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정상태가 국내 성인당뇨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Investigating Effects of Emotional States on the Glucose Control of Diabetes in Korean Adults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301 - 311  

전현규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  원종윤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  팽상천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  이건창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당뇨병 유병율이 증가함에 따라 당뇨병은 사회경제적 및 보건학적 이슈이다. 당뇨병 조절은 질병의 치료라기보다 평생에 걸쳐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자기간호가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성인 당뇨병을 혈당 조절군과 비조절군으로 구분하여 당뇨병 유병 위험 요인의 차이에 대해 입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당뇨병 환자들이 지각하는 감정요인과 당뇨병 유병과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5년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당뇨병 유병 성인들의 혈당조절 수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당뇨병 유병자인 혈당비조절군과 혈당조절군에 대한 유병률의 요인에 대해 입증하였으며, 특히 우울증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감정이 당뇨병 유병 및 혈당조절에 유의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당뇨병에 대한 진단은 우울증과 스트레스 같은 부정감정을 고려하여 병행치료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diabetes is a socioeconomic and health issue. Diabetes control is a lifelong management rather than a cure, and self-care should be undertaken. This study is to classify diabetes mellitus into non-regulatory group, and to prove the difference in risk factors for diabete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2008∼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성인 당뇨병 대상군을 혈당 조절군과 비조절군으로 구분하여 당뇨병 유병 위험요인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당뇨병 환자들이 지각하는 감정요인과 당뇨병 유병과의 관련성 역시 추가로 밝혀보고자 한다. 이에 일반적 특성과 혈당조절 수준과 신체적/정신적 요인과 혈당조절 수준 그리고 당뇨병치료 이행과 혈당조절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 성인들의 혈당조절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당뇨병 환자들이 지각하는 감정요인과 당뇨병 유병과의 관련성을 추가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성인의 당뇨병 예방과 치료를 위한 국가정책의 기초연구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일반적 특성과 혈당조절 수준과 신체적/정신적 요인과 혈당조절 수준 그리고 당뇨병치료 이행과 혈당조절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특성들과 감정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당뇨병 유병요인과 감정요인간의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이에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보건 정책에 관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감성요인과 당뇨병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밝혀 보기위해, 당뇨병 유병 성인들이 지각하는 감성요인으로 우울증을 고려하였다. 우울증은 경험 유무에 따라 우울증상 경험군과 비경험군으로 대상군을 구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 성인들의 혈당조절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당뇨병 환자들이 지각하는 감정요인과 당뇨병 유병과의 관련성을 추가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 성인들에 대한 혈당조절 수준의 요인을 밝히고, 우울증이라는 감성요인과 혈당조절 수준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2008년∼2012년 5년치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병 유병 성인들의 혈당조절 수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 더 나아가 당뇨병 환자들이 지각하는 감정요인과 당뇨병 유병과의 관련성을 추가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성인의 당뇨병 예방과 치료를 위한 국가정책의 기초연구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 중 혈당비조절군이 78.
  • 또한 이러한 특성들과 감정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당뇨병 유병요인과 감정요인간의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이에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보건 정책에 관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2008∼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성인 당뇨병 대상군을 혈당 조절군과 비조절군으로 구분하여 당뇨병 유병 위험요인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더 나아가 당뇨병 환자들이 지각하는 감정요인과 당뇨병 유병과의 관련성 역시 추가로 밝혀보고자 한다. 이에 일반적 특성과 혈당조절 수준과 신체적/정신적 요인과 혈당조절 수준 그리고 당뇨병치료 이행과 혈당조절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특성들과 감정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당뇨병 유병요인과 감정요인간의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의 특징은?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은 신체의 장기와 조직에 동시 다발적 문제를 야기한다. 결국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위험하다[1].
당뇨병 환자의 수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 이유로 보이는 것은 무엇인가? 당뇨병의 유병률은 국가와 인종 및 생활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최근 당뇨병 환자의 수는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경제발전과 의료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과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서구화된 식습관과 신체활동량의 감소, 및 정신적 스트레스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약 3억8천만명이 고통받는 질병이며, 세계질병부담조사(Global Burden of Diseases Study)는 1990년에서 2010년 사이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두 배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2014년 기준 국내 30세 이상 성인은 몇명의 당뇨병 환자가 있는가? 국내의 경우, 2014년 30세 이상 성인 480만명(13.7%)이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국민의 약 1/4(24.8%)이 전당뇨병(공복 혈당 장애)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 Lim et al. (2009). A Nationwide Survey about the Current Status of Glycemic Control and Complications in Diabetic Patients in 2006 - The Committee of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on the Epidemiology of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ournal, 33(1), 48-57. DOI : : 10.4093/kdj.2009.33.1.48 

  2. H. Y. Kang & M. O. Gu. (2012). Comparative study on self-care behavior, diabetes-related stress, and stress coping among good, inadequate, and poor glycemic control group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2), 168-178. 

