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표달성기여도와 예상적용효과에 의한 시공단계 BIM 주요 업무 도출 - 공공부문 공동주택 건설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Identification of Major BIM-applicable Tasks with Contribution to Achieving Objectives and Expected Benefit in Construction Stage: Focused on the Case of Public Apartment Housing Projects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9 no.3, 2019년, pp.41 - 53  

송상훈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방종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손정락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central part in smart construction, BIM has been rapidly spread in construction industry at large. However, the level of applying BIM in construction stage is still relatively lower than that in design stage due to unclear application method, inadequate design BIM model, technical faults of BIM...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아가 이들을 중요도와 조합하여 각 업무의 ‘목표달성기여도(degree of contribution to achieving objectives, DoC )’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발주기관의 시공단계 역할과 업무수행양상을 이해하고 있으며, 충분한 업무 경험과 지식을 보유한 내부 전문가들이 이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공동주택 건설사업 전과정에 BIM을 적용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시공단계 업무 가운데 BIM을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 건설기술의 적용이 가장 필요하면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업무를 도출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 업무 고유 특성과 BIM 관련 특성에 대한 조사는 BIM이 우선 적용되어야 하는 업무를 파악하는 과정으로서, BIM을 적용함으로써 조직 내 구성원들 사이에서 체감효과가 가장 크고, 조직 측면에서 사업 목표 달성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업무의 선정에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 발주기관에서 시행하는 공동주택 건설사업의 시공단계에서 BIM의 우선적인 적용을 고려할 수 있는 업무들을 도출함으로써 단계적인 BIM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공단계 업무의 중요도와 BIM 적용에 따른 기대효과에 대한 사내외 전문가들의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BIM 적용에 의해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항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수행방향을 설정하고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공 단계 업무에 대한 BIM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선행 연구의 내용을 확인하였다. 우선 Shin (2010)은 기대효과, 기술적 구현가능성, 사회전반적 인프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BIM 적용 가능 CM 업무 12개에 대한 BIM 적용 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건설사업의 시공단계 업무 수행의 목표에서부터 업무의 특성에 이르는 조직적 요구를 파악하고, 여기에 BIM을 비롯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현재 기술수준과 장래 예상 적용효과를 조합함으로써 BIM 도입을 계획하고 있는 공공 발주자가 참고할 수 있는 단기적, 중장기적 BIM 적용 핵심 업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BIM 적용에 의한 변화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해당 업무 또는 작업의 특성을 비롯하여 BIM 기술의 속성에 대해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고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 이에 민간건설사에서 시공단계 BIM 적용을 담당하는 전문가들로 하여금 다양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적용에 따라 기대할 수 있는 업무 수행능력 향상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 주요업무를 도출하기 위한 업무별 목표달성기여도를 산정하고, 기여도 계산에 필요한 업무 특성을 조사하도록 한다. 업무의 경우 업무진행단계별 업무 30개, 관리영역별 업무 30개 등 총 60개 업무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 향후 시공단계 업무에 적용 가능한 첨단기술들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참여자들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조사항목은 업무별로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건설기술, 그들을 적용했을 때 예상되는 효과, 현재적용수준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이란 무엇인가? BIM은 시설물의 전자적 표현을 바탕으로 건설프로세스를 혁신할 수 있는 최신 정보기술로서 국내외적으로 건설분야 전반에 걸쳐 빠른 속도로 확산 중이다.
업무 고유 특성과 BIM 관련 특성에 대한 조사의 목적은? 본 연구에서 업무 고유 특성과 BIM 관련 특성에 대한 조사는 BIM이 우선 적용되어야 하는 업무를 파악하는 과정으로서, BIM 을 적용함으로써 조직 내 구성원들 사이에서 체감효과가 가장 크고, 조직 측면에서 사업 목표 달성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업무의 선정에 목적이 있다.
BIM 적용 실적이 부족한 이유는? , 2017). 이는 조직 내에 BIM 운영기반이 갖추어지지 않은 것과는 별개로 설계 BIM 성과물 자체가 미비했으며, 시공단계 활용을 위한 업무체계와 활용방법이 정립되지 않은 데에 주로 기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yde, D., Broquetas, M., Volm, J. M. (2013). The project benefit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31(7), pp. 971-980. 

