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쌍화탕의 국내 연구 및 치험례에 대한 고찰
Review about the Study of Ssanghwa-tang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9 원문보기

Journal of Haehwa Medicine = 혜화의학회지, v.28 no.2, 2019년, pp.12 - 19  

남대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오민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analyse the study tendency in papers related with Ssanghwa-tang which are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9. Methods : We searched the four electronic database (NSDL, RIS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OASIS) and checked relevant Korean journa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경향을 살펴보는 것은 연구 영역을 확대하고, 새로운 연구방법을 구상할 수 있는 기초 안내 자료로 중요 하다21). 쌍화탕의 최근 연구 및 실험을 바탕으로 피로회복 및 氣血을 보하는 보약의 개념을 뛰어넘어 여러 질환의 치료제로서 응용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쌍화탕이란? 쌍화탕은 宋代「太平惠民和劑局方」에 처음 기재된 처방P으로 虛勞하여 복중이 땅기고 아프며 음양의 모든 맥에 힘이 없을 때 처방하는 黃耆建中湯3)에서 교이(膠飴)를 감하고 보혈조혈(補血調血) 효능을 가진 四物湯4)을 합방한 처방으로, 주로 정신과 육체가 피로하고 기혈이 모두 손상되었을 때 사용되는 처방이다5). 쌍화탕은 白芍藥, 熟地黃, 黃芪, 當歸, 川芎, 桂皮, 甘草, 生薑, 大棗로 구성되어 있으며, 氣血虛, 房勞過多, 疲勞太甚, 大病 후 虛勞, 氣乏自汗을 치료하는 데 응용되었다6).
쌍화탕은 무엇을 치료하는 데에 응용되었는가? 쌍화탕은 宋代「太平惠民和劑局方」에 처음 기재된 처방P으로 虛勞하여 복중이 땅기고 아프며 음양의 모든 맥에 힘이 없을 때 처방하는 黃耆建中湯3)에서 교이(膠飴)를 감하고 보혈조혈(補血調血) 효능을 가진 四物湯4)을 합방한 처방으로, 주로 정신과 육체가 피로하고 기혈이 모두 손상되었을 때 사용되는 처방이다5). 쌍화탕은 白芍藥, 熟地黃, 黃芪, 當歸, 川芎, 桂皮, 甘草, 生薑, 大棗로 구성되어 있으며, 氣血虛, 房勞過多, 疲勞太甚, 大病 후 虛勞, 氣乏自汗을 치료하는 데 응용되었다6). 쌍화탕에 대한 연구는 1981년 김7)이 학술지에 쌍화탕의 항염증 작용에 관한 연구를 시작으로 이후 쌍화탕의 항피로8), 항산화9), 간기능 개선10) 및 면역활성화11) 효과와 급성독성에 대한 안전성 연구12) 등이 보고되었다.
쌍화탕에 대한 연구의 현황은? 쌍화탕은 白芍藥, 熟地黃, 黃芪, 當歸, 川芎, 桂皮, 甘草, 生薑, 大棗로 구성되어 있으며, 氣血虛, 房勞過多, 疲勞太甚, 大病 후 虛勞, 氣乏自汗을 치료하는 데 응용되었다6). 쌍화탕에 대한 연구는 1981년 김7)이 학술지에 쌍화탕의 항염증 작용에 관한 연구를 시작으로 이후 쌍화탕의 항피로8), 항산화9), 간기능 개선10) 및 면역활성화11) 효과와 급성독성에 대한 안전성 연구12) 등이 보고되었다. 그리고 간 기능 개선효과13), 중추신경억제 및 항염증효과14), 진통 및 항경련효과15), 성 호르몬 분비 촉진 효과16), 골다공증 개선효과17)등이 보고되었고, 원 등18)과 김 등19)은 HPLC를 이용하여 쌍화탕의 주요성분에 대한 동시분석과 전탕 조건에 따른 쌍화탕 전탕액 비교 연구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쌍화탕은 이렇듯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2008년 이 등20)의 연구 이후로 최근 11년 동안 쌍화탕의 연구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는 논문이 없었다. 이에 2000년 이후부터 2019년까지 쌍화탕의 연구 동향의 정리 및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 되어, 국내 발표된 쌍화탕을 주제로 한 실험 연구논문 및 임상 연구논문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on CY, Song BJ, Ma JY, K KI. Anti-platelet Aggregation Study of Fermented Galgeun Tang and Fermented Ssanghwa Tang.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011;55(5):374-8. 

  2. Ma JY, Park DH, Park KS, Do KT, Shin HK. Acute toxicity study on SsangHwaTang in mice. Kor.J. Oriental Med. 2007;13:161-4. 

  3. 朴榮順. 漢方의 藥理解說. Seoul:Academybook. 2002:1315. 

  4. Yu YB, Kim MJ, Huang DS, Ha HK, Ma JY, Shin HK. Analysis of marker substances in Samultang by HPLC-MS/MS. Kor. J. Herbology. 2007;22: 97-102. 

