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박지 용량지수를 활용한 대기정박지 수요 분석에 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mand Analysis of Waiting Anchorage using Anchorage Capacity Index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5, 2019년, pp.519 - 526  

권승철 (한국해양수산연수원) ,  유용웅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박준모 (목포해양대학교 항해학부) ,  이윤석 (한국해양대학교 선박운항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기정박지의 신설 및 조정이 필요한 항만을 위해 정박지의 적정 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진해만 내 항만과 부산에 적용하여 국내 주요 항만의 정박지 용량과 비교 분석하여 적용에 무리가 없는지 검토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항만을 이용하는 선박의 총톤수 용량과 동시 정박 가능 용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정박지 용량지수를 계산하여 대상항만을 위한 적정 정박지 용량을 산정하는데 이용하였다. 그 결과 진해만 내 항만의 정박지 용량지수는 0.89로 산출되었으며, 대기정박지 신설을 위한 적정 정박지 용량지수는 6.0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박지 용량지수의 개념을 정박지 설계 기준으로 반영할 경우 정박지를 이용하는 선박의 안전, 정박지 안전성 및 항만의 효율적인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appropriate capacity of anchorage for ports requiring the establishment of waiting anchorage and then applying the methodology to the ports in Jinhae Bay to compare it with the anchorage capacity of major ports in Korea. To estimate the appropri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운영의 안전성 및 효율성, 정박지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대기정박지의 신설을 위해 국내 주요 항만의 입항 선박의 규모를 고려하여 항만시설 운영세칙에 명시된 정박지에 대한 평가를 통해 적정 정박지 용량을 산출할 수 있는 일반식과 정박지 용량지수의 개념을 제안하였으며, 이 기준을 통해 진해만 내 항만에 필요한 정박지 용량을 산출해보았고, 현재 지정된 정박지와 비교 하였다. 이러한 정박지 용량지수를 이용해 대기정박지를 신설하여 반영할 경우 항만운영의 안전성과 효율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항만의 교통 특성, 이용 선박의 규모 및 정박지 지정 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주요 항만의 톤급별 입항선박 척수와 각 항만의 항만시설 운영세칙을 참고하여 조사하였으며, 정박지 설계 용량 제시의 합리적인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정박지 용량 평가 개념을 수립하고 이를 진해만내 항만을 대상으로 적용해보았다. 이를 통해 정박지에 대한 용량 평가 및 대기 정박지 신설이 필요한 항만을 위해 적정 정박지 용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박지의 지정에 따른 기준은 ? 정박지의 지정은 해양수산부장관이 선박의 입항 및 출항 등에 관한 법률 제5조 1항에 의거 지정 고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에 명시되어 있으며, 선박의 길이(L : Length Over All)와 정박지의 수심(D : Depth)을 기준으로 저질의 상태와 풍속의 강도에 따라 정박지의 선회반경을Table 1과 같이 고려하도록 되어있다.
정박지 지정방식의 분류는? 지금까지의 정박지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정박지 지정방식은 집단 정박지, 집단 정박지와 원형 정박지를 혼합하는 방식, 집단 정박지내 포인트로 지정하는 방식, 원형 정박지를 지정하는 방식의 네 가지 방식으로 분류하였다(Lee et al.,2012).
집단 정박지의 단점은? 정박선박이 자유롭게 정박할 수 있어 안전 확보가 가능한정박지 지정 방식이다. 하지만 정박척수가 많지 않을 경우타선박의 정박위치에 따라 정박지 개수가 축소될 가능성이 있는 단점이 있다. 이 지정방식은 통항선박이 가장 많은 싱가폴 해협과 우리나라 울산항 입구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Fan, H. S. L. and J. M. Cao (2007), Sea Space Capacity and Operation Strategy Analysis System,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ogy, Vol. 24, No. 1, pp. 49-63. 

  2. Huang, S. Y. , W. J. Hsu, Y. He, T. Song, D. S. Charles, Y. Rong, C. Chuanyu and N. Stuti (2009), Anchorage Capacity analysis using simulatio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bor, Maritime & Multimodel Logistics Modeling and Simulation, pp. 1-6. 

  3. Lee, C. H. and H. H. Lee (2014), A Study on Expansion of Anchorage according to Increased Trading Volume at Pyeongtaek 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0, No. 6, pp. 663-670. 

  4. Lee, H. H. (2017) . Improvement Plans for Anchorage at Yeosu Kwangyang 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3, No. 1, pp. 17-25. 

  5. Lee, Y. S. and Y. J. Ahn (2013), A Study of the Standard Ship’s Length of Domestic Trade Por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9, No. 2, pp. 164-170. 

  6. Lee, Y. S. , J. S. Kim, J. M. Park and G. H. Yun (2012), A Study on the Designation of MIPO Emergency Anchorag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8, No. 4, pp. 316-322. 

  7. Yun, G. H. (2014), A Study on the Revision of Regulation for Effective Operation of Anchor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0, No. 4, pp. 398-404. 

  8. Yun, G. H. , B. Y. Kim, J. S. Park and Y. S. Lee (2010), Enlargement of Harbour limit and Anchorag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Ulsan 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34, No. 6, pp. 487-4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