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 하천수 중 잔류우려 농약 실태조사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Concerned in Stream Water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8 no.3, 2019년, pp.173 - 184  

황인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오예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권혜영 (농촌진흥청 기획조정관실) ,  노진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김단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문병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오민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노현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박상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최근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류송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김병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오경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임치환 ,  이효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주요 하천수의 사용 중인 농약의 실태조사를 위해서 전국 50지점을 선정 후, 1차 (농약 사용 비성수기, 4/5월)및 2차(농약 사용 성수기, 8/9월)로 나누어 실시를 하였다. 하천수 모니터링 결과 농약 1차, 2차 때 각각 11, 28개의 농약이 검출되었다. 농약은 7월부터 기온이 올라가면서 병 해충 방제를 위해 농약사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2차시기에 농약검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검출빈도 10회 이상의 농약은 1차 시기에는 butachlor, carbofuran, 2차 시기에는 tricyclazole, azoxystrobin, chlorantraniliprole, thiamethoxam, isoprothiolane 5종이었다. 검출농약은 대부분 수도용 농약으로 검출비율은 90%, 81%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하천수 중 잔류농약은 논에서 사용된 농약이 비산되어 직접적으로 하천수로 잔류되기도 하며 또는 토양에 잔류된 농약이 논물을 방류하면서 하천수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네 개의 scenario를 이용하여 위해성 평가를 진행하였을 때, butachlor, carbofuran, carbendazim, chlorantranilprole 및 oxadiazon에서 잠재위해성 및 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추후 모니터링 연구와 수서생물에 위해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 이하로 잔류할 수 있도록 농약안전사용기준 설정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esticide residues from fifty streams in Korea.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wo times. Thee first sampling was performed from april to may, which was the season for start of pesticide application and the second sampling event was from augu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농업용수로 활용하고 있는 전국의 주요 하천수를 대상으로 사용중인 농약의 실태조사를 위해서 농약 사용 비성수기(4-5월), 성수기(8-9월)로 나뉘어 시기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적절한 농약안전기준 제안을 위해서 검출농약을 대상으로 수생생물의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도작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주요 재배작물은 벼로 국내 농경지의 52%를 차지하고 있고, 99% 이상이 수도작으로 재배하고 있어(statics Korea, 2019), 하천수의 농약 오염이 취약한 실정이다. 수도작은 경작지에 물을 대어 농사를 짓는 방법으로 재배기간 동안 물을 흘려보내는 과정 중 토양과 흡착된 농약이 이동하면서 하천수 중 잔류농약의 검출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Chau etal., 2015).
농약의 사용은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가? 농약의 사용은 작물을 가해하는 병·해충, 잡초를 방제함으로써 농업의 생산성을 증대하여 식량문제를 해결하는데 크게 기여하였고, 노동력 절감과 농산물의 질을 향상시켰다(Masiaet al., 2013).
유해화학물질이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농약 등 유해화학물질이 영향을 주는 요인은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유기화학물질이 생물 농축 되어 먹이사슬의 상위단계 생물에서 고농도로 잔류되는 문제이다. Shin 등(2012)에 의하면 살조제 thiazolidindione의 해양생물 중 생물농축을 평가한 연구에서 하위단계인 새우에 비해 넙치에서 높은 농도로 잔류되었다고 보고하였고, 다른 연구에서도 수계 중 화학물질이 생물농축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Kim et al., 1996; M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ournal of Chromatography A T. A., Albanis 823 1-2 59 (1998) 10.1016/S0021-9673(98)00304-5 

  2. Environmental Pollution A., Ccanccapa 211 414 (2016) 10.1016/j.envpol.2015.12.059 

  3.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N. D. G., Chau 22 12 9042 (2015) 10.1007/s11356-014-4034-x 

  4. Bulleti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O., Griffini 59 2 202 (1997) 10.1007/s001289900465 

  5.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C. S., Kim 36 4 230 (2017) 10.5338/KJEA.2017.36.4.38 

  6.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J. G., Kim 18 11 1417 (1996) 

  7. Environmental Pollution I. K., Konstantinou 141 3 555 (2006) 10.1016/j.envpol.2005.07.024 

  8.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J. H., Lee 15 1 48 (2011) 10.7585/kjps.2014.18.1.48 

  9.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S. R., Lee 19 2 112 (1976) 

  10.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W. S., Lee 2 3 78 (1998) 

  11.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Y. H., Lee 4 2 95 (1985) 

  12.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Y. J., Lee 34 4 274 (2015) 10.5338/KJEA.2015.34.4.37 

  13.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C., Lobson 637-638 1150 2018 10.1016/j.scitotenv.2018.05.087 

  14.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A., Masiá 263 95 (2013) 10.1016/j.jhazmat.2013.09.035 

  15.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K. J., Min 14 2 146 (1999) 

  16.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B. J., Park 2 2 39 (1998) 

  17.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B. J., Park 17 4 283 (2013) 10.7585/kjps.2013.17.4.283 

  18.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K. H., Park 11 4 230 (2007) 

  19.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Y. K., Park 18 5 627 (1996) 

  20.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 P., Rice 52 5 1109 (2016) 10.1111/1752-1688.12444 

  21.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J. J., Shin 27 2 91 (2012) 

  22.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E. M., Thurman 25 10 1794 (1991) 10.1021/es00022a018 

  23. Chemosphere J., Vašíčková 216 479 (2019) 10.1016/j.chemosphere.2018.10.158 

  2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J., Yu 5 1 38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