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개발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연구: 부산 에코델타시티 사업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cosystem Services Value Assessment According to City Development: In Case of the Busan Eco-Delta City Development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8 no.5, 2019년, pp.427 - 439  

최지영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영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국내 환경영향평가의 자연환경생태분야는 정량적 평가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발계획에 따른 생태계서비스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부산 에코델타시티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사업 전과 후에 대해 평가하였다. 기후변화 적응의 일환인 탄소고정량 변화량 측정과 생물다양성 지표인 서식처질에 대해 InVEST 모델을 활용하여 중첩평가를 하였고,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3개의 대안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2000년의 탄소고정량은 216,674.48 Mg of C, 2015년에는 203,474.25 Mg of C로 약 6.1% 감소된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2030년에는 2015년 대비 약 40%가 감소하여 120,490.84 Mg of C로 예측되었다. 3개의 대안평가에서 대안 3이 6,811.31 Mg of C로 탄소고정량이 가장 보존되는 대안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서식처 평가결과 또한 시간흐름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지역의 2000년의 서식처 질은 0.57, 2015년에는 0.35, 그리고 2030년에는 0.21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대안 3이 0.21의 값으로 대안들 중 서식처 질이 가장 높은 방안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생태계 정량화 값을 통해 개발계획자들과 지역주민의 의사결정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론으로 사료된다. 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토지이용계획, 온실가스, 자연환경자산 항목에 활용이 가능하며, 또한, 환경변화에 따른 생태계서비스의 수치화와 예측으로 정책적인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추후 보다 세밀한 분석과 기초자료의 접근가능성 부분이 보충된다면, 환경영향평가에서 생태계서비스 평가기법에 적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 environmental ecology of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is very much lacking in quantitative evaluation.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quantitative assessment for ecosystem service in the site of Eco-delta project in Busan. As a par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this study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환경영향평가서의 자연생태환경 분야에서 제시되고 있는 동·식물상 현황 파악, 생태자연도, 녹지자연도의 비율변화뿐 아니라, 연구지역의 사업시행 전·후에 대한 영향·예측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개발정책에서 개발자와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 과정에서 기술자료 제공에 목적을 둔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발정책에 따라 손실되는 생태계서비스를 계량적으로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사회-경제-생태’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토 개발계획에 따라 변화되는 생태계서비스의 정량평가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 환경영향평가에서 생물다양성 감소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도적 방안과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규제적 장치를 제시하여, 사업에 따른 영향·예측과 저감대책 부분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자연생태환경분야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본 모델을 사용하여 개발 전·후와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탄소고정량의 변화량과 서식처 질의 값을 도출하여 연구지역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자연생태환경 분야에서도 체계적인 방법론이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InVEST Carbon 모델을 통해 시기별 탄소고정량 분석과 변화된 토지이용도를 통해 2030년에 대한 탄소고정량을 미래 예측하였다. 향후 경제성 평가 부분에서 입력자료인 탄소가격을 객관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면, 이에 대한 평가도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그리고 사업지역의 개발로 인해 손실되는 생태계서비스의 상대적 평가는 서식처 질을 통해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효과적인 저감방안 선택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탄소 평가 기법에는 어떤 모형이 있나? 2018). 기존 다양한 탄소 평가 기법들(BEAMS 모형, CEVSA모형, SIM-CYCLE모형, CBM-CFS3 모형)을 비교·평가한 선행논문들(Choi et al. 2014;Jo & Ahn 2000)에서 InVEST 모델을 이용한 탄소 고정량 추정은 오차율이 적고, Arc GIS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탄소저장을 추정할 수 있어 용이하며,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해 개발정책 이해관계자들의 협의 시 기초자료 제공이 가능한 모델로 시사되고 있다(Kovacs et al.
현재 자연생태환경분야에서 환경영향평가의 한계점은? 환경영향평가는 사업의 경제성 도모와 동시에 지속가능한 환경보호를 위한 과정으로 개발정책 관계자들과 지역주민 의견수렴이 동반되는 과정이다. 현재 자연생태환경분야에서 식생 현황, 보호종 존재의 유무에 대한 평가가 집중되어있으며,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서식지의 영향 및 예측, 대책은 구체적이지 못하다. 많은 개발 관계자들은 영향의 정도에 대해 ‘미평가’ 또는 정량적이지 않은 예측으로, 보전관계자와의 의견수렴 과정에서 한계점을 수반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 과정인 개발계획 수립부터 대안선정까지 ‘사회-경제환경’의 관계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생태계를 정량적으로 비교·평가할 수 있는 기법이 적용된다면, 불가피했던 비판과 논쟁에 이해의 자료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InVEST Carbon 모델은 무엇인가? InVEST Carbon 모델은 시기별 토지피복도 자료와 피복별 탄소풀 계수를 기반으로 추정된 탄소고정량과 경제성 평가가 가능한 모델이며, 특정 시기별 가치평가가 가능하여 과거, 현재, 미래의 차이를 알고자 할 경우 탄소고정량 변화와 미래예측이 가능한 모델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InVEST 모델을 적용한 연구(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SE, Han KJ. 2004. A Study on the Land Use Model for Carbon Fixation. 2004.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4: 1-106. [Korean Literature] 

