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산화 효소의 산화적 변형에 뽕잎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on Oxidative Modification of Antioxidnat Enzym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3, 2019년, pp.985 - 994  

강정훈 (청주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뽕잎 (Morus alba L.)을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Hericium erinaceum)로 발효시켜 열수 추출한 발효물(MA-HE)이 항산화 효소인 Cu,Zn-superoxide dismutase (SOD)와 ceruloplasmin (CP)의 산화적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세포질에서 중요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Cu,Zn-SOD와 CP는 모두 구리이온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다. MA-HE은 peroxyl radical에 의해 변형되는 Cu,Zn-SOD와 CP를 모두 보호하였다. MA-HE은 peroxyl radical에 의한 Cu,Zn-SOD의 단백질 fragmentation과 효소의 inactivation을 모두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MA-HE는 CP의 fragmentation과 inactivation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MA-HE가 peroxyl radical을 소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thiobarbituric acid를 이용한 활성 측정법으로 관찰한 결과, MA-HE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peroxyl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MA-HE는 $100{\mu}g/mL$에서 44.03%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MA-HE는 peroxyl radical을 효과적으로 소거함으로서 세포 내의 항산화 효소를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MA-HE가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작용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berry (Morus alba L.) leaves fermented with Hericium erinaceum mycelium (MA-HE) were assessed for the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modification of antioxidant enzymes, Cu,Zn-superoxide dismutase(SOD) and ceruloplasmin(CP). MA-HE were shown to significantly inhibited oxidative modifications and in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APH 처리 시 Cu,Zn-SOD는 단백질의 변형은 효소의 활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peroxyl radical이 Cu,Zn-SOD의 활성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Cu,Zn-SOD의 활성은 AAPH에 의해 59% 정도 감소되었으나 발효물 처리 시 발효물 농도에 비례하여 활성감소폭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CP도 AAPH 처리 시 단백질의 변형뿐 아니라 효소의 활성도 감소시킨다. 따라서 뽕잎 발효물이 peroxyl radical에 의한 CP의 활성감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CP의 활성은 AAPH에 의해 70% 이상 감소되었으나 발효물 처리 시 발효물 농도에 비례하여 활성감소폭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논문에서는 뽕잎을 천연물배지로 하여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를 배양시켜 제조한 발효물이 항산화 기능이 있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및 산업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뽕잎 (Morus alba L.)을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Hericium erinaceum)로 발효시켜 열수 추출한 발효물(MA-HE)이 항산화 효소인 Cu,Zn-superoxide dismutase(SOD)와 cerullo-plasmin (CP)의 산화적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루궁뎅이 버섯은 무엇인가? 노루궁뎅이 버섯 (Hericium erinaceum)은 담자 균류 민주름버섯목(Aphllophorales), 턱수염버섯 과(Hydnaecae), 산호침버섯속(Hericium)으로 분류되는 버섯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북반구 온대지역에 분포하는 식용버섯으로 이용되어 왔다[8]. 노루궁뎅이 버섯은 암세포의 증식 억제, 신경성장인자 합성 유도 촉진, 면역기능 조절,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9-13].
뽕잎의 성분과 그 성분의 효과는 무엇인가? 의약용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3]. 기존 보고에 의하면 뽕잎에는 술독을 제거하는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함량이 높고, 특히 γ -aminobutyric acid와 rutin의 함량과 serine과 tyrosine의 함량도 높아 노인성 치매와 동맥경화를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4]. 또한 항암, 항염, 항산화, 항고지혈증 및 혈압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5] 각종 미네랄 중에서도 칼 슘과 철분 및 칼륨의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
SOD의 과대 발현에 따른 위험성은 어떠한가? Cu,Zn-superoxide dismutase (SOD)는 세포내의 중요한 항산화 효소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효소가 과대 발현되면 세포사멸[21], 지질과산화 증가[22], biogenic amines 수송 저하[23], 뉴우런의 파괴[24]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현상은 Cu,Zn-SOD의 또 다른 활성인 자유라디칼 생성 기능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C. H. Jeong, O. S. Joo, K. H. Shim,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young mulberry stem", J. Korean Food Preserv., Vol.9, No.2 pp. 228-233, (2002). 

