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nd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2 no.3, 2019년, pp.125 - 133  

정영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전경자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요양병원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충청남도 A시, C시 소재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6개월이상 경력의 임종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지는 2018년 1월 17일부터 3월 3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SPSS WIN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test, One way ANOVA, Scheffe-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stepwised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은 5점 척도의 평균 $3.54{\pm}0.46$점이며 임종간호스트레스는 평균 $3.77{\pm}0.50$점으로 보통 수준 이상이었다. 연령, 총임상경력, 죽음교육 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직계가족의 임종경험 여부에 따라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점평균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은 임종간호 스트레스 중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60, P=0.002).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보통 수준 이상으로 높으며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이 높을수록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낮아지므로 간호사의 특성에 맞춘 생애말 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nd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Methods: For this study, 140 nurses were sampled among those that have over 6-month end of life care experience and were work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요양병원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간호사가 인식한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 3.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두 개념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무엇이었는가? 002).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보통 수준 이상으로 높으며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이 높을수록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낮아지므로 간호사의 특성에 맞춘 생애말 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임종간호 수행의 주체인 간호사는 환자의 죽음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과정에서 강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임종환자를 회피하려는 경향이 생기며 많은 업무량에 대한 부담이 더해져 이직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4). 간호사는 임종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간호를 하는 동안 업무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부담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임종간호 스트레스라고 한다(5). 간호사의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간호사의 업무량 과중, 임종환자에 대한 시간할애의 어려움, 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부담감,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등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내용이다(5).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간호사는 임종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간호를 하는 동안 업무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부담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임종간호 스트레스라고 한다(5). 간호사의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간호사의 업무량 과중, 임종환자에 대한 시간할애의 어려움, 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부담감,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등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내용이다(5). 지금까지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급성기 병원 간호사들만큼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 간호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 흔히 편하게 일할 수 있는 곳이라는 기대와 다르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Nursing staff status in nursing home 2018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18 Jun 20 

  2. Jeong BR. Study of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 2015. Korean. 

  3. Lee CY. Nurses'experiences of end-of-life care for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dissertation]. Busan: Dong-A Univ, 2018. 

  4. Ha, Shin-young, Song, Jun-Ah.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due to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노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20, no.3, 217-228.

  5. Lee YO. A study on the stresses of nursing for the cancer ward nurse [master's thesis]. Seoul: Kyunghee Univ; 2004. Korean. 

  6. 양진희, 신성례.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6, 510-520.

  7. Lee JH, Park JS. End of life care str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in geriatric hospitals nurses affect burn out. JKAIS 2017;18:449-58. 

  8. Hospital Nurses Association. Current status of hospital nurses 2016.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6 p. 157-161. 

  9. National Health Service. End of life care [Internet]. London: NHS; 2013 cited 2018 Jun 20. 

  10. Lee HJ. Critical care nurses'perceived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nd supportive behaviors and barrier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 2015. Korean. 

  11. 이지윤, 장재인. DNR 결정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활동 변화.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20, no.1, 46-57.

  12. Kim K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death, end-of-life care stress and end-of-life care attitude of nurses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 2016. Korean. 

  13. 지순일, 유혜숙.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7, no.4, 232-240.

  14. Montagnini, Marcos, Smith, Heather, Balistrieri, Toni. Assessment of Self-Perceived End-of-Life Care Competencies of Intensive Care Unit Provider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vol.15, no.1, 29-36.

  15. Oh JH.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5. Korean. 

  16. 김희진, 김혜영.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 스트레스 경험: 현상학적 접근.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8, no.5, 572-584.

  17. Kim, Ja-Sook, Jeong, Seon Young, Kim, Su Hyun, Kim, Ja Ok. Predictor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노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6, no.2, 130-140.

  18. 서미숙, 강유정, 윤지윤, 김태연, 조혜준, 박소연, 이시연, 장지혜, 김유진, 강믿음.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임종교육 시청각 자료 개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9, no.3, 240-248.

  19. Ahn, Soo Yeon, Kim, Hee Kyung, Kong, Eun Sook, Kim, Nam Cho, Kim, Chun Gill, Song, Mi Soon, Lee, Young Whee, Chang, Sung Ok, Cho, Myung Ok, Choi, Kyung Sook. Nurses' Experience of End-of Life Care for Older Adults. 노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6, no.2, 118-129.

  20. Kwak, Su Young, Lee, Byoung Sook. Role Adaptation Process of Hospice Nurses.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4, no.2, 149-.

  21. 이명선. 임종환자를 돌보는 병원간호사의 경험: 감정에 충실하면서 자신 추스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3, no.5, 553-561.

  22. Kim SH. Development of nursing students death education program [master's thesis]. Busan: Pusan Univ; 2013.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