  2. Bhagabati NK, Ricketts T, Sulistyawan TBS, Conte M, Ennaanay D, Hadian O, Wolny S. 2014. Ecosystem services reinforce Sumatran Tiger conservation in land use plans. Biological Conservation. 169: 147-156. 

  3. Charlotte B, Sylvain P, John DT. 2017. The inclusion of biodiversity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olicy-related progress limited by gaps and semantic confusio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0(15): 35-45. 

  4. Choi HA, Lee WK, Jeon SW, Kim JS, Kwak HB, Kim MI, Kim JT. 2014. Quantifying Climate Change Regulating Service of Forest Ecosystem -Focus on Quantifying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J. Climate Change Research. 5(1): 21-36. [Korean Literature] 

  5. Choi JY, Lee SD. 2018. E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 for Distribution of Korean fir using InVEST Model. J. Environ Impact Assess. 27(2): 181-193. [Korean Literature] 

  6. Choi JY, Lee SD. 2019. Application of Habitat Evaluation Procedure with Quantifying the Eco-Corridor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6(16): 1437. 

  7. Dohwa Engineering, Pyunghwa Engineering, Hando Engineering, Meitec Engineering. 2018.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Project of Eco Delta City in Busan.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Busan metropolitan corporation. [Korean Literature] 

  8. Duarte GT, Ribeiro MC, Paglia AP. 2016. Ecosystem Services Modeling as a Tool for Defining Priority Areas for Conservation. PLoS ONE 11(5): e0154573.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54573. 

  9.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Service. https://egis.me.go.kr/main.do [2018.11.01.]. 

  10. Gao J, Li F, Gao H, Zhou C, Zhang Xi. 2017. The impact of land-use change on waterrelated ecosystem services: a study of the Guishui River Basin, Beijing, China. J of Cleaner Production. 163(2017): 148-155. 

  11. Jang EK, Youn YC, Cha JH. 2012. Carbon Storage and GHG Substitution Effect of Domestic Wood Products. Forest Science Conference. 619-621. [Korean Literature] 

  12. Jeon EC, Sa JH, Lee SH, Kim CK. 2004. Development of Emission Factor of $CO_2$ from Stationary Sources. J. Atmospheric Environment. 1: 93-94. [Korean Literature] 

  13. Jo HK, Ahn TW. 2000. Indicators of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Tree Growth in Natural Ecosystem.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4(3): 175-182. [Korean Literature] 

  14. Kim CG. 2012. Chapter 33 Climate change and countermeasur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2(2): 1047-1074. [Korean Literature] 

  15. Kim JS, Kim CK, Yoo KJ Hwang SI. 2017. A Preliminary Study for Identifying Soil Management Area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Development Project. J. Environ Impact Assess. 26(6): 457-469. [Korean Literature] 

  16. Kim ME. 2013. Opportunity costs of carbon offsets project to private forest owners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Korean Literature] 

  17. Kim TY, Song CH, Lee WK, Kim MI, Kim CH, Jeon SW, Kim JS. 2015. Habitat Quality Valuation Using InVEST Model in Jeju Island. J.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5): 1-11. [Korean Literature] 

  18. Kwun YH, Roh TH, Lee HW, Choung HL. 2006.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Biological Diversity Items in Environmental Assess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6(0): 1-173. 