  2. H. B. Kim, C. K. Kang, G. B. Sung, S. W. Kang, J. R. Lee,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leaf and its tea", J. Seri. Ento. Sci., Vol.49, No.1 pp. 18-22, (2007). 

  3. D. C. Kim, M. J. In, H. J. Chae, "Preparation of mulberry leaves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Appl. Biol. Chem., Vol.53, No.1 pp. 56-59, (2010). 

  4. J. Y. Chae, J. Y., Lee, I. S. Hoang, D. Whangbo, P. W. Choi, W. C. Lee, J. W. Kim, S. Y. Kim, S. W. Choi, S. J. Rhee,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leaves of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2, No.1 pp. 15-21, (2003). 

  5. M. Y. Park, K. S. Lee, M. K Sung, "Effects of dietary mulberry, Korean red ginseng, and banaba on glucose homeostatis in relation to PPAR- ${\alpha}$ , PPAR- ${\gamma}$ , and LPL mRNA expressions", Life Sci., Vol.77, No.26 pp. 3344-3354, (2005). 

  6. J. R. Lee, Y. J. Hah, J. W. Lee, Y. M. Song, S. K. Jin, I. S. Kim, K. H. Hah, S. J. Kwak,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mulsified sausages containing mulberry and persimmon leaf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Vol.22, No.4 pp. 330-336, (2002). 

  7. C. Hansawasdi, J. Kawabata, "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mulberry (Morus alba) leaves on Caco-2", Fitoterapia, Vol.77, No.7-8 pp. 568-573, (2006). 

  8. M. G. Kang, W. S. Jo, W. H. Kim, S. Y. Choi, S. D. Park, "The difference of occurring pattern of Hericium erinaceus by pinheading induction methods", J. Mushrooms, Vol.13, No.1 pp. 11-15, (2015). 

  9. T. Mizuno, T. Wasa, H Ito, C. Suzuki, N. Ukai, "Antitumor-activ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Hericium erinaceum, an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called yamabushiotake or houtou", Biosci. Biotechnol. Biochem., Vol.56, No.2 pp. 347-348, (1992). 

  10. T. Mizuno,"Yamabushitake, Hericium rinaceum: Bioactive substances and medicinal utilization", Food Reviews International, Vol.11 pp. 173-178, (1995). 

  11. H. Kawagishi, M. Ando, K., H. Shinb, H. Sakamoto, S. Yoshida, F. Ojima, Y. Ishiguro, N. Ukai, S. Furukawa, "Chromans, hericenones F, G and H from the mushroom Hericium erinaceum", Phytochemistry, Vol.32, No. pp. 175-178, (1992). 

  12. K. Mori, S. Inatomi, K. Ouchi, Y. Azumi, T. Tuchida, "Improving effects of the mushroom Yamabushiotake (Hericium erinaceus) on mild cognitive impairment: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Phytoher. Res., Vol.23, No.3 pp. 367-372, (2009). 

  13. H. Kawagishi, A. Shimada, S. Hosokawa, H. Mori, H. Sakamoto, Y. Ishiguro, S. Sakemi, J. Bordner, N. Kojima, S. Furukawa, Erinacines E, F and G, "Stimulators of nerve growth factor (NGF)-synthesis, from the mycelia of Hericium erinaceum", Tetrahedron Letters, Vol.37, No.41 pp. 7399-7402, (1996). 

  14. J. H. Ha, H. S. Jeog, S. H. Oh, S. S. Jeong, M. H. Jeong, H. S. Jeong, J. H. Jeong, K. W. Yu, H. Y. Lee, "Comparision of Immuno activities of fresh Ginseng cultured Phelinus linteus and Hericium erinaceum mycelium associated whit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ol.17, No.5 pp. 311-320, (2009). 