  5. Kim DS, Um YR, Yang MC, Yun NY, Ma JY.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actions from Ssanghwa-tang and fermented Ssanghwatang. Kor. J. Oritntal Med. 2010;16:175-178. 

  6. 許浚. 東醫寶鑑, 서울:南山堂. 1992:670. 

  7. Kim IH, Hwang GJ.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sangwha-Tang".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1981;12(3):131-5. 

  8. Sohn NW. Histochemical study for the effect of Ssanghwatang on the glycogen contents in liver and muscle of rats. Kor. J. Herbology. 1994;9:115-25. 

  9. Kim DS, Um YR, Yang MC, Yun NY, Lee JH, Ma JY. Equivalence of traditional and individual preparation of Ssanghwa-tang in terms of polyphenol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Kor. J. Oritntal Med. 2011;17: 169-72. 

  10. Ann BN, Kim SK, Shim CK, Chung YB. Effect of a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Ssangwhatang, on the pharmacokinetics of sulfobromophthalein in the rats of hepatic failur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Yakhak Hoeji. 1984;28: 207-15. 

  11. Jung D, Ha H, Lee HY, Lee JA, Lee JK, Huang DS, Shin HK. Stimulation of the immune response by Yin-Tonifying formula. J. Korean Oriental Med. 2010;31: 112-23. 

  12. Kim SJ, Lee MY, Shin IS, Seo CS, Ha H, Hur JI, Shin HK. Single dose acute toxicity of Ssanghwa-tang in Crl:CD (SD) rats. Kor. J. Herbology 2011;26: 39-43. 

  13. Ann BN, Kim SK, Shim CK, Chung YB, Effects of a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Ssang Wha Tang, on the pharmacokinetics of sulfobromophthalein in the rats of hepatic failur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Yakhak Hoeji, 1984;28:207-15. 

  14. Kim IH, Hwang GJ,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sangwha-Tang', Kor. J. Pharmaco. 1981;12:131-5. 

  15. Han DS, Lee HK, Gho HJ, Analgesic and anticonvulsionary effects of 'Ssanghwa-Tang', Kor. J. Pharmaco. 1983;14:60-3. 

  16. Kim YB, Kwon KB, Park JS, Park KH, Kim BR, Lee HS, Ryu DK, Gugissanghwatang water extract on the sexual behavior and serum testosterone concentration in male rats, Kor. Soci Pathol. 1999;13:152-7. 

  17. Lee H, Lim HH, Effect of Ssanghwa-tang(Shuanghe-tang) added to Cervi Cornu Parvum on bone density and bone biochemical marker in ovariectomized rats, Kor. J. Orient Med, 2003;13:45-67. 

  18. Won JB, Ma JY, Um YR, Ma CJ.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ive marker constituents in Ssanghwa tang by HPLC/DAD. Pharmacogn. Mag. 2010;6: 111-5. 

  19. Kim JH, Seo CS, Shin HK. The comparative study on decoction of Ssanghwa-tang(Shuanghetang) extracted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Oriental Med. Prescription. 2010;18: 125-34. 

  20. Lee JK, Lee NH, Ha HK, Lee HY, Seo CS, Jung DY, Lee JA, Shin HK. Analysis of Studies on Ssanghwa-tang for Establishment of Evidence Based Medicin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08;14(3):41-7. 

  21. Yea SJ, Jang HC, Kim JH, Kim C, Kim SK, Song MY. Design of Models for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Research Trend Analysis System.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09;9(12):711-7. 

  22. Lee HY, Cho KJ, Kang HS, Shin HS. Research Trend of Oriental Nursing in Korea. East-West medical reseaarch institute. 2003;8(1):27-40. 

  23. Song YJ. A Strateg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1999:1-318. 

  24. Lee YJ, Hwang DS, Lee CH, Lee KS. A Review of the Study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Obstetrics. Journal of Korean Medicine. 2009;30(1):137-49. 

  25. Park SJ, Kang KR, Kim SA, Hwang SM, Chae H. Systematic Review on the Study of Sasang Typology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09.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1;25(4):721-7. 

  26. Lee SJ. Research Trends on the Effect of Sagunzatang and Samultang . Journal of Haehwa Medicine. 2011;20(1):175-82. 

  27.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http://www.nrf.re.kr/html/kr/business/business_intro_00_06_01.html). 전공분류 검색. 

  28. Son CY, Song BJ, Ma JY, Kwon KI. Anti-platelet Aggregation Study of Fermented Galgeun Tang and Fermented Ssanghwa Tang.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011;55(5):374-8. 

  29. Mary Ruggie. Marginal to Mainstram Alternative medicine in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43. 

  30. Lee JH, You DY. Meta Analysis of researches about herbal extracts used in breast cancer in South Korea since 2000. Journal of Haehwa Medicine. 2007;16(2):241-9. 

  31. Park SC, Yoo HS, Cho CK, Lee YW. Recent Experimental Tendency for Herbal Medicines Treating Lung Cancer in South Korea. Korean Association Traditional Oncology. 2008;13(1):43-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