  19. Kyoto Protocol. 2003. 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Korea Association for UN Environment. 

  20. Lee HW, Kim CK, Hong HJ, Rog YH, Kang SI, Kim JH, Shin SC, Lee SJ. 2015.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ing Framework to Enhance Natural Capital Sustainability: Focusing on Ecosystem Service Analysi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5(0): 3479-3651. [Korean Literature] 

  21. Min KT. 2012. Chapter 29 Timber Supply and Demand Forecast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2(2): 941-963. [Korean Literature] 

  22. Natural Capital Project. https://naturalcapitalproject.stanford.edu/invest/ [2018.08.29.]. 

  23. Natural Capital Project. 2012. Informing Land-Use Plans in Central Sumatra. INVEST User Guide Release +VERSION. 

  24. Nelson E, Mendoza G, Regetz J, Polasky S, Tallis H, Cameron D, Chan KM, Daily G, Goldstein J, Kareiva P, Lonsdorf E, Naidoo R, Ricketts TH, Shaw MR. 2009. Modeling multiple ecosystem services, biodiversity Conservation, Commodity Production, and Tradeoffs at landscape scales.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7(1): 4-11. 

  25. Nelson E, Sander H, Hawthorne P, Conte M, Ennaanay D, Wolny S, Manson S, Polasky S. 2010. Projecting Global Land-Use Change and Its Effect on Ecosystem Service Provision and Biodiversity with Simple Models. PLoS One. 5(12): e14327. 

  26. Polasky S, Nelson E, Pennington D, Johnson KA. 2011. The Impact of Land-Use Change on Ecosystem Services, Biodiversity and Returns to Landowners: A Case Study in the State of Minnesota.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48(2): 219-242. 

  27. Roh YH. 2016. Introduction to the Estimation of Carbon Storage and Space Distributi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6(5): 46-51. [Korean Literature] 

  28. Seo SB. 2017. Analysis of Habitat Quality in the Nam-Han River Upstream Watershed using InVEST Model. Ewha Woman University. Seoul, Korea. 

  29. Sharp R, Tallis HT, Ricketts T, Guerry AD, Wood SA, Chaplin-Kramer R, Nelson E, Wolny S, Olwero N, Vigerstol K, Pennington D, Mendoza G, Aukema J, Foster J, Forrest J, Cameron D, Arkema K, Lonsdorf E, Kennedy C, Verutes G, Kim CK, Guannel G, Papenfus M, Tofr J, Marsik M, Bernhardt J, Griffin R, Glowinski K, Chaumount N, Perelaman A, Lacayo M, Mandle L, Hamel P, Vogl AL, Rogers L, Bierbower W. 2015. InVEST User's Guide. Stanford University, University of Minnesota, The Nature Conservancy, World Wildlife Fund. 

  30. Shoyama K, Yamagata Y. 2014. Predicting landuse change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climate-change mitigation and its effect on ecosystem services in a watershed in Japan. J of Ecosystem Services. 8(2014): 25-34. 

  31. Tao Y, Li F, Wang R, Zhao D. 2015. Effects of land use and cover change on terrestrial carbon stocks in urbanized areas: a study from Changzhou, China. J of Cleaner Production. 103(15): 651-657. 

  32.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http://unfccc.int/ [2018.09.20.]. 

  33. Yi H, Guneralp B, Kreuter UP, Guneralp I, Filippi AM. 2108.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n the San Antonio River Basin, Texas, from 1984 to 2010. J of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19-620(2018): 1259-1271. 

  34. Youn YC, Cha JH. 2007. The Role of Forest and Measures of Gyeonggi Province to Cope with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f Climate Change. Gyeonggi Development Institute. 9(4): 117-140.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