  15. C. K. Park, H. Kim, Qi. Tu, K. W. Yu, H. S, Jeong, H. Y. Lee, J. H Jeong, "Chemical composition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the fermented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ith mushroom mycelium by solid cul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8, No.9 pp. 1145-1152, (2009). 

  16. Y. Jang, S. H. Shin, B. I. Choi, D. S. Park, J. H. Jeon, Y. M. Cho, J. H. Cho, D. H. Jung, S. Y. Hwang, B. W. Ahn, M. S. Jeong, J. H. Jeong, Y. B. Kim, "Effects of Erinacol(R), Extract of Hericium erinaceum Cultivated with Artemisia iwayomogi, on Alcoholic Hangover and Immune Function", Lab. Anim. Res., Vol.22, No.2 pp. 157-163, (2006). 

  17. S. H. Shin, J. Y. Jang, B. I. Choi, JH. H. Jeon, H. J. Ji, S. H. Moon, D. H. Jung, Y. G. Yeo, S. J. Baek, S. J. Hwang, J. H. Chung, Y. B. Kim, "Effects of Erinacol(R), Extract of Hericium erinaceum Cultivated with Artemisia iwayomogi, on Alcoholic Fatty Liver", Lab. Anim. Res., Vol.22, No.2 pp. 165-170, (2006). 

  18. B. I. Choi, S. H. Shin, J. Y. Jang, D. S. Park, D. H. Kang, S. S Nahm, Y. G. Yeo, J. H. Cho, S. Y. Hwang, M. S. Jeong, M. S. Jeong, J. H. Jeong, Y. B. Kim, "Single-and repeated-dose toxicities of Erinacol(R), extract of Hericium erinacium cultivated with Artemisia iwayomogi, in rats", Lab. Anim. Res., Vol.22, No.2 pp. 171-179, (2006). 

  19. S. C. Kwon,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Hericium erinaceus mycelium on Angelica keiskei and Angelica keiskei poma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0, No.12 pp. 1648-1653, (2011). 

  20. S. S. Kim, I. G. Kyeong, M. L. Lee, D. G. Kim, J. Y. Shin, J. Y. Yang, G. H. Lee, W. S. Eum, J. H. Kang, "Protective effects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leaves fermented with Hericium erinaceum mycelium against oxidative modification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and cell death",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4, No.1 pp. 35-43, (2015). 

  21. P. Amstad, R. Moret, P. Cerutti, "Glutathione peroxidase compensates for the hypersensitivity of Cu,Zn-superoxide dismutase overproducers to oxidant stress", J. Biol. Chem. Vol.269, No.3 pp. 1606-1609, (1994). 

  22. O. Elroy-Stein, Y. Groner, "Impaired neurotransmitter uptake in PC12 cells overexpressing human Cu/Zn-superoxide dismutase--implication for gene dosage effects in Down syndrome", Cell, Vol.52, No.2 pp. 259-267, (1988). 

  23. O. Elroy-Stein, Y. Bemstein, Y. Groner, "Overproduction of human Cu/Zn-superoxide dismutase in transfected cells: extenuation of paraquat-mediated cytotoxicity and enhancement of lipid peroxidation", EMBO J., Vol.5, No.3 pp. 615-622, (1986). 

  24. I. Ceballos-Picot, A. Nichole, P. Briand, G. Grimber, A. Delacourte, A. Defossez, F. Javoy-Aqid, M. Lafon, J. L. Blouin, P. M. Sinet, "Neuronal-specific expression of human copper-zinc superoxide dismutase gene in transgenic mice: animal model of gene dosage effects in Down's syndrome", Brain Res. Vol.552, No.2 pp. 198-214, (1991). 

  25. M. B. Yim, P. B. Chock, E. R. Stadman, "Enzyme function of copper, zinc superoxide dismutase as a free radical generator", J. Biol. Chem., Vol.268, No6 pp. 4099-4105, (1993). 

