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 중재 프로그램이 ADHD 아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복합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Music Mediation Program on Children with ADH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497 - 507  

조미란 (고신대학교 음악치료전공) ,  박혜영 (고신대학교 음악치료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출판된 논문 1,856편 가운데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대조집단이 있는 실험연구 9편을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음악 중재 특성, 연구별 목표 및 평가도구의 네가지 기준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논문이 음악 활동, 목표, 평가도구를 각각 2가지 이상 사용하였으며, 특히 사회성과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논문의 비중이 높았다. 메타분석 결과, 전체는 중간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주의력결핍과 사회성은 효과크기가 낮은 반면, 문제행동은 중간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이는 ADHD 아동을 위한 음악 중재에서 표준화된 평가도구 사용의 중요성을 밝힌 것과, 음악 중재를 개발하는 데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ADHD in Korea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or this, nine researches of 1,856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19 were reviewed which are experimental studies with the control group...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가장 높은 연구 비중을 보인 실험 연구를 선별하였으나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변수를 측정하고 있어 종합적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별 연구들마다 결과를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통계적 결과를 보여주는 메타분석을 함께 시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악 중재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발표된 한국연구재단 등재 및 등재 후보 학술지를 중심으로 선정한 논문 9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음악 중재 특성,목표 및 평가도구 척도,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크기에 대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논문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비약물중재가 주를 이루는 국내연구 가운데 음악 중재를 중심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평가도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가장 높은 연구 비중을 보인 실험 연구를 선별하였으나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변수를 측정하고 있어 종합적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J. H. Lee, D. H. Kim & G. H. Seo. (2016). Comparison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ADHD.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32(1), 25-39. 

  2. J. Y. Park. (2018). Isn't This Our Crazy Child, 'ADHD'? HIRA Web Magazine. Retrieved from http://hirawebzine.or.kr/14842 

  3. S. M. Jeon. (2019). ADHD Progresses throughout the 'Life Cycle' Therapeutic Importance is High. Yakup News. Retrieved from http://www.yakup.com/news/index.html 

  4. G. J. DuPaul & T. L. Eckert. (1998). Academic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ading & Writing Quarterly Overcoming Learning Difficulties, 14(1), 59-82. 

  5. E. Mick, J. Biederman, S. V. Faraone, J. Sayer & S. Kleinman. (2002). Case-control Stud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Maternal Smoking, Alcohol Use, and Drug Use during Pregnanc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1(4), 378-385. 

  6. M. R. Chung. (2006).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on Attention and Self-Contro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 Education, 15(2), 241-255. 

  7. S. Y. Kwak. (1998). A Study on Development of Attention Test Instrument and its Valid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aster Thesis. 

  8. J. M. Seo. (2008). The Influences of Piano Performance-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on Selective & Sustained Attention for th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The Journal of Total Arts and Music, 2(2), 25-43. 

  9. H. J. Chong. (2008). The Effect of Music Cognitive Program on Attention Spa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e Behavior.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6, 55-71. 

  10. S. J. Shin & J. M. Lee. (2011).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ure for Children with ADHD. Correctional Welfare Research, 21, 177-205. 

  11. J. Y. Seo & W. J. Park. (2010). The Meta Analysis of Trends and the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School Aged ADH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2), 117-132. 

  12. S. Y. Hong. (2014).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ocial Improvement Program of School-aged ADHD Children.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42(3), 33-62. 

  13. H. Y. Kim & E. Y. Choi. (2012). Korean Domestic Trends of Research and Direction of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ADHD.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8(3), 101-123. 

  14. C. J. Park & S. J. Kim. (2016). Analysis Research of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DHD : Using Academic Journal in Korea from 2006-2015.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 55(2), 275-291. 

  15. E. Rhee. (2015). The Analysis on Research Status for Music Therapy in Korea Related to Children with ADHD. Arts Education Research, 13(1), 151-168. 

  16. A. Liberati, D. G. Altman, J. Tetzlaff, C. Mulrow, P. C. Gotzsche, J. P. Ioannidis & D. Moher. (2009).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PLoS medicine, 6(7), e1000100. 

  17. S. Y. Kim, J. E. Park, H. J. Seo, Y. J. Lee, B. H. Jang, H. J. Son,...& C. M. Shin.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66. 

  18. J. E. Cho.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After-school Music Program on the Social Skills of the Teenagers with the Propensity of ADHD.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14, 227-244. 

  19. J. H. Shin & D. S. Yoon. (2011).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on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Skills Children with ADHD.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7, 137-158. 

  20. M. R. Chung & Y. K. Choi. (2005).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Music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Future Child Education, 12(4), 335-358. 

  21. J. Y. You, E. J. Jeon & C. K. Kim. (2009). The Comparison Research of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and Art Therapy Program on Reducing Problematic Behaviors and Improving Social Skills of ADHD Children.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5(3), 73-92. 

  22. G. B. Kim. (2008). The Effect of Music Therapy Apply to ADHD Child.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10(4), 145-162. 

  23. J. P. Higgins & S. Green. (2008).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Chichester, England : Hoboken. 

  24. J. H. Min & E. Y. Hwang. (2019). A Meta-Analysis of Music Therapy on Psychosocial Adjustment. Art Psychotherapy Research, 15(1), 95-122. 

  25. E. J. Chang. (2005). A Preliminary Study of a School-Based Intervention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e Children.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3, 63-84. 

  26. R. A. Barkley. (2006). The Relevance of the still Lectures to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Commentary.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10(2), 137-140. 

  27. M. Z. Kang & H. J. Park. (2014). Knowledge and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ADHD. Special Education for Children, 16(2), 455-475. 

  28. Y. S. Choi. (2015).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Teachers' Attitude Toward ADHD Students : Focusing on Teacher Groups' Differences. Special Education Studies, 50(2), 63-85. 

  29. H. J. No & H. Y. Park. (2019). The Effect of Collective Music Activities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Foreign Workers. Korea Care Management Research, 30, 63-83. 

  30. H. W. Jang. (2009).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for Infants' Sociality during Musical Activit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31. K. S. Cho & Y. W. Kim. (2000). A Study on the First Standard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est Tool for Infant Development. Special Education Studies, 34(3), 111-137. 

  32. J. T. Neisworth & S. J. Bagnato. (1992). The Case against Intelligence Testing in Early Intervention.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2(1), 1-20. 

  33. M. J. Lee, S. W. Ahn, H. J. Kim & Y. K. Seo. (2007). Brain Science Approach of Childhood Disorder. Special Education Journal: Theory and Practice, 8(1), 153-172. 

  34. O. R. Kang. (2014). Brain Science Approach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Korea Primary Education, 25(1), 315-333. 

  35. B. S. Ko & M. H. Bae. (2018). A Systematic Review of the Modulating Effects of Music on Emotion: Focused on Neurochemical Aspect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20(1), 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