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교육공간에 적용된 묘침제에 관한 연구 - 서원(書院)건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yochim theory applied to educational space in the Chosun Dynasty - Focused on Seowon Architecture - 원문보기

교육녹색환경연구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v.18 no.3, 2019년, pp.39 - 49  

이종찬 (대진대학교 도시건축공학과) ,  곽동엽 (대진대학교 휴먼건축공학부)

초록

유학자들의 유교적 이념들은 서원의 공간구성에서 강하게 발현되어 '예(禮)'를 기본으로 하는 독특한 질서를 형성하였다. 유학자들은 중국 고대의 삼대(하(夏) 은(殷) 주(周))를 이상적인 사회로 인식하고 각기 신분에 맞는 이상적인 고대의 건축제도인 '묘침제(廟寢制)'를 실제 조선사회에 접목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기원전의 건축형식을 16세기의 조선에서 적용하려다보니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학자별로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여 묘침의 관계를 정립해나갔다. 기호사림이 실천주의적 입장에서 고제에 따라 황산서원, 돈암서원, 신항서원, 상현서원, 만동묘 등의 영건에 묘침제를 적용했던 것과 다르게 영남사림에서는 신식의 문암서원을 제외하고는 실제 적용을 위한 실험들이 적었다. 이는 고대의 중국제도와 17세기 조선의 현실에 대한 분명한 차이를 전제하는 실용주의적 태도에서 비롯되었다. 서원의 건축형식은 이러한 인식들의 발발로(發露)인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fucian ideologies formed a unique spatial order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seowon architecture. Confucian scholars viewed ancient China as the ideal society, so they tried to apply the "Myochim" theory, the architectural system of the time, to the Joseon society. However, it was not easy to ap...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학자들의 통시적 이론배경을 고찰함으로서, 유교문화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서원건축의 원론적인 건축개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극히 제한적이지만 기록을 통해 묘침 이론으로 영건되었다고 하는 일부 건축물의 공간분석을 통해 서원건축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켜 보고자 한다.
  • 따라서 서원의 공간적 연구는 현존하고 있는 서원들의 배치와 공간형태를 그대로 분석대상으로 삼기보다는 고문헌과 발굴조사 기록 등을 바탕으로 변화양상을 고려한 입체적인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유학자들의 통시적 이론배경을 고찰함으로서, 유교문화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서원건축의 원론적인 건축개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극히 제한적이지만 기록을 통해 묘침 이론으로 영건되었다고 하는 일부 건축물의 공간분석을 통해 서원건축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켜 보고자 한다.
  • 16세기의 서원들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비교적 자유로운 배치를 특징으로 하는 반면, 17�18세기에 이르면 일정한 전형이 구축되었다. 이러한 시기적 차이를 구분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개략적으로나마 시대적인 흐름을 구분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김지민 교수의 시기 구분을 인용하고자 한다.8)
  • 이에 따라 제시된 실천방안으로 중국 고대사회에서 사(士)�대부(大夫)�경(卿)의 계급에게 허용되는 이상적 건축제도인 ‘묘침제(廟寢制)’에 대해 주목했다.
  •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사회에는 질서가 있어야 하고,그 질서가 곧 예(禮)라고 하였다. 훈고학이 발달했던 중국 한당대(漢唐代)부터 유교적 예치사회를 이해하고 구현하기 위한 방편으로 고대 중국(하�상�주)의 건축적 규범이었던 궁실제(宮室制)에 대한 학문적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송대(宋代)에 이르러 실천적 학문경향인성리학을 바탕으로 실제 건축물에 적용하기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10) 이러한 궁실제는 크게 ‘명당(明堂)’과 ‘묘침(廟寢)’으로 분류되는데, 명당은 천자만의 건축형식이기 때문에 서원에 적용될 일은 없었고, 공적공간인 ‘묘(廟)’와 사적공간인 ‘침(寢)’의 관계에 대한 이른바 ‘묘침제(廟寢制)’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가설 설정

  • 이것을 ‘양영(兩楹)’이라 하는데 공자의 서거(逝去)와도관련이 있어 유교에서는 상징적 의미가 깊다.18) 서원건축에서는 강당에 적용될 경우 정면 5칸으로 구성하여 어칸 기둥 2개를 벽 없이 세워두었다. 따라서 이것을 양영으로 볼 수 있고 대다수 강당에서 보이는 중당협실의 배경도 설명이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묘침제(廟寢制)란 무엇인가? 그들은 중국의 고대국가였던 하(夏)상(商)주(周)를 이상적인 사회로 인식하고, 그 당시의 건축제도(궁실제도)들을 복고(復古)하는 것이 예치사회의 실현이라고 인식했다. 이에 따라 제시된 실천방안으로 중국 고대사회에서 사(士)대부(大夫)경(卿)의 계급에게 허용되는 이상적 건축제도인 ‘묘침제(廟寢制)’에 대해 주목했다. 그러나 기원전의 고대 건축형식을 16세기 조선에 적용하는 일은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었다.
16세기 조선시대에 고대 건축양식인 묘침제(廟寢制)를 적용하기 힘들었던 이유는? 그러나 기원전의 고대 건축형식을 16세기 조선에 적용하는 일은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었다. 우선 흙벽을 기본으로 하는 고대 원시건물과 목구조를 근간으로 하는 조선시대의 축조기술은 대응이 용이치 않았고, 기능적으로 마루와 온돌방으로 분화되는 조선의 생활관습도 중국의 고대와는 많이 달랐다. 그렇지만 이상적 예치사회를 구현하려던 조선의 예학자들은 고제(古制)의 해석에 있어 준용과 절충을 통해 조선에도 적용 가능한 묘침(廟寢)이론들을 고민해 갔다. 따라서, 예서상의 고제(古制)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는 과거 건축조영의 이론적 배경을 밝히는데 있어서 선결적인 과제가 되며, 특히 유학자들 고유의 건축영역인 서원건축의 연구에 있어 폭 넓은 이해의 폭을 제공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정기철(1999). 17세기 사림의 묘침제 인식과 서원영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정기철, 심우갑(1998). 주자대전 궁실제 논설의 사적 의미 연구-명당제와 묘침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3. 정기철, 심우갑(1998). 주자대전 의례석궁 연구. 대한건축학회. 

  4. 홍승재(1992). 조선시대 禮書에 나타난 建築的圖面의 解釋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5. 최경훈(2018). 조선시대 주자대전의 간행에 관한 고찰. 한국서지학회. 

  6. 장동우(2010). 가례 주석서를 통해 본 조선 예학의 진전과정. 한국동양철학회. 

  7. 곽동엽, 장석하(1993). 도산서원 배치에 관한 연구-도산서당 영건기의 내용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8. 이종찬(2014). 경기지역 향교.서원의 廟.學공간간 건축적 위계성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전봉희, 이강민(2006). 3칸 $\times$ 3칸 한국건축의 유형학적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부. 

  10. 경기대학교 전통문화콘텐츠연구소(2004). 한국의 경기지역 서원. 국학자료원. 

  11. 김지민(1993). 한국의 유교건축. 

  12. 조재모(2012). 궁궐 조선을 말하다. 아트북스. 

  13. 예그린건축사사무소(2011).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