  26. S. M. Kim, J. H. Kang, "Peroxidative activity of human Cu,Zn-superoxide dismutase", Mol. Cells, Vol.7, No1 pp. 120-124, (1997). 

  27. N. Takahashi, F. W. Putnam, "Chemical structure and molecular heterogeneity of cerulloplasmin", Tanpakushitsu Kakusan Koso, Vol.29, No.10 pp. 795-814, (1984) 

  28. I. M. Goldstein, H. B. Kaplan, H. S. Edelson, G. Weissmann, "Cerulloplasmin. A scavenger of superoxide anion radicals", J. Biol. Chem., Vol.254, No.10 pp. 4040-4045, (1979). 

  29. D. R. Winge, "Normal physiology of copper metabolim", Semin. Liver Dis., Vol.4, No.3 pp. 239-251, (1984). 

  30. J. Folkman, M. Klagsburn, "Angiogenic factors", Science Vol.235, No.4787 pp. 442-447, (1987). 

  31. F. J. Walker, J. Fay, "Characterization of an interactiion between protein c and cerulloplasmin", J. Biol. Chem., Vol.265, No.4 pp. 1834-1836, (1990). 

  32. Ryden L. in Copper Proteins and Copper Enzymes Vol III p. 37-100, CRC Press Inc, (1984). 

  33. J. M. C. Gutteridge, "Inhibition of the Fenton reaction by the protein caeruloplasmin and other copper complexes. Assessment of ferrodidase and redical scavenging activities", Chem. Biol. Interact., Vol.56, No.1 pp. 113-120, (1985). 

  34. B. N. Ames, M. K. Shigenaga, T. M. Hagen,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Vol.90, No.17 pp. 7915-7922, (1993). 

  35. B. Halliwell, J. M. Gutteridge, "The importanc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s", Aspects. Med. Vo.8, No.2 pp. 89-193, (1985). 

  36. B. S. Berlett, E. R. Stadtman, "Protein oxidtion in aging, disease, and oxidative stress", J. Biol. Chem., Vol.272, No.33 pp. 20313-20316, (1997). 

  37. P. K. Smith, R. I. Krohn, G. T. Hermanson, A. K. Mallia, F. H. Gartner, M. D. Provenzano, E. K. Fujimoto, N. M. Goeke, B. J. Olson, D. C. Klenk, "Measurement of protein using bicinchoninic acid", Anal. Biochem., Vol.150, No.1 pp. 76-85, (1985). 

  38. J. M. MacCord, I. Fridovich,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e function for erythrocuprein (hemocuprein)" J. Biol. Chem., Vol.244, No.22 pp. 6049-6055, (1969). 

  39. F. W. Jr. Sunderman, S. Nomoto, "Measurement of human serum cerulloplasmin by its ${\rho}$ -phenylenediamine oxidase activity" Clin. Chem., Vol.16, No.11 pp. 903-910, (1970). 

  40. H. Ohkawa, N. Ohishi, K. Yagi,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Vol.95, No.2 pp. 351-358, (1979). 

  41. E. Niki, A. Kawakami, M. Saito, Y. Yamamoto, J. Tsuchiya, Y. Kamiya, "Effect of phytyl side chain of vitamin E on its antioxidant activity", J. Biol. Chem., Vol.260, No.4 pp. 2191-2196, (1985) 

  42. P. L. Fox, C. Mukhopadhyay, E. E.nwald, "Structure, oxidant activity, and cardiovascular mechanism of human cerulloplasmin", Life Sci., Vol.56, No.21 pp. 749-1758, (1995). 

  43. C. Mukhopadhyay, E. Ehrenwald, P. L. Fox, "Cerulloplasmin enhances smooth muscle cell- and endothelial cell-mediated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by a superoxide-dependent mechanism", J. Biol. Chem., Vol.271, No.25 pp. 14773-14778,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