Nov 14 

  5. Current statu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7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19 cited 2019 Aug 10 

  6. 10.1016/B978-1-4377-0262-0.00001-3 Wolfe J. Textbook of interdisciplinary pediatric palliative care.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2011 p. 7-17. 

  7. 10.1136/bmj.i6385 

  8. 10.14475/kjhpc.2012.15.3.131 

  9. Worldwide Palliative Care Alliance. Global Atlas of Palliative Care at the end of lif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ited 2019 Jan 2 

  10.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tandards of practice for pediatr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grams. Virginia: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2007. 

  11. Kim, Min Sun, Lim, Nam Gu, Kim, Hyun Joo, Kim, Chohee, Lee, Jin Yong. Pediatric Deaths Attributed to Complex Chronic Conditions over 10 Years in Korea: Evidence for the Need to Provide Pediatric Palliative Care.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JKMS, vol.33, no.1, e1-.

  12. Kim CH, Kim MS, Shin HY, Song IG, Moon YJ, Pediatric deaths attributed to Life-limiting condi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Exploring the need for nationwide pediatric palliative care. 4th Global Gathering Maruzza Congress. Rome, Italy: Via del Nuoto: Foundation Maruzza; 2018, 2018. 

  13. Stjernswärd, Jan, Foley, Kathleen M., Ferris, Frank D.. The Public Health Strategy for Palliative Car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vol.33, no.5, 486-493.

  14. Whittemore, Robin, Knafl, Kathleen.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52, no.5, 546-553.

  15. Downing, Julia, Powell, Richard A, Marston, Joan, Huwa, Cornelius, Chandra, Lynna, Garchakova, Anna, Harding, Richard. Children's palliative care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vol.101, no.1, 85-90.

  16. How CQC regulates: Adult social care services: hospice services provider handbook [Internet]. Newcastle (UK): Care Quality Commission; 2016 cited 2019 Jan 4 

  17. Better care, better lives. Improving outcomes for children young people and their families living with life limiting and life threatening conditions [Internet]. London: Department of Health; 2008 cited 2019 Jan 11 

  18.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Cancer. Improving outcomes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with cancer [Internet]. London: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05 cited 2019 Jan 28. 

  19. NHS England. Developing a new approach to palliative care funding:A revised draft for discussion [Internet]. London: NHS England; 2014 cited 2019 Jan 20 

  20. Together for Short Lives, A Guide to Children's Palliative Care; Supporting babies, children and young people with life-limiting and lifethreatening conditions and their families [Internet]. Bristol: Together for short lives; 2018 cited 2019 Jan 11 

  21. Hain, Richard, Devins, Mary, Hastings, Richard, Noyes, Jayne. Paediatric palliative care: development and pilot study of a ‘Directory’ of life-limiting conditions. BMC palliative care, vol.12, 43-43.

  22. TFSL:Help for families. Support in your Area [Internet]. Bristol: Together for Short Lives; 2018 cited 2019 Jan 29 

  23. et al, . The big study for life-limit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ternet]. Bristol: Together for short lives; 2012 cited 2019 Jan 23 

  24. David H. Palliative &Hospice Care in United States. International Symposium on Hospice & Palliative Care. Seoul, Korea. Seoul: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6, 2016. 

  25. Field MJ. When children die:improving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3. 

  26. DCPPCC. NHPCO:Concurrent Care for Children Implementation Toolkit:Section 2312 of th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Internet]. Washington, D.C.: District of Columbia Pediatric Palliative Care Collaborative;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2013 cited 2019 Jan 9 

  27. CMS:An Overview of the Medicaid Hospice Benefit. Hospice Toolkit [Internet]. Baltimore, MD: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2016 cited 2019 Jan 28 

  28. Palliative Care for Children. Pediatrics, vol.106, no.2, 351-357.

  29. Bona, Kira, Bates, Jennifer, Wolfe, Joanne. Massachusetts' Pediatric Palliative Care Network: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Novel State-Funded Pediatric Palliative Care Program.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vol.14, no.11, 1217-1223.

  30. 10.1542/peds.106.S1.205 Feudtner C, Christakis DA, Connell FA. Pediatric deaths attributable to complex chronic conditions:a population-based study of Washington State 1980-1997. Pediatrics 2000;106(1 Pt 2):205-9. 

  31. Feudtner, Chris, Womer, James, Augustin, Rachel, Remke, Stacy, Wolfe, Joanne, Friebert, Sarah, Weissman, David. Pediatric Palliative Care Programs in Children’s Hospitals: A Cross-Sectional National Survey. Pediatrics, vol.132, no.6, 1063-1070.

  32. CMS:Hospice Quality Reporting [Internet]. Baltimore, MD: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2018 cited 2019 Jan 12 

  33. MHLW:Study group on further promotion of palliative care in cancer etc [Internet]. Tokyo: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16 cited 2019 Jan 18 

  34. Ando, K., Nabetani, M., Yotani, N., Rin, T., Sano, H.. Three years' experience with the first pediatric hospice in Asia. Brain & development, vol.39, no.9, 783-790.

  35. MHLW:About child cancer measures until now [Internet]. Tokyo: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16 cited 2019 Jan 13 

  36. MHLW: Explanation of amendment of medical care for 2016 [Internet]. Tokyo: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17 cited 2019 Jan 13 

  37. MHLW:Basic data of disease prevention such as child specific chronic disease children [Internet]. Tokyo: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13 cited 2019 Jan 11 

  38. Information related to Momiji's house [Internet]. Tokyo: Kakaku.com, Inc; 2019 cited 2019 Jan 13 

  39. JSPM:Registration analysis of palliative care team in 2015 [Internet]. Tokyo. Japan Society for Palliative Medicine; 2016 cited 2019 Jan 13 

  40. JPM:Pediatric Home Care Review committee Report [Internet]. Tokyo. Japan Medical Association; 2018 cited 2019 Jan 10 

  41. History and timeline [Internet]. Singapore: Singapore Hospice Council; 2018 cited 2019 Jan 27 

  42. Andy H. Learning from diversity: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Singapore and Hong Kong. Palliative Social Work Symposium; 2017 Dec 5. 

  43. National Guidelines for Palliative Care [Internet]. Singapore: Singapore Hospice Council; 2015 cited 2019 Jan 25. 

  44. HCA Annual Report [Internet]. Singapore: HCA Hospice Care; 2016 cited 2019 Jan 25 

  45. WHO:Integrating palliative care and symptom relief into paediatrics a WHO guide for health care planners, implementers and manager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cited 2019 Jan 25 

  46. Feudtner, Chris, Friebert, Sarah, Jewell, Jennifer, Carter, Brian, Hood, Margaret, Imaizumi, Sonia, Komatz, Kelly. Pediatric Palliative Care and Hospice Care Commitments,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Pediatrics, vol.132, no.5, 966-972.

  47. Wood, Fiona, Simpson, Sharon, Barnes, Emma, Hain, Richard. Disease trajectories and ACT/RCPCH categories in paediatric palliative care. Palliative medicine, vol.24, no.8, 796-806.

  48. Bogetz, Jori F., Friebert, Sarah. Defining Success in Pediatric Palliative Care While Tackling the Quadruple Aim.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vol.20, no.2, 116-1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