  3. L. Guariguata, D. R. Whiting, I. Hambleton, J. Beagley, U. Linnenkamp & J. E. Shaw. (2014). Global estimates of diabetes prevalence for 2013 and projections for 2035.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103(2), 137-149. DOI : 10.1016/j.diabres.2013.11.002 

  4. H. King, E. Aubert & W. H. Herman. (1998). Global burden of diabetes, 1995-2025: prevalence, numerical estimates, and projections. Diabetes Care, 21(9), 1414-1431. DOI : 10.2337/diacare.21.9.1414 

  5. J. H. Park. (2018). Factor Influencing Influenza Vaccination Among Korean Adults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6), 447-454. DOI : 10.5762/KAIS.2018.19.6447 

  6. J. H. Lim & C. S. Oh. (2013). Medical care utilization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0), 609-618. DOI : 10.14400/JDPM.2013.11.10609 

  7. B. M. Everett et al. (2018). Anti- inflammatory therapy with canakinumab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iabete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71(21), 2392-2401. DOI : 10.1016/j.jacc.2018.03.002 

  8. M. Khattab, Y. S. Khader, A. Al-Khawaldeh & K. Ajlouni.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24(2), 84-89. DOI : 10.1016/j.jdiacomp.2008.12.008 

  9. H. Jang, J. H. Han, J. S. Bang & U. D. Sohn. (2014). Relationship survey study between diabetic control education and diabetic retinopathy: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24(1), 33-38. 

  10. C. N. Massey, E. H. Feig, L. Duque-Serrano, D. Wexler, J. T. Moskowitz & J. C. Huffman. (2019). Well-being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147, 118-133. DOI : 10.1016/j.diabres.2018.11.014 

  11. A. Maheshwari, B. Saboo, R. B. Singh, N. Verma, V. Vargova, D. Pella & D. Pella. (2019). Functional Food Security for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In The Role of Functional Food Security in Global Health, 157-166. DOI : 10.1016/B978-0-12-813148-0.00009-8 

  12. M. K. Choi & O. H. Ryu. (2008). Sleep and hypoglycemia.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9(2), 79-84. 

  13. G. A. Maynard, M. P. Huynh & M. Renvall. (2008). Iatrogenic inpatient hypoglycemia: risk factors, treatment, and prevention: analysis of current practice at an academic medical center with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efforts. Diabetes Spectrum, 21(4), 241-247. DOI : 10.2337/diaspect.21.4.241 

  14. K. H. Kim, J. S. Kim & E. K. Lee. (2011). Diabetes-related characteristics in men with diabetes for the glucose control group and noncontrol group.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2), 152-159. 

  15. T. C. Skinner, S. E. Hampson & C. Fife-Schaw. (2002). Personality, personal model beliefs, and self-care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Type 1 diabetes. Health Psychology, 21(1), 61. 

  16. B. H. Jeon, H. W. Kim, H. J. Kim, M. H. Lim, S. B. Lee, K. C. Paik & K. K. Lee. (2008). The relationship of anxiety symptoms and depressive symptoms to glycem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s.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16(2), 95-102. 

  17. K. J. An. (2008). Clinical impacts of iatrogenic hypoglycemia.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9(2), 106-109. 

  18. K. G. Kheniser, C. M. P. Santos & S. R. Kashyap. (2018). The effects of diabetes therapy on bone: A clinical perspective.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32(7), 713-719. DOI : 10.1016/j.jdiacomp.2018.04.005 

  19. Y. S. Lee. (2009). The current status of type 2 diabetes management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Diabetes Journal, 33(3), 241-250. DOI : 10.4093/kdj.2009.33.3.241 

  20. M. S. Stanford, C. W. Mathias, D. M. Dougherty, S. L. Lake, N. E. Anderson & J. H. Patton. (2009). Fifty years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An update and review.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7(5), 385-395. DOI : 10.1016/j.paid.2009.04.008 

  21. M. K. Chae, D. J. Choi, T. G. Shin, K. Jeon, G. Y. Suh, M. S. Sim, K. J. Song, Y. K. Jung & I. J. Jo. (2013). Body Mass Index and Outcomes in Patients with Severe Sepsis or Septic Shock.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8(4), 266-271. DOI : 10.4266/kjccm.2013.28.4.266 

  22. J. Choi, J. Jang, Y. An & S. K. Park (2018). Blood pressure and the risk of death from non-cardiovascular disease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Korean adults.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51, 298-309. DOI : 10.3961/jpmph.18.212 

  23. W. J. Jeong et al. (2002). Prevalence of hypothyroidism in hypercholesterolemic adults and influence of serum TSH on the sefum total cholesterol level.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62(2), 8-193. 

  24. J. H. Park & M. S. Jo. (2001). NCEP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TP 3). The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11(4), 420-429. 

  25. S. J. Boo. (2012). Glucose, blood pressure, and lipid control in Korean adults with diagnosed diabet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4), 406-416. DOI : 10.7475/kjan.2012.24.4.406 

  26. M. K. Moon et al. (2003).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ion with chronic complications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Korean Journal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13, 382-391. 

  27. H. S. Chung, J. A. Seo, S. G. Kim, N. H. Kim, D. M. Kim & C. H. Chung. (2009).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risk of chronic complications in Koreans with type 2 diabetes. Korean Diabetes Journal, 33(5), 392-400. DOI : 10.4093/kdj.2009.33.5.392 

  28. M. A. Van Tilburg et al. (2001). Depressed mood is a factor in glycemic control in type 1 diabetes. Psychosomatic Medicine, 63(4), 551-555. DOI : 10.1097/00006842-200107000-00005 

  29. P. J. Lustman, R. J. Anderson, K. E. Freedland, M. De Groot, R. M. Carney & R. E. Clouse. (2000). Depression and poor glycemic control: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literature. Diabetes Care, 23(7), 934-942. DOI : 10.2337/diacare.23.7.9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