  2. Building and Construction Authority (2013). BIM essential guide for contractor. 

  3. Chan, A. (2001). Framework for measuring success of construction projects, CRC for Construction Innovation, pp. 8-13. 

  4. Cheng, J. C. P., Lu, Q. (2015). A review of the efforts and roles of the public sector for BIM adoption worldwid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20(27), pp. 442-478. 

  5. Dodge Data & Analytics (2018).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construction, Autodesk, pp. 5-14. 

  6. Jeon, S. H., Yun, S. H., Paek, J. H. (2007). A study o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roceedings of AIK Conference 2007, 27(1), pp. 757-760. 

  7. Jin, J. H., Wang, M. H., Shim, C. S., Kang, J. Y. (2018). Policy toward Ex-BIM & manual of construction phase for smart construction site, Magazine of KIBIM, 8(4), pp. 56-66. 

  8. Jo, C. W. (2010). Present and future of the roles of BIM actors,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54(1), pp. 41-44. 

  9. Jung, Y. S. (2012). BIM and IPD of facility construction owners , Cad & Graphics, 2012(3), pp. 124-126. 

  10. Kam, C., Senaratna, D., McKinney, B., Xiao, Y., Song, M. (2016). The VDC scorecard: formulation and validation, CIFE, Stanford University, pp. 10-16. 

  11. Kang, B. C., Cho, C. W., Lee, W. J., Han, J. S., Park, S. H. (2017). Plan for improving effectiveness of BIM application and case studies, Public Procurement Service, pp. 151-153. 

  12. Karppinen, A., Lennox, M., Lehto, M., Maalahti, J., Kiviniemi, M. (2012). Common BIM requirements 2012(v 1.0): Series 13. Use of models in construction, COBIM project parties, pp. 10-17. 

  13. Kim, H. J. (2017). Analysis of applicability of BIM to architectural construction sites, Construction Technology, Ssangyong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pp. 68-73. 

  14. Kim, H. R., Lee, N. K., Jang, H. S. (2013). Analysis of competency assessment using IPA for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KJCEM, 14(1), pp. 115-123. 

  15. Kim, Y. H., Kim, H. S., Kang, L. S. (2015). A study of BIM delivery model for railway construction project using BIM function breakdown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8(4), pp. 344-353. 

  16.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LH) (2018). LH Guide for BIM Uses(v1.0), pp. 57-58 

  17. Lee, C. J., Lee, G., Won, J. S., Yun, S. C. (2011). Derivation of high-priority items for BIM adoption in CM service: CM service for high rise build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27(6), pp. 115-122. 

  18. Lee, H. S., Lim, J. H. (2014). SPSS 20.0 manual, Jiphyunjae, pp. 376-383. 

  19. Messner, J., Anumba, C., Dubler, C., Goodman, S., Kasprzak, C., Kreider, R., Leicht, R., Saluja, C., Zikic, N. (2019). BIM Project Execution Planning Guide, Version 2.2. 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Research Program, The Pennsylvania State Univ., pp. 24-29. 

  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8). Roadmap for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pp. 19-20. 

  21. Public Procurement Service (PPS) (2017). Basic Guideline for BIM Application to Construction Projects(v1.32), pp. 88-89. 

  22. Shim, J. K., Yi, H. I., Kim, J. J. (2010a).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pplic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Interior Association, 10(2), pp. 49-60. 

  23. Shim, J. K., Yi, H. I., Kim, J. J. (2010b). A study on the analysi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actors of construction firms us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0(4), pp. 123-130. 

  24. Shin, C. H. (201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IM in CM services.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pp. 62-80. 

  25. Song, S. H., Bang, J. D., Sohn, J. R. (2019). Application of BIM in construction phase of apartment housing projects: Focused on BIM-applied cases, Land & Housing Institute, pp. 121-151. 

  26.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12). The US Army Corps of Engineers roadmap for life-cycl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pp. 12-13. 

  27. Yu, Y., Jeong, J., Jung, I., Yoon, H., Lee, C. (2013), Development of BIM-based work process model in construction phase, KJCEM, 14(1), pp. 133-143. 

  28. Yu, J. H. (2012). Development of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indicators and multi dimensional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Kwangwoon Univ., pp. 4-8. 

  29. Yun, S. H. (2016). Priority analysis of BIM technologies development using cluster analysi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2(9), pp. 35-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